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정치적 행위는 정치적 가치를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플라톤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지 정치학자들의 주요 관심은 정당한 국가와 건강한 시민에 필수적인 가치체계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정의란 무엇인가? 정치권력과 권력의 행사를 정당한 것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정치권력과 권력의 행사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정책결정과정에의 참여는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하는가? 정치사상은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가치의 관점에서 추구한다. 이 분야에 포함된 내용은 주로 정치사상사, 정치철학, 이데올로기를 포함한 정치이론 등이다. |
정치학 방법론에서 언급되는 정치이론은 정치사상이나 철학과 구분된다. 정치철학은 주로 가치의 문제를 다루며 규범적 명제간의 논리적 관계를 연구하는데 반하여 정치이론은 경험적으로 검증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도덕적 원칙의 철학체계와 달리 정치이론은 변수간의 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가설정립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이론은 확인되거나 증명될 수 있어야 한다. 정치이론을 중시하는 경향은 정치학의 과학화 추세와도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데, 수량화와 통계적 특성에 의한 정치적 자료(인구조사, 여론조사, 선거결과 등)의 연구를 통하여 정치과정의 이해를 촉진시킨다. 합리적 선택이론, 신제도주의, 구성주의 등의 방법론적 관점들도 정치이론 및 방법론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
정치학의 거의 모든 분야가 비교정치의 틀 속에서 종합될 수 있다. 정치학자들은 한 정치사회의 특징을 타 정치사회의 특징과 비교함으로써 특정 정치체제에 대한 일반이론을 정립할 수 있다. 어떠한 정치이론이나 가설도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사회상황 속에서 검증되지 않고서는 이론이나 가설로서 효력을 발휘할 수 없다. 비교정치분야는 각 국가의 입법부나 행정부의 비교뿐만 아니라 정치엘리트, 정치적 폭력, 정치적 부패, 정치경제, 정치사회화, 정치문화, 정당이나 이익집단, 정치변동과 발전, 정치참여 등을 포괄한다. |
정치과정은 우리가 추구하는 중요한 가치인 권력, 부, 위신 등이 사회 전체에 배분되는 것과 관계되는 모든 정치적 활동을 가리킨다. 경제체계, 사회체계, 문화체계도 이러한 가치를 배분하지만, 경제,사회,문화체계의 가치배분도 최종적으로는 정치과정을 통해서 조정된다. 이 분야의 연구는 정치과정에 있어서 주요한 요소들인 개인, 집단, 정당, 선거, 군부 등을 주된 분석대상으로 삼는다. |
지금까지의 한국정치 연구는 역사적,사회적,경제적 조건의 정치적 영향 등을 주로 다루었다. 의회나 대통령제와 같은 제도 차원의 연구보다는 세계자본주의 경제질서 하의 한국정치경제, 국제정치 속의 한국정치 또는 한국경제, 사회변화과정과 한국정치변화 등과 같은 거시적인 차원의 연구가 활기를 띠었다. 이 외에도 정당이나 이익집단, 행정조직, 지방자치 등과 같은 한국정치과정의 흐름을 형성하는 요소들이 한국정치의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
전쟁과 평화의 문제는 국가존립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정책결정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기 때문에, 국제정치는 정치학자들의 중요한 연구분야의 하나이다. 국제정치 연구의 초점은 국력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자원의 문제, 경쟁국간의 세력균형을 유지시키거나 파괴시키는 조건들, 각 국가들 간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특징, 국가간의 동맹체제, 경제적 갈등과 상호의존성의 관계, 군축문제, 국제평화와 협조를 도모하는 국제기구, EU와 같은 지역공동체, 그리고 각 국가의 외교정책 등이다. |
대한민국 정치학의 본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외교학과의 교육목표는 국제정치학도로서의 전문지식과 실천능력을 제고시키는 데에 둔다.
따라서 교육 내용도 사회과학 전반의 연관 속에서 국제정치학의 여러 분야를 체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선 국제정치학개론, 한반도와 국제정치, 외교론 등의 기초과목을 통해
국제정치 현상 이해를 위한 기본 인식틀을 갖추고 국제관계 속에서 한국의 문제를 살펴보려는 문제의식을 키우게 된다.
또한 국제관계사, 한국외교사 등의 과목을 통하여 국가 간의 관계가 전개된
구체적 역사에 대한 비판적 접근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국제관계의 여러 현상을 분석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국제정치이론, 국제정치사상, 국제정치경제론, 국제문화론 등 국제관계 현상을 설명하는 여러 가지 이론들을 습득한다.
나아가 한국외교정책론, 미국외교정책론, 중국외교정책론, 러시아외교정책론, 일본외교정책론 등
한반도를 둘러싼 주요 국가들의 외교정책을 살펴보고, 아울러 전쟁과 평화, 민족주의, 국제커뮤니케이션 등과 같이
국제정치 주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주제별로 심도 있게 다룬다.
이와 같은 교육 내용을 토대로 외교학과 학생들은
다양한 주제의 연구작업 진행을 통해 성숙한 국제정치학도로서의 자질을 연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교 학과는 다양한 이론과 폭넓은 시야로 국제정치의 본질을 파악, 분석하고
급변하는 세계질서 속에서 한국의 위상을 설정하며 한국의 미래를 주도할 전문 지식인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전통적인 국제정치학의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일반의 지식을 토대로 인간, 사회, 국가 및 국제체제에 대한,
그리고 이들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통찰력을 구비하고 국제정치경제, 외교, 군사, 문화 등의 다양한 영역을
과학적으로 천착하고 설명할 수 있는 인간의 양성에 역점을 둔다.
이에 따라 본 학과는 현실적 지식을 축적,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연구가나 국가행정관료,
언론인 및 국제적 안목을 가진 경제인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대한민국 외교학의 본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자교표(..)허용합니다.
중복투표는 안됨.
역시 120표 될때까지 하겠지만 융통성 있게 집계 하겠습니다..
정치/경영/서울대에 이런 학과가 있었구나;;
외교/이화/ㅇㅇ
역시 이화여대 출신이군. 여성의 본능으로 선택한거라서 이유가 없는거냐? ㄲㄲ
왜 학교걸고 넘어져 병신아
정치/서강/이게 더 간지난다
외교/경북수의/간지
외교/전남의/인풋,아웃풋 모두가 외교학과가 우월하다.
언제 전남의로 갈아탔음?; 좋겠네
정치/서강/복전으로 정외를 하긴하지만... 외교쪽보단 정치쪽이 더 맘에 든다
정치/외대/둘이 합친다는데 뭘 이런걸 물어싸...
외교/전남/반기문
외교/연상/외교분야는 서울대가 넘사벽
정치/전북/외무고시 티오 너무 적다.
외교/아직/외교쪽이 더밝음
외교/한양/이거나 저거나 붙여주면 감사감사
외교/서울/ 둘다 멋있음...
정치/외교/컷은 외교가 더 높아도.. 이름상으로는 여기가 더 쩌는 것 같다
정치/경희/쿠와쿠와가 있는 서울대 정치학과
정치/한양/그냥그냥그냥
외교/고대/외교가 훨씬 있어보임 간지 ㄷㄷ
외교/경희/아 ㅈ간지 둘다.
외교/중앙/둘다 그게 그거
외교/시립/ 외교가 더 멋있다 전망도 더 밝아보이고 ㅋㅋ
외교//N수//그냥 ㅇㅇ
외교/서강/외교쪽 배워보고싶엉
외교/시세/외시
정치/연세/관광방지
외교/이화/아 근데 둘다 폭풍간지다 ㅠㅠ
정치/국민/설대 정치 나와서 사탐 정치과목 출강 ㄱㄱ
정치/중앙/그냥
정치/아주/뭔가더멋있어보여
정치/시립/남자라면 정치를 깊이있게 배워보는것도 가치있는 일이라고 생각함
외교/연세/정치외교없냐
정치/재수/정치가뭐지
외교//고려//지금 반기문 총장님 무시하는 거임??
정치/홍익/정치하고싶어서
외교/중앙/학과의 희소성
외교/경희/간지가남ㅋㅋ
정치/제국/외교과는 지금 거품이 너무많이 끼여있음ㅇㅇ 솔직히 외시합격생중에서 외교과생 별로 없다 보통 어문계열이 많지 제국대에서 고시나 정계 언론계 진출은 실질적으로 정치과가 더 많음ㅇㅇ 결론은 미래 정치과 최고의 아웃풋 쿠와신 찬양
정치/외대정외/난 그냥 정치가 멋져보임
외교/외/근데 님들 두 학과 병합될거라는데 그거 알긴함.???? 이 매치 왜하는거임.?? 그치만 외교학과~ 이름만으로 너무 간지~
알아
외교/고려/외교관 ㅇㅇ
정치/반수/동정표
외교/경북/아무래도 정치는 그냥 ㅄ
정치/연세/근데 이게 나랑 뭔 상관이야 ㅜㅜ...... 서울대!
정치/명지/정치학이 기본이다.
|||||||||||||||| 마감할게요....ㅇ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