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보기 전용뷰어 보기

지난 1~2년간 농장(산)에 자생하는
#두릅을 관찰하고 농장중 3만평
이상의 두릅재배단지 조성을 위하여
뿌리삽목을 통하여 식재하고 커카는
두릅 지켜 봐 왔다
5년전 숲가꾸기를 통하여 잡목을
제거한 후 간간히 비추는 햇볏
그리고 적당한 그늘과 바람,
큰 나무아래에 숲가꾸기 이후
생겨난 잡목들과 두릅이
뒤섞여 자라고 있다
이들 지역의 두릅나무 번식을
돕가 위하여 제작년 겨우내내
잡목을 제거 하러 오르고 또
올랐었다
자
지난 해 4월 초순경 나무아래
자라는 두릅의 모습이다
4월은 낙옆활엽수의 새싹이
돋기 전이다
두릅은 참나무등 다른
낙옆활엽수들보다 먼저 새싹이
돛기 시작하여 음지의
불리함을 극복하고 있었다
출발을 먼저하는 셈이다
어느 정도 햇빛이 들어오는
산에서 두릅재배가 가능하다는
입증인 셈이기도 하다
종자번식과 뿌리 삽목번식의
방법으로 두릅을 심고자
3만여평의 두릅단지 예정지에
두릅씨를 뿌리고 10엔티 길이로
자른 뿌리가 담긴 주머니를
차고 봄철 내내 산을
오르내렸었다

뿌리의 길이는 8~10센티
정도가 식재에 알맞은
길이임을 직간접 경험과
관련 기관에서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확인을 하였다
3월에서 5월 초순이 뿌리
삽목의 적기인 듯 싶다
작년 더덕 도라지 곰취 당귀의
씨앗을 뿌리는 작업으로
3월과 4월을 바쁘게 보내고
두릅 #뿌리삽목은 5월 이후에
심었었다
뿌리삽목 결과는 참패였다
5월 중순이후 심었던 것들은
거의 보이지 않았고 5월 초순
이전에 심은 4천여평에서
크고 있는 어린 두릅이
확인 되었었다
식재 방법에서 흙으로
묻을 때 밟지 않아 공기가
들어간 때문인가?
식재시기가 맞지 않은 까닭인가?
좋지 않은 상태의 뿌리를
심은 것인가?
아니면 건조하여 말라 죽었는가?
뿌리의 눈에서 싹이 트고 커
나가야 하련만 살지 못하고
사라져 헛수가 되었고
1년이란 시간을 잃어버리게
한 원인은 무엇일까 원인을
찾다가 두릅의 뿌리삽목은
3월에서 5월초까지가 적기라는
국립산림과학원의 답변을 듣고
삽목시기가 원인임을 배웠다
산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흔한 일이 아니라서 알지
못했고 알고 모름의 댓가는
대단히 컷다
나처럼 귀산촌하는 이들이
겪는 어려움이기도 할 것이다
짧은 경험이지만 뿌리삽목
결과와 자생하는 두릅나무를
통하여 얻은 번식방법에
대하여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늘은 적은 곳에 심을수록
좋으며 어느 정도의 그늘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식재 적기는 3월에서 5월
초순까지이며
뿌리를 세워서 심거나 비스듬히 심으며
굵기는 연필 정도의 뿌리가
적당하고 굵은 뿌리가 가늘은
뿌리에 비해 빨리 자라며 건조를
견디는 힘이 강하다
묘목을 심는 작물에 비하면
두릅은 번식 노력이 월등히
쉬워 재배단지 조성이 쉽고 빠르다
두릅은 식재이후 성장속도가
빠르고 뿌리의 뻗는 형태가
천근성으로 지표면을 따라
가늘고 길게 뿌리를 뻗으며
3년이상 자란 나무의 뻗은
뿌리 중간에서 환경조건이
맞으면 싹이 나와 또다른
개체로 자라난다
짧은 기간 안에 재배단지화
할수 있는 조건이 아닐까
3월이 되면 두릅식재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
#산두릅으로 가득한 미래의
농장에 희망을 걸어 본다
카페 게시글
임업귀농모임방
귀산촌인의 산에서 두릅나무 재배하기2
청라면
추천 2
조회 1,425
19.02.01 20:06
댓글 21
다음검색
첫댓글 홧ㅡ팅입니다ᆢ^^
응원 감사합니다
기다림 . ᆢ좋은결실
감사~
응원합니다.
응원 고맙습니다
임업인이 하기에는 두릅은 좋은 임산물 같습니다 좋은 가르침 주셔요~~
귀한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도전할려고 하오니 자주 정보주세요~~
네 계속 올리겠습니다
식재시기에대한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일부는 식재해 보겠습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고생하셨습니다. 좋은결과 내시기를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좋은 결과있을겁니다.
감사합니다
힘내세요 좋은열매거두세요 응원합니다
응원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올해는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잘봤습니다..
응원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