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마을 관광지는 임회면 상만리 귀성마을에 위치한다. 우리민족의 얼이 서린 진도아리랑을 비롯한 팔도 아리랑과 진도홍주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문화공간이다. 전남 진도군 임회면 아리랑길 95-5 061-544-8839
아리랑마을 관광지 입구전경
아리랑 체험관은 진도아리랑과 더불어 전국 팔도 아리랑과 진도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관광객이 직접 배워서 불러보는 체험관으로 구성되어있다.
체험관 입구에서 진도 홍주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는 도팍 이평기 해설사
진도홍주 제조과정이 미니어처로 제작되어 있다.
아리랑은 다른 민요와 마찬가지로 본래 노동요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주로 두레노래로 불렸으며, 따라서 구술과 암기에 의한 전승 또는 자연적 습득이라는 민속성 이외에 지역동동체 집단의 소산이라는 민속성을 가지게 되었고, 그 집단성은 시대성과 사회성을 내포하게 되었다. 비록 그 노랫말이 개인적인 넋두리의 비중이 컸다 할지라도 거기에는 근세의 민족사가 반영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농부든 어부든 광부든 각기 그들 생활 속의 애환을 아리랑에 담았다는 점에서 직업공동체·사회공동체의 이른바 문화적 독자성이 강한 노래가 되었고, 민족이 위기에 처했을 때는 민족적 동질성을 지탱하는 가락이기도 했다.
한국의 3대 전통민요 아리랑은 정선아리랑,밀양아리랑,진도 아리랑을 말한다. 정선아리랑은 태백산맥 동서를 따라 설정된 메나리토리권의 민요로 민요적 전통성과 지역성이 강하다.
밀양아리랑은 영남지역에서 전하지만 영남지역의 정자토리 민요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끝으로 진도아리랑은 호남지역의 육자배기토리권에 속하지만 다른 육자배기토리 민요와 약간 차이가 있다. 전라남도 진도와 호남지역, 충청남도 일대, 경상남도 서부지역, 제주도 등에 분포되어 있다.
진도의 여행안내
진도 아리랑에 대하여 열정적으로 해설하는 도팍 이평기 진도 해설사
오늘 글쓴이와 동행한 도팍 이평기 선생은 진도 아리랑타령 가사집을 집필 하기도 하였다.
진도 특산물 진도의 특산물에는 진도개,돌미역,구기자,진도 홍주,진도 대파,진도 울금,진도 꽃게,전복등이 있어 여행객이 진도 방문시 맛있는 여행을 보증하여 준다.
진도의 문화예술인 진도씻김굿은 무당이 하는 제사 중 하나로, 이승에서 풀지 못한 죽은 사람의 원한을 풀어주고, 즐겁고 편안한 세계로 갈 수 있도록 기원하는 굿이며, 원한을 씻어준다해서 씻김굿이라 부른다.
다시래기는 진도지방에서 초상이 났을 때, 특히 타고난 수명을 다 누리며 행복하게 살다 죽은 사람의 초상일 경우 동네 상여꾼들이 상제를 위로하고 죽은 자의 극락왕생을 축원하기 위해 전문예능인들을 불러 함께 밤을 지새우면서 노는 민속극적 성격이 짙은 상여놀이다.
남도 들노래는 모내기,논매기등 주로 논일을 하면서 부르는농요로 가락이 다양하고 뒷소리를 실게 빼면서 시종일관 노래를 부르는 특징이 있다.
북놀이는 양손에 북채를 쥐고 장구처럼 치기때문에 잔가락이 많이 활용되면서 멈춤과 이어짐이 민첩하고 다양한 가락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공연을 직접 관람할 수 있다. 매주 토요일 오후 2시(4월~12월)에 진도향토 문화회관 대공연장에서 관람할 수 있다. 강강술래,남도들노래,진도 씻김굿,다시래기,진도북춤,진도만가,진도 아리랑등의 공연을 감상할 수 있다.
장구체험을하는 심프로 덩더쿵 제법 장구를 소리내어 친다.
아리랑 체험관을 구경하고 다음 행선지로 향한다.
내일은 진도여행의 끝으로 남도진성 으로 간다.
|
출처: 후니의 중고주방용품 이야기 원문보기 글쓴이: Hoony
첫댓글 아리랑 타령을 집필하셨군요 아리랑 마을 멋지옵나이다~~ㅎ
3대아리랑에 대해 정리가 되어 해설하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예전에 문전새재하고 문경새재하고 장재호선생님으로 부터 들은바가 있는데
지금도 그리 설명해도 되나요?
언제?
우셩~~? 오시요~~?
@진도 도팍(이평기) 8월 휴가냈습니다.
콜하면 가지요.
@해남 이연숙 요참에 "섬~~" 교육 자료 발표 후 쏟아지는 관매도를 향한 큰 관심~~!!
한번 모탭시다~~ㅎㅎ
배락 치기로~~
@진도 도팍(이평기) 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