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제 |
*모음의 종류와 특징을 구분해 논술하시오. ( 6 학년)이름 박선정 |
서론 |
한글이 생기기 전 우리나라는 중국의 한자를 오랫동안 사용하였다. 신라 시대에는 한자의 음과 훈으로 우리말을 나타냈는데, 이것을 이두라고 한다. 조선 시대에는 네 번째 임금임 세종 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처음 훈민정음은 한글의 첫 이름이었고 처음에는 28자였다. 그런데 그 중에서 ㆁ, ㅿ, ㆆ, ㆍ의 4 글자를 사용하지 않아서 지금은 24자만 남아 있다. 한글은 닿소리와 홀소리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것은 동양 철학이다. 그 중 닿소리는 입 모양 등 구강 구조를 보고 만든 구강조이다. 총 14자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이다. 홀소리는 천지인의 원리로 만들었다. 총 10자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이다. 이 중 모음(홀소리)의 종류와 특징을 구분해서 논술해 보겠다. |
본론 |
모든 만물은 처음에는 혼돈이 있지만 어느 정도시간이 지나고 나면 공통점을 가진 것들 끼리 모여서 질서를 찾게 된다. 대표적으로 양의 성질과 음의 성질로 나뉘게 된다. 한글도 마찬가지이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으로 나뉘고 모음은 단모음과 복모음으로 나뉜다. 여기서 단모음과 복모음을 자세히 설명해 보겠다. 단모음에서 단이란 한 개 또는 홀로를 뜻한다. 단모음은 소리에 변화가 없다. 즉 구강구조의 변화가 없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서 ㅏ, ㅗ, ㅓ, ㅣㅡ ㅜ, ㅡ, ㅔ, ㅐ가 있다. 복모음은 단모음과는 반대로 소리에 변화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복이란 두 개, 합쳐져서 소리가 난다는 것을 뜻한다. 즉 구강구조의 변화가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서 ㅟ, ㅘ, ㅑ, ㅛ, ㅠ, ㅕ, ㅝ 등이 있다. 이 모음들은 처음 시작하는 소리는 이 모음의 소리이지만 끝날 때쯤에서는 단모음의 소리로 바뀐다. 보통 자음은 +(양)을 모음은 -(음)을 뜻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 자음이 -(음)이 될 수도 있고 모음이 +(양)이 될 수도 있다. 깜깜과 껌껌, 깡충깡충과 껑충껑충이 다른 것처럼 모음에서도 +(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글자는 보통 밝고, 맑고, 명랑한 느낌이 든다. 예를 들어서 ㅏ, ㅗ, ㅘ 등이 있다. 그리고 -(음)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글자는 보통 어둡고 우울하고 침울한 느낌이 든다. 예를 들어서 ㅓ, ㅜ, ㅝ 등이 있다.
|
결론 |
한글은 참 자랑스럽다. 소리글자여서 적은 글자수로 말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고 짜임이 과학적이다. 닿소리와 홀소리의 짜임과 활용이 다양하고 과학적이어서 배우기 쉽다. 그리고 한글은 우리가 우리의 지식만으로 우리가 손으로 만든 독창적인 글자이기 때문에 참 자랑스럽다. 이 자랑스러운 한글을 아끼고 사랑해서 요즈음 한글이 외계어로 바뀌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
첫댓글 서론과 결론 부분을 아주 잘 쓴것 같고 본론부분도 충실하다.
점수는 95점 말이 약간 안이어지고, 서론에 방향성 제시가 잘 안되있는 것 같다. 하지만 본론, 결론은 매우 잘 썼다.
완벽한 논술문이다. 100점. 이해하기도 쉽고 내용이 알차다. 서론과 결론도 자신의 생각이 잘 표현되어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