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9:32
복음은 모든 이들을 위한 복음입니다. 만국을 위한 복음입니다. 모든 사람이 사망아래 있으니 그들 모두에게 생명의 길이 열려있습니다. 그 어떤 장벽도 이 복음이 가는 길을 막을 수 없습니다.복음을 가로막는 모든 것, 하나님의 사랑의 질주를 막는 모든 것이 죄입니다. The gospel is the gospel for all. It is the gospel for the whole world. Since everyone is under death, the path of life is open to all of them. No barrier can block the path of this gospel. Everything that blocks the gospel, everything that stops God from running through love, is a sin.
-
신앙성숙에서 가장 중요한 태도는 열린 마음일 것입니다. 그것이 진지하게 숙고하는 마음을 갖게 합니다. 만약 내가 경험한 것의 틀 안에 나를 가두면, 그 논리와 이론에 하나님도 갇히게 된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성도라면 열린 마음으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해를 넓혀 가야 할 것입니다. 누가는 사도행전 9:31절을 끝으로 사울의 초기 전도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접어두고 사마리아 방문 이후(8:25)예루살렘으로 돌아간 베드로에게 눈길을 돌립니다.
The most important attitude in faith maturity may be an open mind. It makes me think seriously. I don't know if you agree that if I am confined within the framework of what I have experienced, God is also trapped in the logic and theory. If you are a saint, you will have to expand your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with an open mind. Someone puts aside the story of Saul's early evangelism after 9:31 of Acts of the Apostles and turns to Peter, who returned to Jerusalem after his visit to Samaria (8:25).
-
베드로는 여러 지역을 두루 다니다가 룻다라는 마을에 도착했습니다. 그리고 룻다 마을의 성도들을 심방하여 돌보던 중에 중풍으로 8년을 누워 있던 애니아를 만납니다. 복음이 예루살렘에만 머물지 않고 점점 그 지경이 넓어지고 찾아가 살피니 실제적인 필요를 발견하게 된 것입니다. 베드로가 애니아를 고치는 장면은 예수가 중풍병자를 고치시던 일을 연상케 합니다. 베드로 자신도 이 치유가자신의 능력이 아니라 예수그리스도께서 하시는 일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Peter arrived in the town of Ruddar after traveling through many areas. While taking care of the saints of Ruddar, he met Ana, who had been lying in a stroke for eight years. The gospel did not just stay in Jerusalem, but gradually expanded its scope and found a real need as he visited and lived. The scene where Peter healed Ana is reminiscent of Jesus's healing of the paralytic. Peter himself makes it clear that this healing is not his ability, but what Jesus Christ does.
-
그래서 회복된 애니아를 본 사람들은 다 베드로가 아니라 주께로 돌아왔습니다. 내 삶과 사역을 통해 사람들의 시선이 예수 그리스도에게로 집중되고 칭찬을 하는지 돌아볼 일입니다. 누가는 이제 독자들의 시선을 욥바로 돌립니다. 해변 도시 욥바에 다비다라는 여 제자가 살고 있었는데 아람어 다비다를 번역하면 도르가입니다. 그녀는 평판이 좋은 여제자이었는데 그녀가 병들어 죽었습니다(37).
So all those who saw the recovered Ana returned to the Lord, not Peter. Through my life and ministry, I will look back on whether people's eyes are focused on Jesus Christ and praise him. Someone now turns the readers' eyes to Jobba. There was a female student named Davida who lived in the seaside city of Jobba, and the translation of the Aramaic word Davida is Durga. She was a reputable priestess, and she fell ill and died (37).
-
제자들이 주검을 씻어 다락에 눕혀놓고 두 사람을 욥바로 보내어 지체 말고 오라고 간청하니(38)베드로가 룻다에서 한걸음에 달려왔습니다. 베드로는 도르가의 시체가 있는 다락방으로 올라갔을 것입니다. 다락방에는 도르가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는 과부들이 있었고 그들은 도르가 생전에 자기들에게 만들어준 속옷과 겉옷을 베드로에게 보여주었고 베드로는 이와 비슷한 상황에서 예수가 하셨던 것을 따라 합니다. 그는 먼저 애도하는 자들을 다 방에서 내보내고 무릎을 꿇고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그리고 죽은 여인의 이름을 부르며 ‘다비다야 일어나라’고 명합니다.
When his disciples washed their bodies and laid them on the attic, sent them to Jobba to beg them to come without delay, Bedro (38) came running from Ruddar. Peter would have climbed to the attic where Dorga's body was. In the attic, there were widows grieving for Dorga's death, and they showed him the underwear and outerwear Dorga had made for them during his lifetime, and Peter copied what Jesus had done in a similar situation. He first let all the mourners out of the room and knelt down and prayed to God. And he called the dead woman's name and ordered her to 'Wake up, Darby.'
-
이 말을 아람어로 한다면 ‘달리다굼‘이었을 것입니다. 이렇게 욥바에서도 죽었던 도르가를 살리는 기적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주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누가는 도르가를 살린 이야기를 ‘베드로가 욥바에 여러 날 있어 시몬이라 하는 무두장이의 집에서 머무니라(43).’는 말로 마무리 합니다. 내가 가진 재능으로 누구를, 어떻게 도울 것인가? 본문은 복음이 확장되기 위해어떤 경계를 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가?
If this was said in Aramaic, it would have been 'running'. Through the miracle of saving Dorga, who died in Jobba, many people came to believe in the Lord. Someone ends the story of saving Dorga with the words, 'Bedro has been in Jobba for many days and stays at the house of an tannery named Simon (43). Who and how can I help with my talent? What boundaries does the text show that the gospel is crossing to expand?
-
베드로와 중풍 병자 애니아(32-36)
a.룻다의 중풍병자 애니아:32-33
b.애니아를 치유한 베드로:34-35
베드로와 도르가(36-43)
a.욥바의 도르가:36-37
b.죽은 도르가를 살린 베드로:38-41
c.욥바의 베드로:42-43
-
그 때에 베드로가(32a)
사방으로 두루 다니다가(32b)
룻다에 사는(32c)
성도들에게도 내려갔더니(32d)
-
거기서 애니아라 하는(33a)
사람을 만나매(33b)
그는 중풍병으로 (33c)
침상 위에 누운 지 여덟 해라(33d)
-
베드로가 이르되(34a)
애니아야(34b)
예수 그리스도께서(34c)
너를 낫게 하시니(34d)
일어나 네 자리를 정돈하라 한대(34e)
곧 일어나니(34f)
-
룻다와 사론에 사는 사람들이(35a)
다 그를 보고(35b)
주께로 돌아오니라(35c)
-
욥바에 다비다라 하는 여제자가 있으니(36a)
그 이름을 번역하면 도르가라(36b)
선행과 구제하는 일이 심히 많더니(36c)
-
그 때에 병들어 죽으매(37a)
시체를 씻어(37b)
다락에 누이니라(37c)
-
룻다가 욥바에서 가까운지라(38a)
제자들이(38b)
베드로가 거기 있음을 듣고(38c)
두 사람을 보내어(38d)
지체 말고 와 달라고 간청하여(38e)
-
베드로가 일어나(39a)
그들과 함께 가서 이르매(39b)
그들이 데리고 다락방에 올라가니(39c)
모든 과부가(39d)
베드로 곁에 서서 울며(39e)
도르가가 그들과 함께 있을 때에(39f)
지은 속옷과 겉옷을 다 내보이거늘(39g)
-
베드로가 사람을 다 내보내고(40a)
무릎을 꿇고 기도하고(40b)
돌이켜 시체를 향하여(40c)
이르되 다비다야 일어나라 하니(40d)
그가 눈을 떠 베드로를 보고(40e)
일어나 앉는지라(40f)
-
베드로가 손을 내밀어 일으키고(41a)
성도들과 과부들을 불러 들여(41b)
그가 살아난 것을 보이니(41c)
-
온 욥바 사람이 알고(42a)
많은 사람이(42b)
주를 믿더라(42c)
-
베드로가 욥바에 여러 날 있어(43a)
시몬이라 하는(43b)
무두장이의 집에서 머무니라(43c)
-
확장되고 재현되는 사역_ Expanded and reproduced ministry
베드로의 손길을 기다리는 다비다_ Davida is waiting for Peter's touch
다비다를 살리는 베드로의 사역_ Peter's ministry to save Davida
-
8년 된 중풍병자를 낫게 하신 베드로의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우리 가족들이 절망과 좌절을 딛고 다시 한 번 달리다굼 하도록 은혜를 베풀어 주옵소서. 이미 사랑이 다 메말라 죽어버린 우리 부부에게 소망을 보여주옵소서. 내 일터가 욥바처럼 복음의 장막 터가 되게 하옵소서. I praise the God of Peter who healed the eight-year-old paralytic. Please grant grace to our families to overcome despair and frustration and run again. Show your hope to our couple, who have already died of dry love. Let my workplace become the tent of the gospel like Joba.
2024.5.21.tue.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