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6인치 4K UHDTV Ready(CACC/CA860UD)를 처음 접하면서 느낀 것은 "화면이 크다"라는 것이다. 그리고 의외로 중소업체 치고는, 화질이 괜찮아 보였다. 이러한 느낌은 개인적인 것이지만, 지난 9월 21일~23일까지 용산 카페 사무소에서 전시를 하여, 20여분이 직접 보고 가셨는데, 대다수의 분들이 대화면에 만족감을 나타내셨고, 화질도 나름 괜찮다는 평가를 해주셨다. 즉, 가성비적으로 만족감을 나타내셨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느껴졌다. 삼성-LG TV만을 주로 사용하던 탓인지, 각종 TV기능의 편의성에서 부족함이 느껴졌고, 특히 화면의 색감 등에서도 삼성-LG에 비해 부족함이 느껴졌다. 그래도 다행스러운 건 빛샘이 대화면에 비해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보던 TV가 주로 65인치 이내여서, HD방송 화질에 대한 거친감을 크게 의식하지 않았는데, 대화면의 4K UHDTV에서는 HD방송 화질이 다소 거칠게 느껴졌다. 4K UHDTV에는 4K UHD소스로 봐야 한다는 논리가 확연하게 느껴졌다. TV기능은 단순하다. 지상파나 케이블TV(8VSB)의 HD방송을 수신하여, 70여개의 HD방송을 시청할 수 있고, HD영상을 USB 동영상 재생기능을 이용해서 감상은 가능하다. 그리고 운영자가 확인한 바로는, 제품 브로셔에는 HDMI 2.0으로 표기가 되어 있지만, 4K@60Hz가 지원되는 HDMI 1.4b였다. 이 부분은, 상당수의 중소업체들도 상황이 비슷해서, 단점으로 지적하긴 힘들지만, 어찌되었든, 이 부분은 가성비로 만족을 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현재 동급 사이즈 LG전자 86인치가 국내 시판 제품이 1,600만원이라는 점을 감안해서 볼 때, 380만원은 분명 매력적인 가격이다. 동급 사이즈 LG전자 86인치 4K UHDTV Ready를 해외 직구로 구입한다 해도, 제반비용을 모두 포함하면 900만원 이상은 되어, 380만원은 분명 매력적인 가격임에는 틀림이 없어 보였다. 특히 프로젝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프로젝터의 불편함이 있었다면, 프로젝터에 비해 다소 화면이 작긴 하겠지만, 나름 프로젝터의 대화면 느낌도 들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86인치 4K UHDTV Ready(CA860UD)의 소비전력은, 평균 410W정도 되었다(제품 사양엔 500W표기). 화면 크기에 비하면, 그리 높은 편은 아니지만, 일반 가정에서 하루 5~6시간 사용하기엔 전기료가 다소 부담이 될 수도 있겠지만, 예전 50인치 PDP TV에 비하면, 그래도 전기료에 부담은 그리 크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이번에 CACC사의 86인치 4K UHDTV Ready(CA860UD)를 10월 16일(월) 오전10시부터~17일(화) 오후5시까지 카페 공동구매 게시판에서 공구를 진행한다. 원래는 추석 연휴 이전에 배송-설치를 목표로 하였으나, 3가지 인증 중, 하나를 아직 받지 못해, 부득이 이번 추석 연휴가 끝나고 나서 공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그동안 운영자는 중소업체 4K UHDTV에 대해 거의 추천하지 않았다. 가장 큰 이유는 최신 TV의 기능인 HDR미지원과 지상파 4K UHD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 그리고 향후 AS문제들 때문이었다. 하지만, 기능적으로 일부 부족한 부분은, 가격적인 매력으로 감내를 한다치면, AS부분이 우려가 되었지만, 이 부분 또한 삼성-LG처럼 곧바로 응대는 못해줘도, AS대행업체가 해주기 때문에, 그리 우려하지는 않아도 될 것 같다. ☞스탠드 기준 제품 사이즈 ☞무게 : 90Kg |
▶86인치 4K UHDTV Ready 제품 브로셔(CACC/CA860UD)-업체 제공
첫댓글 HDR미지원이라고 되어있는데 hdr은 하드웨어에서 구현하나요? 아니면 소프웨어에서 구현하나요?
얼마전 본 게시판에 올려드린 13829번 "HDR이란?글을 참조해 보세요.
물론 이 제품도 지상파UHD 범용컨버터가 없으니까 삼성-LG 전용 컨버터는 호환이 되지 않겠지요?
예. 맞습니다. 삼성-LG가 출시한 지상파 UHD방송 수신기(컨버터)는, 2017년 이전 출시 삼성-LG 4K UHDTV하고만 연동이 됩니다. 아무래도 중소업체나 외산 UHDTV는, 언제 일지는 아직 알 수 없으나, 범용적 지상파 UHD방송 수신기(세톱박스)가 나와야만, 지상파 UHD방송을 시청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유료방송 UHD세톱박스로, 유료 UHD방송은 시청이 가능합니다.
놀랍네요. 직접 가서 보면 좋겠지만 그럴수 없는 형편인지라.....궁금한건 딱 하나.... 채널 바꿀때 팍팍 바뀌나요. 이게 젤 궁금
꼭 공구 목적 달성하면 좋겠네요.
Test를 위해 잠시 가졌왔던 제품을 인증을 위해 오늘 회수해 가서 채널 전환 속도를 정확히 확인해 드리리수가 없지만, 삼성-LG TV랑 채널 전환 속도 차이는 크게 으식하지 못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