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ud엔진은 구형엔진이여도 폐차무보링엔진입니다. 중고15톤덤프 동일연식중에서 삼성트럭이 단가 제일 쌥니다. 10년 넘게 굴렸어도 바닥에 엔진오일 안비칩니다. 현대대우엔진 3년이면 바닥에 오일 쬐금씩 묻히고 다니죠. "히노"는 아시아(기아)중형, 대형트럭의 원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시아 레미콘, 덤
엔진은 무조건 히노 v8짜리 엔진이고 구형 5톤 라이노도 히노6짜리, 그외 카고, 추레라 등은 대우 2848엔진에다 터보도 마음대로 갖다 붙여놓고 했죠, 히노엔진은 출력은 좋으나 3-5년에 한번은 보링을 해야됩니다. 달팽2님이 쓰신 현대대형차에 유디와 히노엔진이라... 제가 아는 바로는 좀 아리송 하네요. 현대는
좋게 말씀드리면 일본 "미쓰비시"의 친구라고 보시면 되지요. 현대트럭 예전에 비해 참 많이 발전했지요. 예전부터 운전밥 드신분은 아실겁니다. 미쓰비시 Fuso라는 차.. 예전 현대대형트럭은 미쓰비시와 거의 동일하고(운전대 좌측이동) 지금 현대에서 만들고 있는 엔진도 비슷비슷합니다.
첫댓글 유디 엔진은 현대 83년식 90a에 장착된 엔진이 전부인걸루 압니다. 자동차 용으로 닛산디젤엔진 ud는 장착되어 나오지 않는걸루
대신 일본의 히노엔진이 많이 보급된 경우 있습니다. 그렌토,아시아트랙터 일부모델, 현대420마력 초창기 모델등은 히노 엔진입니다.
히노 엔진의 내구성은 형편없습니다. 대우엔진과 엇비슷 하다라고 말해도 좋을것입니다. 그러나 분명한건 우리보다 조금 났다라는것과 유럽엔진과는 비교도 안됨,
우리나라는 완전히 산악지형 아닙니까 이런 산악지형에 견뎌내질 못해 엔진이 많이 .뽀사지기도 했구요 엔진부품가격은 수입차 못지않게 빗쌈
ud엔진은 닛산트럭의 대표적인 디젤엔진이고, 동아자동차(현재 쌍용)에서 닛산으로부터 수입해서 차 팔아먹을때 da10, da20모델의 엔진입니다. da30, 50은 대우 2848엔진을 올렸는데 개판엔진이죠.. 현재도 삼성대형트럭은 ud엔진을 쓰고 있읍니다. 닛산에서 92년에 단종된 모델 라인을 수입해서 94년부터 만들다 말았죠
하지만 ud엔진은 구형엔진이여도 폐차무보링엔진입니다. 중고15톤덤프 동일연식중에서 삼성트럭이 단가 제일 쌥니다. 10년 넘게 굴렸어도 바닥에 엔진오일 안비칩니다. 현대대우엔진 3년이면 바닥에 오일 쬐금씩 묻히고 다니죠. "히노"는 아시아(기아)중형, 대형트럭의 원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시아 레미콘, 덤
엔진은 무조건 히노 v8짜리 엔진이고 구형 5톤 라이노도 히노6짜리, 그외 카고, 추레라 등은 대우 2848엔진에다 터보도 마음대로 갖다 붙여놓고 했죠, 히노엔진은 출력은 좋으나 3-5년에 한번은 보링을 해야됩니다. 달팽2님이 쓰신 현대대형차에 유디와 히노엔진이라... 제가 아는 바로는 좀 아리송 하네요. 현대는
좋게 말씀드리면 일본 "미쓰비시"의 친구라고 보시면 되지요. 현대트럭 예전에 비해 참 많이 발전했지요. 예전부터 운전밥 드신분은 아실겁니다. 미쓰비시 Fuso라는 차.. 예전 현대대형트럭은 미쓰비시와 거의 동일하고(운전대 좌측이동) 지금 현대에서 만들고 있는 엔진도 비슷비슷합니다.
그만 줄여야 겠군요. 유디엔진의 성능은 구형엔진 치고는 "베리굿" 보급율은 현제 삼성대형차(덤프, 레미콘, 카고, 추레라, 소방차등), 구형 da10,20트럭, 소형선박, Nissan크레인 등에 쓰이고 있읍니다.
위 두분의 시원스런 답변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