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릴 역(役)자는 의부(義符)로 조금 걸을 척(彳)자에 성부(聲符)로 몽둥이 수(殳)자를 했습니다. 옹기 가마 굴뚝 역(炈), 돼지 역(豛), 작은 창 역(鈠)자들은 몽둥이 수(殳)자가 들어 있어서 ‘역’으로 읽습니다. 역사(役事) 역군(役軍) 방역(防役) 부역(賦役) 부역(父役) 노역(勞役) 노역(奴役)
염병 역(疫)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창 수(殳)자는 손에 창을 들고 있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역학(疫學) 역학(疫瘧) 역질(疫疾) 역병(疫病) 검역(檢疫) 악역(惡疫) 면역(免疫)
통변할 역(譯)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엿볼 역(睪)자를 했습니다. 엿볼 역(睪)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다행 행(幸)자를 해서 죄를 짓고 잡혀와 갇혀 있는 죄수를 몰래 엿보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잡아온 죄인을 가두어 감추어 두었다는 뜻입니다. 번역(飜譯) 역자(譯者) 역출(譯出) 역문(譯文) 의역(意譯) 의역(醫譯) 완역(完譯)
역참 역(驛)자는 의부(義符)로 말 마(馬)자에 성부(聲符)로 엿볼 역(睪)자를 했습니다. 엿볼 역(睪)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다행 행(幸)자를 해서 죄를 짓고 잡혀와 갇혀 있는 죄수를 몰래 엿보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잡아온 죄인을 가두어 감추어 두었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그물 망(罒)자는 눈 목(目)자로 보기도 합니다. 잡아 가둔 죄인을 감시한다는 뜻으로 엿볼 역(睪)자를 이해해도 좋을 것입니다. 역체(驛遞) 역전(驛前) 역전(驛傳) 역원(驛員) 역원(驛院) 각역(各驛) 착역(着驛)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