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시경제학 교과서 (이준구저) '수학노트와 연습문제해답'에 있는 문제 중 하나인데요..

어떻게 풀어야할지 해설에 봤는데 해설이 이렇게 나와있었습니다. 그런데 해설도 이해가 잘 안가서 해설도 한번 올려봅니다.
해설 앞부분이 짤렸는데, 앞쪽에 '생산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RTSx=RTSy가 충족되어야하므로'라고 써있습니다.

뒷쪽에는 '이를 정리하면 결론적으로 전체시간중 1/4, 갖고있던 자본의 3/4를 쌀생산에 투입하는것이 효율적이다' 라고 써있습니다.
혼자서 풀어볼 때 Kx/3Lx=3(K-Kx)/L-Lx까지는 도출했는데 그 뒤부터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해설지에서도 그 뒷부분 (세번째 문단 한계생산변환율은 생산가능곡선 위의 한 점에서~부터)은 갑자기 처음보는 기호들을 도입하면서 쌀과 옷의 생산함수를 전미분해서 잘 이해가 안갑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하는건가요??
2.마인드교재 126페이지 조건부청구권시장에서의 일반균형 분석에서 '농부A가 위험기피자이고 농부B가 위험중립자일 때' 빗금친영역이 파레토개선이 가능한 영역인 것은 이해가 가는데 자율적으로 맡길 경우 선택점이 C점이 된다는 것이 왜 그런것인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무위험선 위면서 빗금친 영역 안에 있는 선분 중 아무 점에서나 선택점이 성립하는 것 아닌가요??
첫댓글 1. 학부수준의 경제학을 넘어서는 수준이며 절대 나올 수가 없는 내용인데요..ㅠㅠ 심지어는 댓글로 설명드리는 것도 불가능한 부분입니다. 위에 이상한 수식은 별거 아니에요. 생산함수를 미분하면 합성미분이어야 하는데 너무 복잡하니까 일반화시켜서 설명해주신 내용입니다. 제 생각에는 넘어가셔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마치 라그랑지안을 증명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불필요한 부분처럼 생각됩니다.
2. 위험중립자의 경우 교환비율(상대가격)이 자신의 무차별곡선과 기울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됩니다. 비슷한 문제가 많으니까 '농부'라는 키워드로 검색해 보시고 해결안되시면 다시 질문해 주세요~
위험기피자의 경우, 무위험선에서 가장 효용이 클테니까 무위험선 위에서는 무차별곡선의 기울기가 등기대치선의 기울기인 EXa와 같을 것이고, 위험 중립자의 경우 무차별곡선이 직선이므로 빗금친영역에 있으면서 무위험선 위에있는 모든 점에서 교환비율과 두 무차별곡선의 기울기가 같아지지않나요???
어디가 이해가 안가시는건지 이해를 못하겠네요. 그림을 그려서 설명드리는것도 쉽지 않은 부분이라 글로만 설명 드리기에는 역부족이에요. 무차별곡선의 기울기가 같아질수밖에 없는 곳에서 교환하게 됩니다.
음...그러니까... 빗금친영역에 있으면서 무위험선 위에있는 모든 점에서 교환비율과 두 무차별곡선의 기울기가 같아지지는거같은데 왜 그중에서도 C점에서 교환이 이루어지는지가 궁금합니다.
@치즈 그 점들을 지나가는 직선들 중 초기부존점을 지나는 직선은 단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