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내화구조 |
불연재료 |
비고 |
피난안전구역 |
● |
●(마감) |
|
계단실 |
● |
●(마감) |
|
경계벽,간막이벽 |
● |
|
|
방화벽 |
● |
|
|
방화지구안의 지붕 |
● |
●(내화구조 아닌 것은 불연재료) |
|
연면적 1천제곱미터 이상인 목조(연소 우려 있는 부분) |
|
●(지붕) |
외벽 및 처마밑 : 방화구조 |
환경 및 설비
1. 측광량, 이제는 다시 출제할 시기가 온것같음.
휘도, 광도, 조도, 광도 단위..
2. 기습기복, 유수신표? 등온감각온도, 흑구온도, 작용온도 등
여기서, 복사열을 감안하지 않았음...어떤 온도
유수신표 외의 온도로서 상대습도를 고려한 것은?
물리적 지표 4가지?
3. 인체 열손실
복사, 대류, 증발,,,순위는?
4. 상대습도, 절대습도,잠열, 현열, 등.
여기서,,,기온에 관계 없이 일정한 값 유지하는 것?
포화수증기압,,,온도가 올라가면 변화는? 온도가 내려가면 변화는?(예상)
노점온도와 온도구배관계(예상)
5. PSALI 존의 시작점은?
6. 부위별 단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내단열의 경우 표면온도가 높게 유지되면 표면의 결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② 내단열과 중단열에서 단열재 밖으로 노점온도 이하로 저하되는 벽체는 내부 결로가 발생된다.
③ 중단열에서 내부 벽체의 표면은 표면결로가 발생한다.
④ 중단열은 고온측에 방습막(vapour barrier)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⑤ 외단열은 내부측의 열관성(thermal inertia)이 높기 때문에 연속난방에 유리하다.
7. 조명설비의 용어와 단위가 틀린 것의 조합은?
a. 광도-cd b. 광속-lm c. 조도-lux d. 휘도-어포스틸브(asb) e. 광속발산도-nit, f. 휘도 foot-lambert(FL)
① d
② e
③ d, e, f
④ e, f
⑤ 틀린 것이 없다.
8. 축열지붕형(RP:roof pond)의 특징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축열지붕형은 축열체인 액체가 지붕에 설치
② 난방기간 중 주간에는 단열패널을 열어 축열체가 태양열을 받도록 하며 야간에는 저장된 에너지가 건물의 실내로 복사되도록 축열체 위에 닫혀진다.
③ 계절에 관계 없이 주간에 실내의 열이 지붕 축열체에 흡수되고 강한 여름 태양빛으로부터 단열을 하고, 야간에는 축열체가 천공으로 열을 복사 방출하도록 단열패널을 열어둔다.
④ 주로 공간내의 온도변화를 적게 할 수 있고 냉방에도 유리하다.
⑤ 천장부위의 축열면적이 바닥면적의 1/2 정도가 필요하고 결로, 방수처리 및 하중도 고려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건축구조
철콘(1)-철콘(2) 완성
문제 1. 다음 용어정의중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연직하중:고정하중이나 활하중과 같이 구조물에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중력하중이라고도 함
② 옵셋굽힘철근:보 연결부에서 단면치수가 변하는 경우에 배치되는 구부린 주철근
③ 유효깊이:휨 부재에서 콘크리트 압축연단으로부터 모든 인장철근군의 중심까지의 거리로서 단면의 유효깊이를 말함.
④ 유효단면적:유효깊이에 유효폭을 곱한 면적
⑤ 유효인장력:프리스트레스를 준 후 긴장재 응력의 릴랙세이션,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 등의 영향으로 프리스트레스 손실이 완전히 끝난 후 긴장재에 작용하고 있는 인장력
문제 2. 다음 용어정의중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유효 프리스트레스:모든 응력 손실이 끝난 후의 긴장재에 남는응력, 다만,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영향은 제외함
② 2방향슬래브 시스템:기둥에 하중을 전달하는 보의 유무에 관계없이 주철근이 두 방향으로 배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시스템
③ 인장지배단면:공칭축강도에서 최 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 인장지배 변형률 한계 이상인 단면
④ 인장철근비:콘크리트의 전단면적에 대한 인장철근 단면적의 비
⑤ 휨부재:축력을 받지 않거나 축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축력을 받는 부재로서 주로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저항하는 부재
문제 3. 다음 용어정의중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전도:저판 끝단을 기준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에 의한 휨모멘트(전도모멘트)가 연직력에 의한 휨모멘트(저항모멘트)를 초과하여 옹벽 및 벽체 등이 넘어지려는 현상
② 좌굴:압축력을 받는 기둥 또는 판재가 안정성에 의해 파괴되는 현상
③ 표피철근:전체 깊이가 1200mm를 초과하는 깊은 휨부재 복부의 양 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
④ 프리스트레스: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인장응력을 소정의 한도로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콘크리트에 도입된 응력
⑤ 활동방지벽:옹벽의 활동을 일으키는 수평하중에 충분히 저항할 만큼 큰 수동토압을 일으키기 위해 저판 아래에 만드는 벽체
문제 4. 07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 의해 압축지배단면에 대한 다음 기술 중 틀린 것은?
① 압축지배단면이란 압축측 연단의 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 0.003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 압축지배 변형률 한계 이하인 단면을 말한다.
② 압축지배 변형률 한계는 균형변형률 상태에서의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과 같다.
③ 철근콘크리트 부재에서 압축지배 변형률 한계값은 철근의 종류에 관계 없이 같다.
④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최외단 긴장재의 순인장변형률을 기준으로 하며 압축지배 변형률 한계는 0.002로 한다.
⑤ fy=400MPa 일 경우 압축지배단면이란 압축측 연단의 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 0.03에 도달 할 때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이 0.002 이하인 단면이다.
문제 1. SD 300, 항복변형률εy은?
문제 2. SD 300, 최소 허용변형률은?
문제 3. SD 300, 최소 허용변형률일 경우 해당 철근비는 균형철근비(ρb)의 얼마?
문제 4. SD 400, 항복변형률(εy)은?
문제 5. SD 400, 최소 허용변형률은?
문제 6. SD 400, 최소허용변형률에 대한 해당철근비는 균형철근비(ρb)의 얼마?
기타 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