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팔도새사랑 원문보기 글쓴이: 새조아하태석
지난 7월 30-8월 3일까지 전국환경운동연합과 전남중등생물교육연구회, 경남환생교 공동으로 DMZ와 민통선지역 생태조사를 하였습니다. 여러가지 의미를 담고있는 조사를 하며 많은것을 느끼고 보고 왔습니다. 보고서가 아직 만들어지지는 않았지만 기록하는의미로 올려보았습니다. 이 일정기록은 전남중등생물교육연구횡 임원진에서 작성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같이 다녔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DMZ지역 생태조사
□ 일시: 2006년 7월 30일(일) - 8월 3일(목) (5일)
□ 조사지역: 서해 연안(강화도) - 동부산악지역
□ 조사자:
- 주조사자: 김인철, 차인환, 박그림
- 보조조사자: 전국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김경원, 선영, 권은형, 전남중등생물교육연구회장 이정식 외 7인, 경남환생교 김덕성회장 외 2인
■ 조사 1일째 - 7월 30일(일)
- 날씨: 흐리고 구름이 많이 낌. 아침에는 안개가 많이 끼었으나 서서히 걷힘.
- 조사지역: 강화도, 유도소대, 김포 시암리
○ 07:30 출발
○ 08:30-09:30 아침식사
○ 09:50 흥왕리 새우양식장
- 물때: LH→
- 관찰종: 저어새(6, 대부분 어린 개체임), 흰뺨검둥오리, 괭이갈매기, 재갈매기, 중대백로, 노랑부리백로(17), 왜가리, 민물가마우지, 뒷부리도요(35>), 청다리도요, 꼬까도요(2)
- 지역 특성: 새우양식장(해양수산) 운영 안 함.
○ 10:30 이동
○ 10:35 동막해수욕장 전 갯벌
- 관찰종: 알락꼬리마도요(142), 노랑부리백로(27), 마도요(14), 중대백로(13), 청다리도요(32), 뒷부리도요(78), 저어새(21), 흰뺨검둥오리(4), 왜가리(6), 큰뒷부리도요(1), 민물도요(9), 흑꼬리도요(4), 괭이갈매기(100)
- 식물상: 세섬메자기, 지채, 갈대, 칠면초
- 특이점: 저어새 J08 발견
○ 11:05 이동
○ 11:30 택지돈대
- 관찰종: 저어새(2, 성조1, 유조1)
○ 12:15 선두4리 어판장 (가천의과대학교 앞)
○ 12:30 각시바위 관찰
- 관찰종: 저어새 5 (각시바위 오른쪽 아래편)
○ 12:40 선두4리 갯벌 앞
- 저어새 1(성조) 관찰. 채식 및 탐색 행동을 보여줌.
○ 14:40 유도소대 검문초소
○ 15:00 초소에서 유도 관찰
- 관찰종: 저어새 없음, 쇠기러기 1, 흰날개해오라기(6),
- 식생: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저어새가 둥지를 틀었던 동쪽 사면에 식물이 지면을 덮었음.
- 특이점: 7월 4일(화) 조사시 저어새 4쌍 번식 시도함. 모두 실패한 것으로 추정됨.
○ 15:45 이동
○ 17:25 12대대 시암리초소 철수
○ 17:50 김포 시암리 초소 앞, 한강 하구 경관 확인
조사종료
숙소: 고양 중산 힐스청소년수련원
■ 조사 2일째 - 7월 31일(월)
- 날씨: 구름 많이 낌
- 조사지역: 장항벌, 임진강․한강 하구(교하소초~만우천․오금천 하류)
- 조사자: 고양환경연합 활동가 3인 결합
○ 07:30 출발
○ 08:10-08:45 식사
○ 08:45-09:00 이동
○ 09:00 한강하구 장항벌
- 지역특징:
1) 재두루미(천연기념물 203호) 월동지역:
- 한강하구-김포매립지-오두산전망대 앞 등 약 2,000여 마리가 월동.
- 장항벌지역은 매년 100여마리의 재두루미가 월동하는 지역임.
- 재두루미는 한강을 오고가며 김포 홍도평야의 낟알곡식섭취, 간조시에는 장항벌에서 지방공급원 채식.
2)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지정: 지난 4월, 환경부에 의해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됨.
3) 장항벌 야생동물 관리방안 시급 필요: 지난 7월 홍수시, 불어난 물을 피해 열어준 통문 사이로 나온 고라니 20여 마리가 자유로로 뛰쳐나가 차에 부딪혀 죽음. 장항벌 내 서식하는 야생동식물의 실태 파악, 서식지 관리방안, 재난시 조치방안 등 관리방안 마련 시급.
- 관찰종: 고라니(발자국, 어미와 어린 것), 너구리, 쇠백로, 중대백로, 왜가리, 말똥게(조간대 상부, 담수가 유입되는 곳에서 삼) 등
- 식생: 갈대(땅속줄기는 겨울철 고니의 좋은 먹이가 됨), 부들, 버드나무군락, 지의류
○ 10:10 고라니 1
○ 10:50 고라니 1, 어린 고라니 1
○ 11:10 깝작도요 1
○ 11:30 장항벌 조사 종료
○ 11:30-13:00 점심
○ 13:00-13:30 자유로 휴게소 이동
○ 14:10 오두산전망대 교하소초 민간인 제2 출입통제소
○ 14:35 이동
- 관찰종: 저어새 6 (초록도 근처 갯벌, 채식중)
○ 14:45 교하소초 아래 (15통문)
- 지역특징: 국토지방관리청(건설교통분 산하) 주관 자유로 이북 농경지 및 도로 보호를 목적으로 제방보강공사(높이 8.8m)가 진행중 이었음. → 이 지역은 습지보호지역으로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공사에 대해 환경부 및 건설교통부 문의 필요.
○ 15:15 이동
○ 15:25 19통문 앞
- 지역특징: 제방보강공사 시작지점
- 관찰종: 저어새 7 - 더 가까이에서 관찰
○ 15:30 이동
○ 15:35 No.2100~2102
- 저어새 관찰
○ 15:50 이동
○ 16:00 만우천, 오금천 하류
- 지역특징: 원래 한강의 배후습지로서 물길이 얼기설기 나있던 만우리를 농경지로 만든 곳임. 저어새가 이곳까지 올라오기도 함.
- 식생: 메자기, 세섬메자기군락
16:10 이동 (탄포천소초-쌍수문소초-낙하리소초-바위중대)
16:30 바위소초. 조사종료
■ 조사3일째 - 8월 1일(화)
- 날씨: 맑게 갬, 바람 붐.
- 조사지역: 철원평야, 김화 남대천, 승리전망대 앞
○ 09:00 대마리소초 출입절차
○ 09:15 관전리소초 출입
- 지역특징: 길 양쪽에 250~300개체의 백로 번식지있음. 1차 번식 완료, 2차 번식 진행중. 한국전쟁 이전 철원시가지가 있던 곳이었으나 전쟁중 폭격, 지뢰매설로 시가지는 소개되고 현재는 자연습지상태로 돌아가고 있음.
- 식생: 갈대, 버드나무
- 관찰종: 고라니(발자국), 호반새/청호반새(이전 조사)
○ 09:35 이동
○ 09:47 월정리역
- 지역특성 : 옛 월정리역 보존(총탄구멍난 기차?)
○ 10:15 월정 전망대
- 철원 두루미류 월동 상황 (진익태)
전 세계 두루미 13종 중 7종이 한국에 옴. 이중 6종이 철원에서 발견됨. 철원에서 매년 두루미(Red-crowned Crane) 600개체,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700개체가 월동하고 있음. 9월 말이면 내려오기 시작해 11월 초까지 이동한다. 두루미류는 남하할 때 철원지역에 집중하고 봄철 북상시에는 분산되는 경향이 있다. 재두루미의 경우 이동시기 2,300여 마리까지 관찰될 때도 있다.
- 관찰종: 고라니 3(군사분계선 내부, 채식중)
○ 10:55 아이스크림고지
- 아이스크림고지를 탐조대로 활용하기 위한 주변정비(도로, 탐조시설 등)를 끝마친 상태이나 탐조대가 공식적으로 개장할 경우 보호지역지정을 우려하는 지역주민여론으로 인해 공식적으로 개장하지 못한 상태임. (양하승선생 아이스크림 벙커에 갇힐 뻔..)
- 고지주변 농경지 6-7만원/평 선 거래, 월정리역 주변 3~40만원/평 선 거래.
○ 11:45 토교저수지 (철새보는 집)
○ 12:00 양지리초소, 철원평야 조사 종료
○ 14:20 생창리입구 5소초(철원군 김화읍)
○ 14:45 남대천 생창리 용양보 (암정교 앞)
- 관찰종: 깝작도요(3)
○ 15:10 남대천 상류 금강산 철로 남아있는 곳
- 관찰종: 민물가마우지(3)
○ 15:30 승리전망대(15사단 관할)에서 DMZ 지역 조망
- 지역특징: 남대천 물길, 농경지, 철로 등
○ 15:40 조사종료. 양구로 이동.
■ 조사4일째 - 8월 2일(수)
- 날씨: 맑음
- 조사지역: 두타연~월운리, 용늪입구, 해안마을, 을지전망대
○ 09:00 소초 출입절차
○ 09:30 ~ 12:00 두타연, 월운리 차량 이동
- 지역특징 : 두타연은 양구지역의 관광지도에 소개되어 있을 정도로 빼어난 경관과 웅장한 폭포수가 인상적이었음. 양구군청에 신청한 후 출입허가가 있어야 가볼 수 있음.
- 식생: 길가를 따라 노루오줌, 으아리 등이 군락을 이룸
- 관찰종: 긴꼬리제비나비, 우화중인 (말?)매미, 쇠살모사, 지의류(콜렘마)...
○ 12:00 점심
○ 12:40 대암산 자락 용늪입구에 도착하였으나 이번 비로 인해 도로가 유실되어 들어갈 수 없었음, 이동중 길가의 동자꽃 등 식생촬영을 하다 군 5분대기조 출동 해프닝.
- 멧새, 지의류(클레도니아), 짚신나물, 딱지꽃, 좁쌀풀, 활량나물외 다양한 이끼류와 지의류 관찰
○ 14:30 해안마을(펀치볼)_특별한 분지지형 /을지전망대
- 해안마을의 유래, 백두대간 줄기, 전망대 관측장교(전 교사) 안내 있었음
○ 17:10 조사종료. 원통 이동 도착.
■ 조사5일째 - 8월 3일(목)
- 날씨: 맑고 무더웠음
- 조사지역 : 양구군 서화면 가전리 배후습지 - 고성재 (산양서식지)
○ 09:00~15:00 왕복 4시간 이동, 박그림 선생님 안내와 산양서식지 관찰(남방한계선 철책안쪽)
- 지역특성 : 깊고 긴 계곡을 끼고 있어 이동에 어려움이 있었음
- 여름에도 가끔 산양이 발견된다는 초병의 말이 있었음.
- 딱새, 알락제비꽃, 이동 중 도로 가상 자리로 개쉬땅나무 꽃이 만발, 개달래, 동자꽃
○ 15:00 조사종료
첫댓글 더운 날씨에 수고가 많으셨습니다
유익한 자료 제공에 감사드림니다, 무더운 날씨에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