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과 환경에 영향 받는 아토피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은 소아에게 가장 흔한 피부병으로, 태열이라고도 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과 함께 대표적인 알레르기성 질환인데,
아토피성 피부염을 시작으로 이들 질환이 잇달아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알레르기 행진’이라고 말합니다.
알레르기는 체질의 문제이므로 부모가 알레르기 체질인 경우 태열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부모 중 한쪽이 알레르기 체질일 때는 아이의 60%, 부모 모두가 알레르기 체질인 경우에는 80%에서 태열이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집안에 알러지 체질도 없는데, 아토피가 의심된다면
임신 중 음식을 잘 못 먹어서가 아닐까 걱정을 하는데요.
임신 기간을 잘 보내는 데 있어 음식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무래도 골고루 잘 먹는 산모가 건강하고 순산을 하는데요.
그래서엄마가 먹는 음식은 그 어떤 것보다 아기 건강과 바로 연결되는 중요한 항목.
예로부터 금기식품이 많았던 것도 다 이런 이유입니다.
임신 중 어머니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자극적인 음식물,
즉, 맵고 짠 음식이나 카페인, 알콜, 인스턴트 식품 등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아이가 열독을 받아서 병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임신 시기부터 아토피 가능성 줄이기.
![](https://t1.daumcdn.net/cfile/cafe/182D25404FCC2F3B07)
알레르기에는 유전뿐 아니라환경과 정신, 신체적 조건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환경공해와 인스턴트 식품 등이 알레르기 질환의 발병률을 증가시키고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557B454FCC2F3B05)
알레르기 원인물질: 집먼지 진드기와 꽃가루, 곰팡이, 바퀴벌레, 동물의 털,
새 아파트의 시멘트독, 식품(계란 흰자, 우유와 우유가공식품, 밀가루, 어패류, 땅콩, 과일 등), 약물
![](https://t1.daumcdn.net/cfile/cafe/2015E2404FCC2F3B36)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 외에도 감기, 운동, 기후의 변화, 찬 음식, 찬 공기, 담배연기,
공기와 물의 오염, 심한 냄새,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토피를 이길 수 있는 방법
이길 수 있는 방법은 피하는 것이예요.
어떤 음식을 먹여야 좋은가? 가 아니라,
‘아토피에 좋지 않는 음식과 환경을 피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6495B454FCC2F3C1E)
우선 태아 성장을 돕는 균형 잡힌 식사를 하되,
인스턴트 식품, 청량음료, 탄산음료, 패스트푸드는 절대 먹지 말아야 합니다.
지나치게 짜거나 매운 자극적인 음식도 안 됩니다.
특히 염분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신장 안의 모세혈관이 수축하여 여과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
몸 안의 독소를 배설하는 신장의 기능이 약해지면 임부와 태아에게 해로운 독소를 정화하기 어렵게 되어 임신중독증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찬 음식도 좋지 않습니다.
찬 음식은 신장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체온이 급격히 변하여 태아가 긴장할 수도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8173D3E4FCC2F3C04)
플리커
녹차와 홍차, 커피 등 카페인이 많이 든 음료도 가급적 줄이고 술은 마시지 않습니다.
이와 함께 신선한 식품을 골라먹고 끼니를 거르지 않으며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셨다면~ 이렇게 간단한 수칙이야말로
건강한사람은 물론 임신부도 지키기 어려운 것들이예요.
엄마의 건강이 아가의 건강임을 잊지 말고 한 끼를 먹더라도 제대로 된 밥상을 차리는 습관을 들여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