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갈마루
 
 
 
카페 게시글
농사 자료실 스크랩 밀 재배: 밀 재배기술
신상범 추천 0 조회 118 09.10.12 21:58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밀 재배기술

 

1. 재배적지

○ 토 성 : 식질양토

○ 토양산도 : 6.0 ~ 7.0

○ 토양수분 : 포장용수량의 60~70% 정도

농경지에 관개 또는 강우로 많은 물이 가해지면 과잉수의 대부분은 큰 공극을 통하여 배제되고 그 후 물의 표면장력에 의한 모세관작용으로 물의 이동이 계속되다가 이 작용에 의한 이동이 거의 정지되었을 때 이 표층토의 수분을 포장용수량이라고 한다.

○ 토양 공극률 : 30~35% 이상

 

1) 밀 품종별 재배적지

품종명

도별

산간 고랭지

중산간지

중간지

평야지

해안지

1모작

2모작

1모작

2모작

1모작

2모작

금강밀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5

7

5

8

5

7

5

 

품종명

도별

산간 고랭지

중산간지

중간지

평야지

해안지

1모작

2모작

1모작

2모작

1모작

2모작

조경밀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4

8

5

8

6

8

6

 

품종명

도별

산간 고랭지

중산간지

중간지

평야지

해안지

1모작

2모작

1모작

2모작

1모작

2모작

우리밀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3

5

 

5

 

5

 

 

품종명

도별

산간 고랭지

중산간지

중간지

평야지

해안지

1모작

2모작

1모작

2모작

1모작

2모작

조품밀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4

8

5

8

5

8

5

* 금강밀이 전체 재배면적의 90% 이상을 차지함

 

2) 밀 품종별 주요특성

번호

품종명

육성 연도

출수기(월.일)

성숙기(월.일)

수량성(㎏/10a)

주요특성

1

조광밀

1976

5. 7

6.14

340

면 용

2

올 밀

1976

5. 5

6.13

384

3

다홍밀

1979

5. 2

6. 9

393

4

청계밀

1979

4.28

6. 8

446

5

그루밀

1980

4.29

6. 8

451

6

은파밀

1982

5. 1

6.11

395

7

탑동밀

1986

5. 3

6.11

470

8

남해밀

1988

5. 2

6.11

541

9

우리밀

1992

4.27

6. 7

529

과자용, 다수성

10

올그루밀

1994

4.26

6. 8

477

면 용

11

알찬밀

1995

4.30

6.11

489

12

고분밀

1996

4.30

6.11

478

13

서둔밀

1997

4.29

6. 9

485

14

금강밀

1997

4.28

6. 9

422

면용, 다수성

15

새올밀

1997

4.27

6. 8

532

면용

16

진품밀

1998

5. 1

6.11

530

17

밀성밀

1998

4.27

5.28

524

18

조은밀

2000

4.21

5.29

414

면용, 조숙

19

조품밀

2001

4.20

6. 1

454

면용, 조숙, 다수

20

안백밀

2001

4.30

6. 8

542

면 용

21

신미찰밀

2002

4.24

6. 3

507

특수용

22

조농밀

2003

4.17

5.30

465

면용, 조숙

23

조경밀

2004

4.19

6. 2

519

빵용, 조숙, 다수성

24

연백밀

2005

4.23

6. 4

605

면 용

25

다분밀

2006

4.27

6. 6

511

26

신미찰1호

2006

4.30

6. 9

558

특수용

27

백중밀

2007

4.29

6. 7

535

생면용, 내병성

28

적중밀

2007

4.29

6. 7

533

제면용, 내병성

*밀가루의 품질은 경질, 반경질, 중간질, 연질 등으로 구분되는데 그 용도가 각각 다르다.

*과자용: 연질소맥(분상질 소맥)으로 제분한 밀가루로 밀가루 중에 결정입자가 없기 때문에 손끝으로 비벼보면 매우 매끄럽다. 이것은 단백질과 부질의 함량이 적으며, 신전성이 다소 강한 것은 가락국수를 만드는데 알맞고, 신전성이 약하며 단백질함량이 적은 것은 카스테라, 튀김용 및 비스킷 등 과자용으로 알맞다.

*면용: 국수용으로 사용되는 밀가루는 주로 반경질이나 중간질 밀가루가 사용된다. 반경질분은 결정입자 및 단백질과 부질의 함량이 경질분보다 다소 적고 비교적 신전성이 있기 때문에 빵을 만드는데 이용되지만 국수용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중간질분은 단백질과 부질의 함량이 경질분과 연질분의 중간 정도이며, 그 중에서 신장력이 있는 것은 국수용으로 알맞고, 신장력이 약한 것은 제과용으로 쓰인다.

*빵용: 고급 식빵을 만드는 경질분은 밀가루를 손끝으로 비벼보면 매끄럽지 못하고 거칠거칠한 감이 있는데 이것은 밀가루 중에 결정입자가 있기 때문이다. 경질분은 단백질과 부질의 함량이 많고 장시간에 걸쳐 신전성이 있으므로 식빵을 만들 때 잘 부풀어 오르고 빵이 탄력이 있고 부드럽다.

 

2. 종자

1) 종자 고르기

○ 종자가 충실하고 건조가 제대로 되어 발아력이 충분히 있을 것

○ 다른 품종 및 병해충 피해가 없을 것

○ 소금물가리기 : 물 20ℓ에 소금 4.5kg을 녹인 후 충실한 종자 고르기

 

2) 종자소독

종자 15~18㎏(10a파종량)에 카보람(비타지람)분제 1봉지(40g) 비율로 소독하는데 약제가 종자표면에 고루 묻을 수 있도록 10a파종량씩 소량으로 나누어 약과 종자를 잘 섞어준다. 소독약제는 종자량에 비하여 소량일 뿐 아니라 입자가 미세한 분말이므로 소독작업이 조잡하여 약제가 고루 묻지 않으면 살균효과가 없으므로 반드시 종자 표면에 약제가 고루 묻도록 정밀작업을 하는 것이 소독효과를 높일 수 있다. 소독 후 3주 이내에 파종하도록 한다. 

<종자 전염병해 발생 면적 현황 (농진청 : 2001)>

구 분

1981

1985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병발생면적(㏊)

374

242

127.1

103.5

117.3

84.8

89.8

95.1

83.7

75.1

67.5

90.6

깜부기병(%)

19(5.1)

32(13.2)

8.5(6.6)

4.9(4.7)

1.0(0.9)

2.7(3.2)

3.1(3.5)

4.9(5.2)

-

13.1(17.4)

-

-

줄무늬병(%)

12(3.2)

6(2.5)

3.1(2.4)

5.6(5.4)

0.5(0.4)

0.2(0.2)

0.0(0.0)

0.0(0.0)

-

2.5(3.3)

-

-

 

○ 종자로 전염되는 깜부기병과 줄무늬병 등을 예방하기 위해 파종 전에 반드시 종자를 소독해야 함○속깜부기병은 균이 종자 내부에 들어가 있으므로 온탕침법으로 제거해야 함

종자를 냉수에 6~7시간 담갔다가 50℃의 온탕에 2분간 담근 후 다시 53℃ 온탕에 5분간 담근 다음 냉수에 식혀서 그늘에서 건조시킨 후 파종함

○ 약제 소독은 종자 1㎏에 카보람(비타지람)분제 2.5g 비율로 섞어서 소독약이 종자 표면에 고루 묻도록 함

○ 소독한 종자는 오래 두어도 약해가 없으나 식용 및 사료용으로는 사용금지

전염경로

병 해 명

종자 주로 종자 일부 종자

겉깜부기병, 줄무늬병 비린깜부기병, 줄무늬마름병 붉은곰팡이병, 설부병

 

3. 경운·정지

1) 경운

밀 파종전의 경운작업은 앞작물 재배시 토양이 지나치게 굳었을 때 토양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밀생육에 알맞은 토양공극을 많게 하고 뿌리의 발달을 좋게 하며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경운과 정지를 하는 편이 좋으나 최근의 보리재배는 생력기계화 측면에서 잡초는 제초제 등으로 해결하고 또 경운과 정지에 의한 토양물리성의 개량은 토양 중에 산소가 많은 건답이나 밭에서는 효과가 그리 크지 않다.

경운작업은 쟁기, 또는 로터리를 이용하며 산성토양에는 경운 전에 소석회 또는 농용석회를 살포하여 토양의 산성화를 개량하여야 한다. 로터리경운을 할 때에는 파종부분 또는 고랑부분만 얕게 경운하는 경우가 있다. 부분경운은 건답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잡초의 발생이 많은 곳에서는 미리 제초제를 살포하여 제초하여야 하며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는 무경운 부분의 잡초가 그대로 자라서 파종 후에 제초제를 살포하여도 완전히 죽지 않고 보리보다 생육이 왕성하여 제초작업에 어려움을 가져오게 된다.

경운은 로터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간단하나 잡초가 많을 때나 앞그루의 부산물을 묻어버려야 할 때에는 쟁기를 이용 경운하는 편이 유리하다. 그러나 또다시 로터리를 이용로 쇄토, 정지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잡스러우므로 트랙터부착 줄뿌림파종기를 이용하여 휴립, 경운, 정지, 파종, 복토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파종 일관작업 체계에 의한 파종법이 가장 좋은 파종방법이다.

벼 수확 후 포장이 과습할 경우 기계 파종이 어려우므로 밀을 파종할 논은 논토양의 특성을 고려하여 물떼기 작업을 적기에 실시하여 벼 수확을 후 바로 밀을 파종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콤바인 수확을 한 볏짚이 절단되어 깔려있는 논에서 휴립세조파를 할 경우 배수구를 만들어 주는 로터리 날이 역회전하므로 볏짚이 걸려 배수구 설치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고, 파종량을 조절하여 주는 지지 고무바퀴가 겉돌게 되어 알맞은 파종량 조절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휴립복토기에 볏짚이 말려서 볏짚이 모이고 파종된 종자를 한 곳으로 몰리게 하며 파종심도 또한 불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파종전 볏짚이 과도하게 깔려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전작 재배 시 경운을 실시하고, 논뒷그루로 재배 시 무경운으로 함.

 

2) 이랑

○ 전 작 : 이랑나비 40cm, 골나비(파폭) 18cm(평휴조파)

○ 논뒷그루 : 이랑나비(휴폭) 120cm, 골나비(파폭) 90cm(휴립광산파)

 

4. 파종

1) 파종적기 및 한계기

보리, 밀의 내한성은 생육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종자가 발아하여 잎이 1매 나온 상태에서는 상당한 내한성을 가지고 있다. 그 후 잎이 2매, 3매 나오고 배유의 양분이 소모되면서 추위견딜성은 차츰 약해져서 잎이 3~4매 나왔을 때가 가장 추위에 약하고, 그 후에는 차츰 추위에 견디는 힘이 강해져서 잎이 5~6매 나왔을 때가 추위에 가장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보다 더 자라서 잎이 7매 나오면 줄기속에 어린이삭 즉 유수가 생겨서 추위에 견디는 힘이 급격히 약해진다. 유수는 영하 3~4℃에서도 얼어 죽게 되지만 유수가 생기지 않은 가지가 얼어 죽는 온도는 쌀보리 영하 14℃, 겉보리 영하 17℃, 밀은 영하 25℃에서 수시간 처하면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생장점 부위의 온도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기상예보에서 쓰는 백엽상의 기온과는 다르다.

따라서 보리가 안전하게 월동할 수 있는, 내한성이 가장 강한 상태로 자란 후에 본격적인 추위를 맞을 수 있도록 파종하는 것이 적기라고 볼 때 월동 전에 본잎 5~6 매를 확보 가능한 파종시기가 적기라고 할 수 있다.

맥류재배는 혹한기인 1월의 최저기온평균을 기준으로 몇 개의 지역으로 구분하고. 또한 같은 지대라 하더라도 표고에 따라 상당한 기온 차가 있기 때문에 맥류의 파종적기는 지대별, 표고별로 설정되어 있다.

○ 지대별 파종적기 및 한계기

지대별

평야지(월·일)

중간산지(월·일)

적기

한계기

적기

한계기

산간부

10.10~10.20

10.25

10. 5~10.15

10.20

평야부

10.20~10.25

10.30

10.10~10.20

10.25

해안부

10.20~11. 5

11.10

10.15~10.25

10.30

○ 파종기가 늦어졌을 때: 파종량을 늘리고 거친 퇴비를 덮어주며 복토를 충분히 하여 월동 중 한해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함

밀, 보리를 파종한 후 땅위로 잎이 출현하기까지의 소요일수는 10월 1일 파종과 11월 5일 파종간에는 11일 이상 차이가 난다. 이는 보통 보리 출현에 필요한 적산온도가 130℃로 만파시 파종부터 출현까지 적산온도를 채우기 위해서 더 많은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파종기에 따른 출현일수의 변화 (작시 : 1998)

파종기(월.일)

10. 1

10. 11

10. 21

11. 5

출현일수(일)

8

12

14

19

 

만파되면 월동에 들어갈 밀, 보리생육은 본엽이 1~4매가 되는데 이때는 동해에 약한 생육시기이므로 월동률이 떨어지고 분얼이 늦어 수수확보가 안되어 최종적으로는 수량이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성숙기도 늦어져 뒷그루 작물재배에도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있다.

 

- 일찍 또는 늦게 파종할 때의 불리한 점

일찍 파종할 때

늦게 파종할 때

○ 춘파성이 강한 품종(파성 Ⅰ~Ⅲ)을 너무 일찍 파종하면 겨울이 오기 전에 어린 이삭이 생겨 얼어 죽기 쉬움 - 싹튼 후 적산온도가 310~320℃ 정도 되면 어린 이삭이 생김

○ 추위에 가장 약한 시기가 이유기 (주간엽수 3~4개) 이므로 늦게 파종하면 얼어 죽기 쉬움.

○ 분얼 전개가 늦어져 참이삭수가 적어지므로 수량이 낮아짐

○ 성숙기가 늦어 후작물 심기가 늦어짐

※ 춘파성 품종은 적기보다 약간 늦게 파종하는 것이 이상 난동 시에 유리함

 

2) 재배양식별 파종방법 및 파종량

○ 파종방법 및 파종량

조곡수량을 600㎏정도로 목표한다면 ㎡당 이삭수는 750개 정도를 확보해야 된다. 그리고 400㎏정도라면 이삭수는 500개 정도가 되어야 한다. 10a에 15㎏을 파종하는 경우 대체로 겉보리는 ㎡당 477립, 쌀보리는 533립, 밀은 431립 정도의 밀도로 파종되어 파종한 씨앗의 80%가 싹이 트고 싹튼 것이 하나 정도만 가지를 친다 하더라도 가지 수는 750개 이상이 되어 평균 600㎏을 생산하는데는 충분한 파종량이 된다. 그런데 일반 농가에서는 다른 관리는 소홀히 하면서 파종량을 늘려 밀파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도복과 이삭이 작아지게 하고 무효분얼을 많게 하는 원인이 되므로 적량을 파종해야 한다.

구분

파종방법(cm)

파종량(kg/10a)

휴폭

파폭

전작

답리작

협폭파재배

40

18

13

-

휴립광산파

120

90

-

16

세조파재배

20~30

5

13

16

* 파종량은 지역별 재배양식, 파종기, 품종, 지력 및 시비량에 따라 조절

 

<트랙터부착 휴립세조파종기를 이용한 파종 및 초기생육광경>

 

3) 파종법

○ 전작 재배 : 골을 파서 이랑을 만든 다음 밑거름을 뿌리고 골바닥을 평평하게 고른 후 종자를 뿌리고 이랑을 흙으로 복토함

○ 논뒷그루 재배 : 종자 뿌리기 1주일 전쯤 제초제를 뿌려서 이미 발아한 잡초를 없앤 다음 밑거름을 하고 종자를 흩어 뿌린 후 골을 파 성휴하면서 복토는 3cm 이하의 경우 제초제 약해가 우려되므로 3~5cm 정도가 적당함

 

5. 시비량

1) 표준시비량

○ 쓰러짐 강한 품종

토 성

지역

N

P

K

퇴구비

석회

기비

추비

사 질 ~ 사양질

중북부

4.4

4.4

7.2

3.6

1,500

200

남 부

3.8

5.0

7.2

3.6

1,500

200

식양질 ~ 식 질

중북부

4.7

4.7

7.5

4.0

1,500

200

남 부

4.0

5.4

7.5

4.0

1,500

200

 

○ 쓰러짐 중~약한 품종

토 성

지역

N

P

K

퇴구비

석회

기비

추비

사 질 ~ 사양질

중북부

3.8

3.8

6.6

3.0

1,500

200

남 부

3.2

4.4

6.6

3.0

1,500

200

식양질 ~ 식 질

중북부

4.0

4.0

6.9

3.1

1,500

200

남 부

3.4

4.6

6.9

3.1

1,500

200

 

○ 질소 웃거름은 2회로 나누어 주되 1차 웃거름은 생육이 다시 시작된 직후에, 2차 웃거름은 1차시용 후 20일에 실시함

○ 퇴구비 및 석회는 실량

 

6. 배수로 정비

○ 밀은 습해에 약한 작물이므로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 하여 서릿발 피해 및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함

 

7. 잡초방제

맥류재배지의 잡초는 가을과 봄에 발생한다. 잡초는 작물과 경합하여 햇볕이나 흙속의 영양분을 탈취하여 생육을 저해하므로 수량을 감소시킨다. 그 이외에도 수확할 때 기계에 끼어서 수확작업을 곤란하게 한다. 잡초에 의한 생육과 수량감소는 분얼중기 이후에 특히 현저하다. 답리작 맥류재배지에는 뚝새풀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그 다음이 벼룩나물, 명아주, 별꽃 그리고 갈퀴덩굴 순이다. 건물중으로 보았을 때 4초종을 다 합하여도 뚝새풀에 비하여 적은 양으로, 답리작재배지에서는 뚝새풀만 방제하면 다른 초종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최근의 잡초방제는 제초제에만 의존하고 있으나 경종적인 대책으로 잡초가 많이 발생하는 포장에서는 쟁기로 포장전체를 경운하여 지표면의 잡초종자를 땅속 깊이 묻어버리거나, 반습답은 건답화하면 잡초발생을 줄일 수 있다.

남부 답리작 지대에 발생되는 잡초는 뚝새풀이 주종을 이루어 마세트를 사용하여 방제하여 왔으며 농가에서 수년간 단일약제만 사용하여 왔기 때문에 발생되는 잡초군락이 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마세트 연용으로 화본과 잡초는 거의 늘어나지 않는 반면 광엽잡초는 매년 급속히 늘어나는 것으로 관찰된다. 무경운이나 일부 경운 파종을 실시할 경우는 파종전에 발생되어 있는 잡초를 그라목손이나 근사미를 경엽에 잘 접촉되도록 고압분무기로 고루 살포한다. 살초력이 강하면서 속효성이고 잔효성이 짧다. 산포후 발생한 잡초는 살초되지 않으므로 파종전 5~7일에 처리함이 좋다. 잡초방제는 토양처리제가 효과가 큰 것이 많다. 파종 직후부터 수일 이내에 보리, 밀이 땅속에서 출아하지 않는 사이에 살포한다. 복토는 3㎝ 정도로 균일하게 한 다음 제초제를 살포한다.

경엽처리제는 월동후 잡초가 많이 발생하였을 때 잡초의 잎과 줄기에 뿌리므로서 보리나 밀에는 약해가 없고 잡초만 죽이는 선택성 제초제로서 발생되는 잡초의 종류 등을 잘 파악하여 사용해야 한다. 3월 중하순에 광엽잡초가 많이 발생되었을 때 밧사그란을 잡초의 잎과 줄기에 살포하므로 월동후 맥류 생육 초기에 발생하는 잡초를 제거하여 맥류와 경합을 방지하여 수량 감소나 품질 손상을 방지한다. 경엽처리형 제초제를 뿌릴시 주의할 점은 고압분무기는 보리에 약해가 나기 쉬우므로 압력이 약한 분무기로 보리골의 잡초에만 뿌려주어야 한다. 또한 이 약제는 광엽식물에 대한 살초력이 크므로 부근의 과수원, 관상수, 화훼류 및 채소류가 있을시 약액이 날아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약효는 뿌린후 1주일 이내에는 변화가 없으나 그 후 2주일쯤부터 서서히 시들어 죽는다.

 

1) 토양처리제 : 파종 후 7일 이내 

2) 경엽처리제 : 3월중에 처리

 

3) 파종전 처리유형

○ 벼 입모중(9하순) - 알라입제(라쏘) 5kg/10a

○ 보리 파종 7일전 - 파라코입제(그라목손)

 

4) 파종후 처리 유형(3일 이내)

○ 부타유제(마세트) 300㎖/10a

 

5) 생육중 처리 유형

○ 생육재생기(2중순) : 리누론 수화제(아파론) 300g/10a

○ 잡초 3~4엽기 : 벤타존 액제(밧사그란) 300cc/10a

*토양에 물이 많으면 제초제 살포를 피하고 월동 후 경엽 처리형 제초제를 사용해야 함.

 

8. 중경 및 배토

○ 복토 : 월동전과 월동 후 분얼이 왕성할 때 까지는 1cm정도 무효 분얼기 이후는 2~3cm 이상의 흙넣기를 하여 분얼억제와 쓰러짐 방지 및 잡초발생 억제 효과 증대

 

작성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정영근 ☎ 063-840-2294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