패티 김(김혜자)은 1956년 국무총리배 판소리경연대회에서 입상하면서 실력을 인정받고 1959년 린다김이라는 이름으로 미8군 쇼무대에 데뷔하자마자 당시 유명했던 미국 여가수 패티 페이지처럼 되겠다고 이름을 패티김으로 바꾸고 활동하기 시작한다.
1966년에는 한국 최초의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에서 애랑역을 맡아 곽규석과 호흡을 맞추었고 "살짜기 옵서예"를 성공시킨다. "살짜기 옵서예"는 1967년 앵콜공연을 하는데, 이 때는 1966년 길옥윤과 결혼하여 신혼여행 중이어서 김상희가 애랑역을 맡았다. 1966년은 정진우 감독이 신성일, 문희, 트위스트김과 함께 심혈을 기울여 만든 양화 "초우"의 주제가로도 큰 히트를 하는 그야말로 황금같이 빛나는 시기였다.
패티김은 1966년 길옥윤과 결혼하였고 1973년 9월 이혼하는데 패티김과 길옥윤, 박춘석과의 관계는 특별하다. 길옥윤(본명 최치정)이 서울대 치대(경성대 치대)를 다니며 기타를 치고 있을 때 경기중학생이던 박춘석을 대중음악계에 데뷔시켰고, 박춘석이 작곡가로 먼저 성공하자 길옥윤은 박춘석의 도움으로 작곡가로 데뷔한다.
한편 박춘석이 패티김을 데뷔시켰고 패티김은 길옥윤과 결혼하면서 길옥윤 사단으로 옮겨 "구월의 노래"를 시작으로 "내 사랑아" "사월이 가면", "사랑의 세레나데", "별들에게 물어봐", "사랑이란 두글자"... 등 사랑스런 노래를 잇달아 히트시켰으나 둘 사이의 사랑이 식으며 별거 중이다가 1973년 길옥윤의 연민이 가득한 앨범 "이별"을 내놓고 이혼한다.
결혼 시절 박춘석으로부터 받아 부른 이 "초우"는 수많은 사랑 노래를 부르는 가운데서 무엇인가 허전한 심정을 노래한 듯하여 가슴 한 쪽이 서늘해 온다.
가슴 속에 스며드는
고독이 몸부림칠 때
갈 길없는 나그네의 꿈은 사라져
비에 젖어 우네
너무나 사랑했기에
너무나 사랑했기에
마음의 상처 잊을 길 없어
빗소리도 흐느끼네 ㅡ
너무나 사랑했기에
너무나 사랑했기에
마음의 상처 잊을길 없어
빗소리도 흐느끼네...
첫댓글 임웅균님
폭풍 가창력에다
감성이 풍부해서
대단하신 파워풀 테너십니다
멋지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