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한국과 일본사이 차이는 뭔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이재유
우리는 우리 스스로의 문제를 보지 못한다.
경제, 국방안보 모두 위기천만의 대한민국이다.
국가가 위기에 처하려면
첫째, 문제 부지, 무지:
그 위기 전에 문제를 보지 못하거나 알지 못하고,
둘째, 문제해결책 부재
문제를 문제로 보지 못하니 제대로된 문제해결도 생각해내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
한미동맹이 미일동맹간 차이는 무엇이고 그런 차이에 문제는 없는가라고 우리 스스로 물어야 한다.
오바마의 공식초청에 미부통령 바이든과 국빈만찬을 하고,
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51015139700001&mobile
정작 초청자 오바마는 박대통령의 방미일정에 잠시 만나주듯이 오바마와 박대통령의 대화중 표정들에서 서로 환영이 아닌 내실은 서로 섞이고 싶지 않고 내키지 않아보이고, 보이지 않는 냉대를 대통령과 남한국민은 읽어야 하고, 또한 별반 중요치 않은 대화상대로 여기듯 함은 숨길 수 없는 외교적 하대 아닌가. 바이든과 박대통령이 미군의장대사열을 받고 박대통령이 미부통령초대로 미국을 갔는가, 오바마의 초청이 아니던가, 외교적 심각한 결례이고 하대이고, 그간의 박대통령의 친중국 경도론에 여러 경고 아닌 경고에도 거침없어 미국에 아부나 잘 보이기 위해 최대 한국경제인 사절단을 동반해 친중국론 물타기로써 희석시키려까지 했지만, 박대통령 방미 주제 핵심사안인F35기 핵심기술이전받으러 가 미국은 너무나 차갑게도 단호하게 거부당해
http://m.hani.co.kr/arti/politics/defense/709963.html
박대통령은 빈털털이로 아무런 성과없으니 나사와 펜타곤 방문관광하러 간 것이라 숨기고 치장하고 둘러댈 것인가. 그 일 전부, 이는 박대통령에게 가슴을 치고 찌르는 잘못된 창조외교, 친중외교의 부메랑인가, 미국의 보이지 않는 경고인가. 그래도 미국은 우방이라고 하면서 F35기 기술이전 계약을 위반하고, 우리는 펜타곤에서 그런 기술이전 거부를 약소국대통령을 달래기라도 하듯이, 초청자 미대통령 오바마가 아닌 미부통령 바이든과 박대통령의 사열모습을 보고
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51015139700001&mobile
통탄해 해야 하고 느껴야 마땅하지 않는가. 미남북전쟁시대 구식 멋쟁이 복장사열에 최상의 국빈만찬이고 국빈대우라고 계속 숨기고 국민을 기만오도하며, 만족해야 하는가.
언론이 포장꾸며 둘러댄다고 하더라도, 그 한미국방안보외교의 진실, 이 나약한 현실, 이것을 보고도 허허히히대며, 내막을 모르는 대한민국 국민은 왜 울분을 느끼지 않는가.
미국은 한 푼, 두 푼도 아니고 수조원의 대한민국 국민의 혈세를 드는 엄청난 프로젝트인 대한민국 방공 최신미래전투기사업 F35기의 핵심기술이전으로 미국F35기 수십대를 수입구매 한다는 조건하에서의 분명한 한미간 국가 대 국가의 계약이었다. 미국은 그 핵심기술이전이 되면, 제3국이나 러시아, 중동, 인도네시아를 통해, 이슬람권 등지 유출시킬 것이라는 미래의 일에 지레 겁먹었는지, 미국이 한국에게 기술이전을 해주기 싫어서이든 무슨 이유를 대든 국가간 신뢰의 거래계약을 위반한 것인데, 어떤 핑계로든 회피해 한미동맹의 신뢰의 약속을 일부 저버렸다.
한미동맹과 한미간 국가계약위반 너무도 중대한 문제가 발생했다.
그것이 사소히 한국 약소국이라 그렇다고 치부할 문제인가.
우리에게 미국에게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는가.
이것이 박대통령의 친중국 경도론에 빚어졌든 빚어지지 않았던 심각한 문제이고, 엄청난
외교적 참사수준인데도 청와대는 한미관계는 자동비행이라지만,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942822
우리는 외교적 참사가 왜 일어났는지 되짚어야 할 문제가 있는데도 문제가 없다고 덮으려다 한국이 미국의 신뢰를 잃고 계속 자동비행하는 상황이라 얼버무리고 넘어가면 뒤에 감당도 되지 않을 미국에게 배신과 배반으로 세계체제론의 저자이자 세계적인 석학이자 예일대 석좌교수였던 임마누엘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은
https://en.m.wikipedia.org/wiki/Immanuel_Wallerstein
미국 핵우산을 믿는 것은 썩은 동아줄을 잡고 있는 것이라 경고했는데,
http://www.unityinfo.co.kr/sub_read.html?uid=8648
그런 썩은 동아줄에 의지하다 북한선제도발의 핵전쟁에 남한이 무참히 핵기습공격에 도륙, 살륙당하는 일이 일어나질 말라는 법은 없고 이런 식으로 남한자체개발 핵우산없는 상태에서 오로지 철저히 믿는 미국핵우산 짝사랑에 목매다 결국에 북한핵공격에 남한멸망이라는 비극시나리오를 향해 엄청난 속도로 급속하게도 그 결말로 달려가고 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942822
월러스틴이라는 석학이 그의 연구가 제3세계란 말을 싫어했지만 강대국 핵심부와 약소국 주변부간 세계체제에로의 교류, 지배종속을 다루고 거대역사담론상 미국도 로마같이 쓰러져간다는 입장에서 미국 백인주도세력 학계학자들에겐 인기가 없지만, 소수의 강대국 핵심부가 힘으로 지배로 종속시켜 그 보다 약하지만 대다수의 주변부 약소국 아프리카, 준주변부 중국등을 상대로 연구해 강대국은 쓰러질 일만 남았고, 주변부와 준주변부는 그 강대국 핵심부에 도전 발전 커질 일만 남았다고 본다면, 그의 지성이 빛나는 혜안을 주었는지 모른다.
월러스틴의 거대역사담론도 기다란 시간의 연속중에 어떤 주기 내지 사이클이 있을 것이라 보았을 것이다.
대표적 경기순환에는 단기에서 장기에서의 재고품순환의 부엌파동(Kitchin inventory) 3–5년주기
고정투자의 쥬글라파동(Juglar fixed investment) 7–11년주기
간접시설투자의 쿠즈네츠파동(Kuznets infrastructural investment) 15–25년주기
약 2세대에 걸친 농산물구리원자재가격과 임금이자율파동(Kondratiev wave) 45–60주기가 있다.
특히, 월러스틴이 주장했듯이, 콘트라티에프사이클이 주는 중요한 인사이트는 여러 큰 전쟁이 슈퍼사이클(supercylces), 케이파동(K-waves), 급등세(surges) 나 장기파동(long waves)으로도 알려진 콘트라티에프파동(Kondratiev waves)에 의해 일어난다는 점을 지적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
https://en.m.wikipedia.org/wiki/Kondratiev_wave
(콘트라티에프파동는 세계경제에서 순환적 경향성으로 정의한다. 또한 슈퍼사이클로 알려져 있다. 월러스틴 지구상의 전쟁들은 콘트라티에프파동에 결부되어 있다. 월러스틴에 따르면, 지구상 분쟁들이 여름시기에 시작할 때 발생하는데, 그것은 세계주변에서 재화와 용역의 생산이 상승기에 있을 때이다. Kondratiev Wave
Defines a cyclical tendency in the world's economy. It is also known as a supercycle. Wallerstein argues that global wars are tied to Kondratiev waves. According to him, global conflicts occur as the summer phase of a wave begins, which is when production of goods and services around the world are on an upswing.
http://m.wisegeek.com/what-is-the-kondratieff-wave.htm
1950년 6월 25일 의 콘트라티에프주기 약60년뒤 2010년에서부터 한반도 사실상전쟁주기에 들어서 있고 북핵무기개발과 남북대치가 태풍전야 우발사태가 서해교전과 휴전선확성기충돌교전등 심각한 전쟁시기에 들어서 있다.
남북한이 서로 대치한 한반도여서 세계의 화약고인지라 더욱 그의 고견혜안에 각별히 준비하고 주목해야 한다.
콘트라티에프는 러시아 공산사회주의 체제내 경제학자이지만, 그는 이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슘페터에 의해 그의 연구 공적이 드러나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슘페터가 경기순화론을 연구하면서 50년 내지 60년주기, 약 한세대 30년의 두세대 주기로 경제흥망이 오르내리는 것이 유럽 농산물, 구리가격, 노임, 이자율 등 통계적 데이타로 도출해낸 사이클을 콘트라티에프 파동 내지 순환이라 명명하면서 경제학에서 중대한 공헌을 했지만 콘트라티에프는 러시아공산주의체제가 자본주의는 파멸한다는 것인데 흥망이 순환된다고 주장한다고 하여 시베리아집단감옥에서 사형을 받았지만, 그의 이론은 이후 노벨상경제학자 슘페터, 쿠즈네츠 등에게 중요한 통찰력을 주었다.
지금 남북이산가족상봉행사를 하면서 남한해역을 침략하고 그런 침략에의 남한발포 트집을 잡고 지난 합의는 물거품이 된다고 협박협잡을 하고있고, 여야는 교과서검정 사상싸움으로 자기 정당 표얻기용 내지 정권잡기용 대안만들기용으로 온 혈기와 재주를 다 쓰고 북한이 남한과 악수를 요청하면서 남한 등뒤에서 핵비수를 꽂을 준비를 착착하고 있는데도 여야는 한가로운 교과서 사상타령보다 서로 산적해 있고, 상대적으로 더 긴요하고 시급으로 해결해야 하는 국내외 문제가 한두가지갸 아닐텐데, 그렇게 본다면 한가로이 노닥거릴 정치놀음수준의 서로 교과서검정문제를 들어 헐뜯기 단합대회, 이합집산시위로 자기당 정권창출하려 몰입해 있으면서 이번엔 정권을 잡는다, 이번에도 정권을 못내준다 하면서 천지도 모르고 깨춤을 추고 있으면서 여야 는 교과서사상 검정싸움 자기셈법에 심취몰입해 북한의 핵은 미국핵우산이지킨다라고 하고 여야 국내역사교과서 사상편가르기에 여야 모두 국민을 분열시키고 있고 남북이산가족상봉으로 북한이 핵침략이 그만둘 것처럼 안심 착각을 하게 하고 있다.
남북이산가족행사란 북한에게는 음흉하게도 남한의 등뒤에서는 핵비수를 남한 몰래 계속 만들고 갈고 있으면서, 북한 핵무력적화통일의 비수와 날카로운 핵발톱을 이산가족상봉행사의 부드런 솜장갑으로 숨기고 있는데 반해, 남한은 북한이 이산가족상봉하니, 핵무기 수 늘리기, 핵소형화, 핵다종화에 그런 핵탄두를 장착할 무인 장단거리 투발기 미사일 개발를 포기 내려놓고 나와 남북평화통일로 가는줄 한참 착각하고 있다.
우선 북한에 남북이산가족상봉을 하면서 비료든 다른 이면합의나 조건으로 북한이 들어주어 하는 하는 것이라면 남한내 대민이산가족일시 회포풀기용이나, 남한내 대통령 업적쌓기용같고, 국민내보이기식 같아 보이고 박대통령과 국가외교국방안보통일 라인들이 임기들어 전번 남북이산가족상봉행사에서 남한을 침범하던 것과 이번 남북이산가족상봉행사를 하는 과정이 진행중인데도, 또다시 북한이 남한해역을 침범하고, 기관포사격을 해야 돌아가는 북한의 행태가
무엇을 궁극으로 무엇을 뜻하는지 북한이 이산가족상봉행사에 주는 개념과 메세지 뭔지 잘 생각해야 하는데 그에 대해 대통령도 속칭 자타칭 날고긴다는 국가외교국방안보통일 라인들은 그것이 북한이 항시하는 술책이러니 하고 가벼이, 올곧게 깊이 숙고해 인식치 못하고 있지만 단도직입적으로 말한다면, 이산가족행사는 남한 너희가 애원하니 무슨 댓가를 받고 한번 열어주지만, 이런 이산가족행사가 평화통일이나, 북한체제변화를 추구하려는 햇볕정책 같은 것으로 북한을 무너지게 할 거라는 얄팍한 정책은 그만 두는게 낫다라는 것이고, 이는 하나는 남한에 인도적 요구의 청을 들어주고는척하고 남한국민을 북한도 남한침략용 핵을 지하비밀리에 계속 생산하면서 북한 안으로는 그 핵생산 업그레이드 북한시간벌기용이지만 겉으로는 북한이 평화적, 인도적이라 남한을 속이고 우롱하는 처사이고 남한이 이산가족상봉과 남북경협등으로 안심시켜놓은 뒤 도발핵소형화 다종화가 완성되면 서해영역침범교전으로 핵전쟁으로 남한을 무력적화시킨다라는 한편엔 남한내부 속여 안심시키기, 북한뒷편에 남한 무력침략용 핵무기대량업그레이드 시켜 완성기에 이르면 여차여차한 서해영역침범, 휴전선대북방송등등 교전도발에로의 구실과 핑계삼아 남한과의 핵전면전을 멸망시킨다라는 그 유명한 북한이 핵 주체사상 강성대국의 최종 목표인 북한의 통일전략전술이다. 이를 남한대통령도국방안보외교통일 라인도 여야가 한가로이 교과서 사상타령에 몰입해 있는 것을 보면, 정말 생각도 상상도 준비도 전혀 하지 못하고 있다. 너무나도 남한의 생사기로에 선 중대 위기이다.
즉, 대표적인 북한통일전선전술인 한손은 평화의 손으로 악수하는 척하면서, 다른 한손은 핵비수를 들고서 여차하면 찔러 죽일려고 숨기면서, 그런 평화의 손을 보고 속여져서 남한의 마음만 턱놓기를 학수고대하는 전략전술의 표본을 보여주고 있는 바, 북한핵무기포기의 떡을 남한에 줄 사람인 북한은 전혀 그럴 의지도 의사도 없는데 남한은 이산가족상봉행사를 하면서 스스로 북핵포기의 떡이 북한에 의해 막연히 아니 으레 주어질 것처럼 남한은 이산가족상봉이 남북평화통일을 앞당긴다라는 남한내 대통령을 비롯한 거의 모든 사람이 너무도 착각하며, 헛된 김칫국을 계속 마시고 있다.
이런 북한기만전략전술에 놀아나는 남북이산가족행사는 남북평화통일에 도움되지 않고 오히려 북한의 핵무기 개발의 가림막행사로 남한을 속여서, 착각 안심시키고 있어, 북한 핵무력 적화통일전략전술에 이용되어 남한을 착각하게 만들고 북한핵무력 적화통일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 같아, 이런 면의 해석에서 남북이산가족에게는 미안한 일이지만 남북한 정치적 정략적 이산가족상봉은 그만 두고, 남북이 진정하다면 그 이산가족이 제 3국에서 일정시간 일정장소에서 자유로이 만날 수 있게 해야 하고 그 이산가족상봉 순수목적을 위해 정치, 정략정책 모두 남북한이 다 빼야 진정한 이산가족상봉행사이다.
지금 대한민국은 북핵등 대외적 위협이 최고조에 달해 있는데 아직도 끝나지 않은 교과서검정이라는 대내 사상논쟁에 빠져 있고 여야 모두 국민분열책동과 시위를 하고 있어, 정말 위기이다. 여당과 야당은 승자의 저주라는 자기 꾀 함정에 빠져 있다.
지금 한국에는 그 내부문제인 교과서에서의 역사전문가의 영역을 사상비판하며, 온국민이 전문가들 진보, 보수 학설들에 편갈라 끌어들이는 나쁜 정치술수술책에 온힘을 다쏟고, 대외적 수조원대 최신전투기기술이전과 북핵은 안중에 없고 관심문제에도 멀어진지 오래됐다는 점이 정말 문제이다.
이제 앞서 원래 거론하던 미국의 전투기계약 문제로 다시 돌아가 보자.
국가든 개인이든 계약위반결렬이든 손해가 발생하고 그 손해를 발생시킨 측은 불법이면 배상하고 적법이면 보상해야 한다. 조단위 계약위반을 소송으로라도 우리의 피해를 회복해야 하고, 사소하게 넘길 일인가.
우리 부산에 미핵항모 레이건호에서 우리 대통령은 사열받지 못받고 일본 아베수상은 미국이 안방침대 같은 최신무기를 가진 핵항모를 내어주고 사열도 받고 F35기 핵심기술 양국공동개발 업그레이드, F35기 정비창 기지를 일본에는 두는데 한국에는 못두늘데 왜 은 왜 안방사열은커녕 부통령사열로 하대당하고 F35기 기술이전도 거절당해 못받는가?
우리는 왜 보지 못하는가, 청와대, 국방안보라인 등은 애써 얼버무리는건가. 울며겨자먹기인가. 힌국 국방안보, 외교안보라인은 모두 정말 문제이다. 잘못을 감추며 덮기 급급하고 언론플레이 하고 있다. 우리는 문제가 뭔지 한미동맹을 미일동맹사이 차이가 뭔지 바로 직시해 봐야한다.
한일 두 나라는 미국에게 분명히 국방안보에서 차이 차별이 발생했다. 기준이 없으면 뭐가 차이 차별인지 보이지 않는다. 미국이 한일간을 대하는 태도나 스탠스는 일본을 놓고보면 그 차이와 차별이 쉽게 보인다.
뭐가 모자라고 뭐가 부족하고 뭐가 차이나게 하는가.
우리의 우방이라는 한미동맹과 태평양전쟁시 미국의 적대관계였던 미일동맹사이 차이는 어디서 차이가 나고 그 차이는 정말 문제가 아닌가. 비유를 하자면 한반도를 둘러싸고 한 미 중 일 러 등이 제3차 세계대전이 나면, 한국이란 아들과 일본이라는 아들이 세계대전 물에 빠져 둘다 구할 수 없어 하나만 구해야 한다면 어느 누구를 미국이 구할까라는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사이 결속력 근본문제를 보아야 한다.
지금 미국이 외교상 하대하고 행하는 수준에서는 짐자컨대 미국이 한일중 양자택일로 택해야 하는 그 극한상황에서의 한일에 대한 선택권은 일본을 구하고 한국을 버린다라는 태도를 읽을 수 있다.
보지 못하는 문제는 풀거나 해결할 수도 없다.
이 즈음에서 북핵앞에서 우리의 핵자주국방으로 우리 스스로 살길을 바로 지금 반드시 필히 찾아야 한다. 거대제국 로마가 저물어 멸망해 갔듯이, 이제 저물고 있는 거대강대국 미국앞에 언제나 미국이 강한 우방일 수 없고 미약한 우방에서 우방으로서의 한국을 버릴 수도 포기할 수 있다고 나아가야 한다
북핵에 의한 남한불바다론이 현실화되는 순간의 시간, 즉 째깍째깍 북한핵 시한폭탄이 남한에서 터지게 할 순간이 다가오고 있어서 이런 북한이 핵시한폭탄을 터지지 않게 할 남은 단하나의 전략전술방책은 남한 자체핵밖에 없고 그런 대량 다종 소형화 북핵시한폭탄방책은 다른 대안 심지어 미국핵우산도 무용지물이 될 것인 바 남한자체핵무기만이 북한핵시한폭탄을 남한을 향해 터뜨리지 못하게 하는 유일무이한 방책이라 교과서사상 문제보다 더 시급하여 당장 지금 남한이 준비 방비 갖추어야 하는 제일 절박한 해결책이다.
여야는 내발등의 상대적으로 작은 불티인 교과서사상검정보다 더 멀리 있는 것같지만 바로 우리 머리맡에 있는 북한 핵무기의 엄청난 불덩이에 다 타죽을 것을 걱정하고 남한자체핵무기를 준비하는데 모든 심혈과 노력을 바로 지금 경주해야 한다.
------------
(참고자료)
“핵무기 보유 당연하게 될 것”
월러스틴 교수, 한반도 및 동북아 핵확산 불가피
백낙청 교수, 동북아서 핵 제어하면 다른 곳도 가능
통일신문 기사입력 2010/11/15 [16:00]
“앞으로 한국은 핵무기를 보유하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
‘세계체제론’으로 유명한 세계적인 석학 이매뉴얼 월러스틴 예일대 석좌교수의 말이다.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단장 김성민)은 10일 교내 새천년기념관에서 ‘급변하는 동북아시아와 한반도 통일’이란 주제로 월러스틴 교수와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이수훈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장을 초청, 한반도 및 동북아의 현실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향후 전망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펼쳤다.
이날 월러스틴 교수는 “지금까진 미국이 한국에 핵우산을 제공해 주며 우리가 방패가 돼 줄 테니 핵개발을 하지 말라고 해왔지만, 향후 미국의 영향력이 약화되면 한국은 어쩔 수 없이 자력보호를 위해 핵개발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 월러스틴 교수는 핵전쟁을 두려워하는 ‘공포의 균형’이 평화를 지켜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 통일신문
이 같은 전망의 배경으로는 기축통화인 달러의 약세로 인한 경제력 약화와 최근 미국에서 되살아나고 있는 ‘고립주의’에 따른 동북아에서의 미국 영향력 쇠퇴를 들었다.
월러스틴 교수는 “이에 따라 동북아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점차 미국의 개입이 줄어들 것”이라며, “한국이 미국에 의지하고 있는 현 상황은 썩은 동아줄을 잡고 있는 것”이라고 묘사했다.
월러스틴 교수는 “2020년이 되면 핵보유가 지극히 당연한 것이 되고, 전 세계적으로 핵확산이 크게 퍼질 것”이라며 “하지만 ‘공포의 균형’이라는 표현처럼 역설적으로 이것(핵확산)이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소 냉전시대나 인도 파키스탄의 경우처럼 핵전쟁을 시작한다는 두려움이 결국 평화를 지키게 될 것이라는 풀이다.
북한 핵개발에 대해서도 색다른 주장을 내놨다. 월러스틴 교수는 이라크 전쟁 당시 이라크에 핵무기가 없었기 때문에 미군이 지상군을 투입했다고 주장했다. 이라크가 핵을 보유했으면 미국이 핵무기에 의한 피해를 우려해 감히 전쟁을 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월러스틴 교수는 “북한과 이란을 비롯한 다른 나라들도 이런 사실을 알고 있다”며 “이 때문에 핵은 확산되고 세계는 새로운 체제의 국면을 맞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대해 백낙청 교수는 “동북아 국가들이 모두 핵무장을 했을 때 ‘공포의 균형’을 이뤄 평화가 올 수 있다는 말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백 교수는 “공포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 간 교섭체계가 상당히 안정화 돼 있어야 하는데 현재 그것이 무너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 같은 현실에 핵확산이 겹쳤을 때 과거와 같은 공포의 균형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월러스틴 교수의 말처럼 핵확산이 불가피해 보이긴 하지만, 세계의 핵 집중 지역인 동북아에서 반전의 기회를 노려야 한다”며 “만약 국가가 아닌 곳에서 핵을 보유한다고 가정하면 세상이 어떻게 되겠냐”고 우려했다.
그는 또 “북핵 능력이 강화되면 한국은 물론 일본, 대만 등도 가만있지 않을 것이므로 상황은 최악으로 치달을 것”이라며 “동북아에서 6자회담을 통해 핵확산을 제어할 수 있으면 다른 곳에서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사입력: 2010/11/15 [16:00] 최종편집: ⓒ 통일신문
http://www.unityinfo.co.kr/sub_read.html?uid=8648
.
中國 보란듯 美 항공모함에 올라탄 아베
도쿄=김수혜 특파원 | 2015/10/19 03:00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8일 가나가와(神奈川)현 요코스카(橫須賀)시 앞바다인 사가미(相模)만에서 일본 해상자위대의 관함식(바다 위에서 하는 사열)에 참석한 뒤, 요코스카항에 정박 중인 미국 핵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레이건호에 탑승했다고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일본 현직 총리가 미국 항공모함에 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로널드레이건호(10만1400t)는 미국이 보유한 니미츠급 항공모함 10대 중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두 척 중 한 척이다. 니미츠급이란 여러 가지 항공모함 중 현존 최대·최강 레벨에 붙는 말이다. 지구상에 이보다 더 센 배는 제럴드포드급 항공모함밖에 없고, 이건 아직 만들고 있다.
이날 아베 총리는 레이건호에 타기 앞서 일본 구축함 구라마(5200t)호를 타고 해상자위대가 펼치는 관함식을 지켜봤다. 자위대 함정 36척과 항공기 33대가 동원됐다.
아베 총리는 구라마호에서 "일본을 둘러싼 안보 환경이 엄혹함을 더하고 있다"면서 "원하건 원치 않건 위협은 쉽게 국경을 넘는다"고 했다. 그는 "(안보위협에) 한 나라만으로 대응할 수 없는 시대"라면서 "국민의 생명과 평화로운 삶을 지켜야 하고, 그러기 위한 법적 기반이 최근 통과된 안보관련법이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평화외교를 강화하겠다"고 했다.
아베 총리는 이어 로널드레이건호에 대해 "동일본 대지진 때 서둘러 달려와준 '친구'"라고 강조했다. 미·일 동맹 전반을 가리키면서 동시에 미국이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한국으로 항해하던 로널드레이건호를 돌려 미야기(宮城)현 센다이(仙台)시 앞바다에 정박시켰던 일을 가리키는 얘기였다.
당시 로널드레이건호 승무원들은 헬기를 이용해 원전 사고 피해자와 지진 피해자를 구조했다. 일본 해상자위대 항공기들도 로널드레이건호에 날아와 기름을 넣었다. 작전명 '도모다치'(친구)였다. 아베 총리는 이 배가 일본에 배치된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고 했다.
그는 이어 해상자위대 헬기로 로널드레이건호까지 이동했다. 아소 다로 부총리와 나카타니 겐 방위상도 동행했다. 미 해군 제3함대 사령관인 노라 타이슨 중장이 아베 총리를 영접했다.
아베 총리는 전투기 조종석으로 올라가 웃음 띤 얼굴로 사진 촬영에 응하기도 했다.
현재 일본은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올해 취역한 구축함 이즈모(1만9500t)호는 "사실상 항공모함급"이란 소리를 듣는다. 우리가 가진 가장 큰 구축함도 이즈모의 절반이 안된다. 일본 조선사(造船史) 역시 우리와 비교하기 힘들다. 20세기 초 항공모함이 처음 등장했을 때 아이디어를 내고 다듬고 시험한 건 미국·영국·프랑스지만 실제로 배 위에서 전투기를 띄우는데 맨 처음 성공한 건 일본이었다(1914년 와카미야호).
일본은 동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근대화에 성공한 뒤 "일본의 자위(自衛)를 위해선 어쩔 수 없다"는 묘한 논리로 조선을 삼키고 중국 대륙과 태평양을 침탈하다 2차대전에 패했다. 도쿄만에 정박한 미국 전함 미주리호 갑판에서 항복 문서에 서명한 사람이 1932년 윤봉길 의사의 도시락 폭탄에 한쪽 다리를 잃은 시게미쓰 마모루(重光葵) 외무대신이었다. 미주리호는 배 위에서 비행기가 뜨는 항공모함(aircraft carrier)과 달리 배 위에서 포를 쏘는 전함(battleship)이었다. 이날 일본 언론은 아베 총리가 미국 항공모함에 탄 것이 미·일이 힘을 합쳐 '중국을 견제하는 조치'라고 풀이했다.
우리 외교 관계자는 "미국과 일본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해양 진출을 억제하며 하나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을 일본 국내외에 두루 보여주려는 장면"이라고 했다. 현재 자위대와 미군은 인도양에서도 인도 해군과 공동으로 훈련 중이다. 이 훈련에는 미국·인도·일본 등 3국 군함 10척이 투입됐다.
http://m.chosun.com/svc/article.html?sname=news&contid=2015101900210&Dep0=www.google.co.kr
朴대통령, 바이든 관저서 오찬…아시아 정상중 처음
2015-10-16 01:30
박 대통령과 바이든 미국 부통령
박 대통령과 바이든 미국 부통령자세히
北도발 억지 및 비핵화 등 대북공조 방안 논의
(워싱턴=연합뉴스) 정윤섭 강병철 기자 = 미국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오후(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의 초청으로 부통령 관저(Naval Observatory)에서 오찬 협의를 가졌다.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부통령이 관저로 아시아 정상을 초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찬에서 바이든 부통령과 한미 관계 현황을 점검하고, 한반도와 동북아, 글로벌 차원의 양국간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특히 박 대통령과 바이든 부통령은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재확인하고 양국간 협력의 새로운 지평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최근의 한반도 정세를 고려해 북한의 도발 억지 및 비핵화 등 대북공조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두 사람은 동북아 지역의 평화·안정 증진, 한미동맹이 기여할 수 있는 글로벌 이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오찬에는 콜린 칼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엘리 래트너 국가안보부보좌관,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 대사, 대니얼 러셀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가안보회의(NSC) 아태 담당 선임보좌관 등이 배석했다.
청와대는 "바이든 부통령과의 오찬 협의는 한미동맹의 각별함을 대내외에 과시하는 한편, 다방면에 걸친 의견교환을 통해 한반도, 동북아, 글로벌 차원의 양국간 소통과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jamin74@yna.co.kr
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51015139700001&mobile
미국, F-35 핵심기술 제공 거부…한국, 속수무책
1517 36박병수 기자
등록 2015-09-22 19:55
수정 2015-09-22 20:48
한국이 지난해 F-35A를 도입하면서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이전받으려 했으나 미국 정부가 승인을 거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와 군당국은 국내 개발이나 유럽 등 제3국의 기술 지원 등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사업 차질이 불가피해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방위사업청(방사청) 관계자는 22일 “지난해 9월 미국과 F-35A 전투기 40대를 도입하는 계약을 맺으면서 절충교역으로 25건의 기술 이전을 추진했으나, 미국 정부가 21건의 기술을 제외한 4건의 기술에 대해 기술 보호 등을 이유로 수출 승인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들 기술을 F-35A 제작사인 록히드마틴으로부터 이전받아 한국형 전투기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었다. 한국형 전투기 개발 사업은 F-4, F-5 등 공군의 노후 전투기를 대체할 F-16 수준의 미디엄급 전투기를 2025년까지 독자 개발하는 사업이다. 모두 120대를 생산할 계획으로 개발비와 양산 비용까지 모두 18조원이 소요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미국 정부가 수출 승인을 거부한 기술은 능동전자주사식 위상배열(AESA) 레이더와 적외선 탐색·추적 장비(IRST), 전자광학 표적추적 장비(EOTGP), 전자파 방해 장비를 각각 전투기 체계에 통합하는 기술이다. 방사청 관계자는 “이들 4개 장비 자체는 계획대로 국내 독자개발을 하거나 해외 기술협력으로 개발하고 있다”며 “미국 정부가 문제삼은 것은 이들 장비를 전투기 체계에 통합하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가 수출 승인을 거부하는 이유는 안보상의 이유로 첨단 기술의 해외 이전을 막는 기술보호 정책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방사청과 군당국은 미국의 기술 이전이 없어도 한국형 전투기 개발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정경두 신임 공군 참모총장은 이날 국방위의 공군본부 국감에서 “미국이 문제의 기술 4건을 제공하지 않아도 한국형 전투기 개발에는 별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미국 승인 위한 별도 노력도 의문
국내 개발 또는 제3국에서 획득 추진
그렇다 해도 미제 본체와 호환 의문
20% 투자 약속한 인도네시아 복병
“경제난 겪으며 투자 어렵다” 관측도
방사청은 이들 기술을 국내 개발하거나 유럽 등 제3국과의 기술협력으로 획득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장명진 방사청장은 지난 17일 국회 국방위의 방사청 국감에서 “미국이 거절한 4개 기술을 유럽과 국제협력을 통해 획득하고 국내 기술도 활용할 것이다. 일부 기술은 많이 개발됐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방사청은 22일 자료를 내어 전자광학 표적추적 장비와 전자파 방해 장비를 통합하는 2건의 기술에 대해 국내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위상배열 레이더와 적외선 탐색·추적 장비의 통합 기술 2건은 유럽 등 해외의 기술협력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방사청의 계획대로 원만히 추진될지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안규백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날 국방위 공군본부 국감에서 “대부분의 핵심 장비가 미국 장비여서 미국의 협력 없이는 개발 리스크가 커질 뿐 아니라 우리가 개발하더라도 미국 장비와의 호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체 구매 따로, 핵심기술 개발 따로…이중으로 돈들 판
방사청이 미국의 기술 이전 거부에 속수무책이란 점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방사청이 지난해 F-35A 구매와 관련해 록히드마틴과 ‘절충교역 합의각서’(MOA)에 서명하면서 이들 4건의 기술 이전에 대해선 법적 의무를 부과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절충교역은 외국에서 무기를 살 때 반대급부로 외국 판매자에게 기술 이전이나 부품 역수출 등을 요구하는 조건부 교역을 말한다.
이에 대해 방사청은 “애초부터 록히드마틴 쪽에서 이들 기술 4건의 제공에 대해서는 ‘미국 정부가 수출 승인을 거부한다’며 난색을 표시했다”며 “그래서 4건의 기술에 대해서는 세부 기술자료 제공 등 없이 ‘미국 정부의 수출 승인을 전제조건으로 제공한다’는 선에서 서명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비행제어 설계 등 21건의 기술과 달리 이들 4건의 기술 지원에 대해선, 미국 정부의 거부로 기술 이전이 안 될 경우 법적 책임을 묻지 않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 정부의 수출 승인을 얻기 위해 정부 차원의 노력이 별로 없었던 것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여당에서도 나온다.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국방위의 공군본부 국감에서 “지난 4월 우리 국방부 장관이 미국 국방부 장관에게 협조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낸 것 말고 정부 차원에서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의문”이라고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 부재를 질타했다.
또 한국형 전투기 개발 사업은 20%의 지분 투자를 약속한 인도네시아의 행보가 또다른 복병으로 거론되고 있다. 방사청은 지난해 10월 인도네시아 국방부와 한국형 전투기 공동 체계 개발에 관한 기본합의서를 체결했다. 그러나 최근 인도네시아가 경제난을 겪으면서 애초 약속한 지분 투자가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흘러나오고 있다. 실제 이달 초 인도네시아가 경제난으로 한국형 전투기 개발 사업 참여를 철회할 뜻을 시사했다는 보도도 나온 바 있다.
이에 대해 방사청 관계자는 “인도네시아의 경제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나 인도네시아에 공식 확인한 결과 ‘보도 내용이 사실과 다르며 기존 정책에 변함이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는 올해 들어 루피아 가치가 급락하는 등 경제위기를 겪고 있어, 경제상황 변화에 따라 사업 참여 여부가 유동적이라는 분석이 많다. 이에 대해 방사청 관계자는 “인도네시아도 노후 전투기 대체 수요가 있는 만큼 사업에 참여할 것으로 본다”면서도 “만약 인도네시아가 지분 투자 약속을 철회한다면, 정부의 투자 지분을 늘리거나, 주 사업자인 한국항공우주산업(카이)의 투자를 늘리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http://m.hani.co.kr/arti/politics/defense/709963.html
靑 "한미관계는 궤도 위에서 자동비행하는 상황"
기사입력 2015.10.25 오후 5:37
최종수정 2015.10.25 오후 5:39
"한미간 큰 현안 해결된 상태라 업그레이드 하느냐가 과제"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 청와대 관계자는 25일 "한미 관계는 궤도 위에서 자동 비행(auto-piloting)하는, 고공에서 그대로 쭉 진행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난 16일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 "어떤 분들은 이번 회담에서 눈에 띄는 큰 것이 없다고 하는데 전작권 전환, 방위비 분담 등 한미 간에는 큰 현안이 다 해결된 상태"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미 간에는 큰 현안이 해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좋은 관계를 어느 방면으로 업그레이드 하느냐는 것이 과제"라면서 "이런 차원에서 북핵문제, 통일문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 또 중견국으로 미국과 더불어 새로운 지평을 어떻게 더 확대해나갈 것인가가 어떻게 보면 이번 정상회담의 목표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성김 한국·일본 담당 미국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가 이번 회담에 대해 "매우 성공적이었다(extremely successful)"이라고 표현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수전 손튼 중국 담당 미국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 등을 언급하면서 이들이 "사실 근거도 없는 이야기지만 한국이 중국에 경사됐다는 말이 있었는데 말끔히 불식됐다", "한미관계가 아주 견고한 기반 위에서 한미간 빈틈없는 공조 속에서 외교를 해나가고 안보 문제를 다뤄나간다는 것을 확실히 미국에 각인시키는 성과가 있었다"고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평가 했다고 전했다.
soleco@yna.co.kr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942822
.
軍, 서해NLL 침범 北 단속정에 경고사격…北 "군사도발"(종합)
기사입력 2015.10.25 오후 2:48
최종수정 2015.10.25 오후 3:01
자료사진. 2015.8.24/뉴스12015.8.24/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24일 北 어선단속정 NLL 700미터 월선에 남측 경비정 기관포 5발
北 조평통 "정세악화시키는 고의적 도발행위"
(서울=뉴스1) 조영빈 기자 = 지난 24일 우리 해군 경비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은 북한 어선단속정에 대해 경고사격을 실시한 것으로 25일 확인됐다.
군 당국 관계자는 "24일 오후 3시30분께 우리 해군 경비정이 연평도 동쪽 해역에서 NLL을 넘어 내려온 북한 어선단속정에 대해 40mm 기관포 5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북한 어선단속정은 NLL로부터 약 700미터 가량 내려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측은 북한 어선단속정이 북상하라는 경고방송 뒤에도 NLL 이북으로 올라가지 않자 경고사격을 실시했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북한 어선단속정은 경고사격을 받은 뒤 10여분만에 북측 해역으로 돌아갔다.
군 당국은 북한 어선단속정이 고의적으로 NLL을 침범했는지, 어선단속 과정에서 우발적으로 월선했는지를 분석중이다.
이와 관련 최근 백령도에서 연평도에 이르는 NLL 해역에는 최근 꽃게성어철(10~11월)을 맞아 중국과 북한 어선 300여척이 조업중인 것으로 알러졌다.
북한 당국은 중국 어선들을 단속하기 위해 단속정을 운영중이다. 군 당국은 이 과정에서 남북 간 무력충돌 가능성에 대비해 최근 해군 경비정을 두배 가량 늘려 운영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북한은 이날 상황과 관련 남측이 엄중한 군사도발을 감행했다고 비난했다.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은 경고사격 하루뒤인 25일 "지난 24일 남조선 군부호전광들은 서해상 우리측 수역에서 정상적인 해상임무를 수행하던 우리 경비정을 향해 그 무슨 북방한계선접근이니 경고니 하며 마구 불질을 해대는 엄중한 군사적 도발을 감행했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조평통은 "백주에 공공연히 감행된 이번 포사격망동은 첨예한 조선서해수역에서 군사적 충돌을 야기시켜 조선반도 정세를 또다시 격화시키려는 고의적 도발행위"라고 주장했다.
이어 "남조선 군부호전광들이 충격적인 사건을 조작하여 대결을 추구하는 악습을 버리지 못하고 무모한 군사적 망동에 매달린다면 예측할 수 없는 무력충돌이 일어나 북남관계는 또다시 8월합의 이전의 극단으로 치닫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bin1981@
미 석학 월러스틴 경희대 강연 “자본주의는 한계… 도덕적 선택 필요”
기사입력 2012.09.17 오후 9:27
최종수정 2012.09.18 오전 11:10
‘세계체제론’을 정립한 이매뉴얼 월러스틴 예일대 교수(82·사진)는 17일 “현재 자본주의는 한계를 맞았다”고 말했다. 이어 “자본주의는 ‘불평등이 더 심한 체제’로 바뀔 수도 있고, ‘비교적 민주적이고 평등한 체제’로 대체될 수 있다”면서 “우리가 원하는 체제를 얻기 위한 도덕적이고 정치적인 선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월러스틴 교수는 유엔이 제정한 세계평화의날(21일) 31주년을 기념해 경희대학교가 주최한 ‘2012 피스바 페스티벌(Peace BAR Festival)’ 행사에 참석해 ‘문명적 전환의 정치’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월러스틴 교수는 미국 빙엄턴대 등에서 역사적 체계와 문명에 대해 가르쳤고, 국제사회학협회 대표를 지냈다. 특히 1974년 출간된 저서 <근대세계체제>에서 500년 전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온 자본주의를 한 체계로 보고, 1970년대 초부터 미국 헤게모니의 쇠퇴와 함께 자본주의가 위기를 맞고 있다고 봤다.
월러스틴 교수는 현 시점을 “500년마다 찾아오는 역사적 체제의 구조적 위기의 한복판”으로 진단했다. 그는 “16세기 이후 지속되어온 근대세계체제는 자본 축적에는 성공적이었지만, 지금은 한계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500년간 인건비, 투입요소, 세금 등 생산비용이 꾸준히 상승했다”며 이윤율을 더 이상 올리기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가 세계체제를 분석하는 한 축인 콘트라티에프 주기도 자본주의 성장의 한계론을 뒷받침한다. 산업 부문에서 이윤율이 떨어지자 자본가들은 금융자본으로 눈을 돌리는 신자유주의를 선택했다. 하지만 그는 “콘트라티에프 곡선은 1967~1973년 최고점을 찍은 뒤 긴 시간 하향세를 그리고 있다”면서 “국제통화기금(IMF) 등 신자유주의의 규칙에 강요받던 약소국은 15~20년간 일부 성장세를 보이다 한계를 맞았다”고 말했다. 금융자본의 기본은 투기이고, 투기로 인한 거품은 꺼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월러스틴 교수는 “중기적으로 20~50년 이상 극심한 혼란을 겪은 뒤 혼란 끝에 새로운 질서가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처럼 위계, 착취, 양극화를 재생산하는 체제와 비교적 민주적이고 비교적 평등한 체제가 등장할 가능성은 반반씩”이라고 말했다.
월러스틴 교수는 4가지 선택지를 우리에게 던진다. 그는 “다보스포럼 쪽에는 ‘억압을 전략으로 삼는 그룹’과 ‘민주적 방법을 선호하는 그룹’이 있고, 브라질에서 직접민주주의를 펼치고 있는 포르토 알레그레 쪽에는 ‘민주주의에 기반한 수평주의자’와 ‘조직의 힘을 중시하는 수직적 조직’이 있다”면서 “이 4가지로 분류된 정치의 장에서 각자 도덕적이고, 정치적인 선택을 한 뒤 우리의 목표를 위해 정치적인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글 곽희양·사진 김문석 기자 huiyang@kyunghyang.com>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253585
쿠즈네츠파동, 콘트라디에프파동이란?
2012/11/28 18:27
경기변동 주기를 예측하는 대표적인 형태는,
단기파동인 키친파동과 10년 주기의 중기파동인 주글라 파동/쥐글라르 파동,
20년 주기(15~25년)의 쿠즈네츠 파동과 45~65년 주기의 콘드라티예프 파동라고 할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기파동중 하나인 쿠즈네츠파동과
대표적인 장기파동인 콘트라디에프파동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쿠즈네츠파동(Kuznets Cycles)은 중기순환으로, 주순환인 주글러파동에 비해서 약간 장기이지만,
주글러파동과 마찬가지로 설비투자의 파동에 관심을 두고있고,
GNP에서 차지하는 실질민간설비투자의 비율이
20년정도의 주기로 규칙적으로 상하운동을 반복한다는 것을 주장한 중기순환의 경기파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에서 태어나 미국에 귀화했고,
7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S. S. 쿠즈네츠(Simon Smith Kuznets)가
1952년에 미국의 실질국민총생산의 성장률에는 20년을 주기로 순환적 변동이 있음을 주장하였고,
미국의 A. 루이스가 이를 쿠즈네츠 파동이라고 명명한 것에서 유래한 용어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쿠즈네츠파동은, 60년에 이르는 장기파동인 콘드라티예프파동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10년 주기의 주글라파동(쥐글라르파동)보다는 2배가 긴 20년 주기의 파동을 특징을 가지고,
물가지수나 이자율에서 얻어진 자료가 아니라, 실질국민소득의 성장률로 밝혀낸 순환이므로,
경제성장으로 인한 경기상승과 하강을 알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경기상승기에는 설비투자가 누적되어가고,
멀지 않아서 자본설비가 과잉이되면, 자연스레 설비투자가 감소하여,
자본설비를 조정하는 하강기에 이른다는 경기순환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같은 쿠즈네츠파동은,
미국의 국민소득 통계조사를 활용한 성장률 순환의 실증적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고,
비교적 간단한 통계수치를 통해서, 앞으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경기예측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콘트라디에프파동/콘드라디예프파동이란,
러시아의 경제학자 N. D. 콘드라티에프(Nikolai Dmitrievich Kondrat'ev)가
1922년에 처음으로 발표하고, 1925년에 통계적 검증을 가미해논문으로 작성한 경기순환론으로,
경기의 순환주기를 말하는 장기순환론의 대표적인 경제이론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이론은, 특정한 경향치를 제거했을 때,
미국,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 세계적으로 물가ㆍ이자율ㆍ임금 및 생산량 등의 지수가
50~60년의 주기로 기복이 있음을 검출해서 경제의 장기순환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제 1파는 1780년경에서 1817년까지의 상승과 1840년대까지의 하강,
제 2파는 1875년부터의 상승과 1890년대 초까지의 하강,
제 3파는 제 2파 후부터 1920년경까지의 상승과 그 이후의 하강을 일컫습니다.
콘트라디에프파동과 같은 장기 경기순환의 발생원인을
철도, 운하, 토지개발과 같은 거액의 투자와 장기 건설기간을 요하는 자본재의 발생에서 찾는 경우도 있고,
전쟁, 금생산량 등이 장기 경기순환의 발생원인으로 거론하는 경우도 있지만,
J. A. 슘페터는 이러한 경기순환의 발생원인을 기술혁신(Innovation)으로 설명하고 있고,
이같은 기술혁신설이 가장 일반적으로 수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경제 전체에 큰 파급효과를 가지는 기술이 나타나서 거대한 신산업을 형성하고,
기술혁신(Innovation)에 의해서 관련산업이 활성화되면서 경기파동은 추진력을 얻게되고,
새로운 기술이 융성할때는 상승기가 되고,
혁신기술이 정착되게되면 더 이상 경제에 충격을 주지 못하게되어 상승기의 동력은 진정되며
경기의 하강기가 된다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슘페터는 40개월 주기의 단기파동인 키친사이클이 3개가 합쳐져 주글라 사이클을 이루고,
주글라사이클 6개가 합쳐저 콘트라티에프 사이클을 이룬다는 복합설을 주장하였고,
슘페터의 복합설에대한 실제 현실사례는,
제 1파는 산업혁명,
제 2파는 철도건설을 축으로 하는 증기와 철강의 시대,
제 3파는 당시 제 2차 산업혁명으로 불렸던, 전기, 화학, 자동차의 시대였고,
이같은 기술진보와 신제품 출현은 계속해서 이어지며,
제 4파는 제 2차 세계대전 후, 석유화학산업과 전자공학에 의해서 발생하게되었고,
이 견해에 첨언하자면, 제 5파는 90년대 출연한 IT산업의 융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12년 현재, IT산업 또한 과거와 같은 경기순환 과정에서보자면,
정착기에 이를 예정이거나, 이미 하강기에 접어들었다고도 할 수 있는 상황인데,
앞으로의 먹거리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혁신기술은 언제,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지가
새로운 콘트라디에프파동의 상승을 불러올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politicstory.tistory.com/m/post/1105
Immanuel Wallerstein
Immanuel Wallerstein giving a talk at a seminar at the European University at St. Petersburg (May 24, 2008)
Born September 28, 1930 (age 85)
New York City, New York, U.S.
Nationality American
Fields Sociology
Institutions Binghamton University
Yale University
Alma mater Columbia University
Known for World-System Theory
Influences Karl Marx
Fernand Braudel
Karl Polanyi
Frantz Fanon
Ilya Prigogine
Joseph Schumpeter
Nikolai Kondratiev
Immanuel Maurice Wallerstein (/?w?ːl?rstiːn/;[1] born September 28, 1930) is an American sociologist, historical social scientist, and world-systems analyst, arguably best known for his development of the general approach in sociology which led to the emergence of his World-System Theory.[2] He publishes bimonthly syndicated commentaries on world affairs.[3]
Early life and education
Having grown up in a politically conscious family, Wallerstein first became interested in world affairs as a teenager while living in New York City.[4] He received all three of his degrees from Columbia University: a B.A. in 1951, a M.A. in 1954, and a PhD in 1959. However, throughout his life, Wallerstein has also studied at other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Oxford University from 1955–56,[5] Universit? libre de Bruxelles, Universite Paris 7 Denis Diderot, and Universidad Nacional Aut?noma de M?xico.
From 1951 to 1953, Wallerstein also served in the U.S. Army.[4] It was after his return from his service that he wrote his master's thesis on McCarthyism as a phenomenon of American political culture, which was widely cited and Wallerstein states, "confirmed my sense that I should consider myself, in the language of the 1950s, a 'political sociologist.'"[4] Eleven years later on May 25, 1964, he married Beatrice Friedman; the couple has one daughter.[5]
Academic career
Wallerstein's academic and professional career began at Columbia University, where he started as an instructor and later became an associate professor of sociology from 1958 to 1971.[5] During his time there, he served as a prominent supporter of the students during the Columbia University protests of 1968.[6] In 1971, he moved from New York to Montreal where he taught at McGill University for five years.[5]
Originally, Wallerstein's prime area of intellectual concern was not American politics, but politics of the non-European world, most especially those of India and Africa.[4] For two decades Wallerstein served as an Africa scholar, publishing numerous books and articles,[4] and in 1973, became president of the African Studies Association.[7]
In 1976, Wallerstein was offered the unique opportunity to pursue a new avenue of research, and so became head of the Fernand Braudel Center for the Study of Economies, Historical Systems and Civilization at Binghamton University in New York,[8] whose mission is "to engage in the analysis of large-scale social change over long periods of historical time."[9] The Center was opened with the publishing support of a new journal Review[5] (of which Wallerstein was the founding editor), and would go on to produce a body of work that "went a long way toward invigorating sociology and its sister disciplines, especially history and political-economy."[5] Wallerstein would serve as a distinguished professor of sociology at Binghamton until his retirement in 1999.[10]
Throughout his career, Wallerstein has held visiting professor posts at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British Columbia, and Amsterdam, among numerous others.[11] He has been awarded multiple honorary titles, intermittently served as Directeur d'?tudes associ? at the ?cole des Hautes ?tudes en Sciences Sociales in Paris, and was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between 1994 and 1998.[12] Similarly, during the 1990s he chaired the Gulbenkian Commission on the Restructuring of the Social Sciences, whose object was to indicate a direction for social scientific inquiry for the next 50 years.[13]
Since 2000, Wallerstein has served as a Senior Research Scholar at Yale University.[14] He is also a member of the Advisory Editors Council of the Social Evolution & History journal. In 2003, he received the Career of Distinguished Scholarship Award from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7] and in 2004 was awarded with the Gold Kondratieff Medal by the International N. D. Kondratieff Foundation and the Russian Academy of Natural Sciences (RAEN).[15]
Theory
Wallerstein began as an expert of post-colonial African affairs, which he selected as the focus of his studies after attending international youth conferences in 1951 and 1952.[16] His publications were almost exclusively devoted to this until the early 1970s, when he began to distinguish himself as a historian and theorist of the global capitalist economy on a macroscopic level. His early criticism of global capitalism and championship of "anti-systemic movements" have recently made him an ?minence grise with the anti-globalization movement within and outside of the academic community, along with Noam Chomsky and Pierre Bourdieu.
His most important work, The Modern World-System, has appeared in four volumes since 1974, with additional planned volumes still forthcoming.[17] In it, Wallerstein draws on several intellectual influences:
Karl Marx, whom he follows in emphasizing underlying economic factors and their dominance over ideological factors in global politics, and whose economic thinking he has adopted with such ideas as the dichotomy between capital and labor, the view of worl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stages such as feudalism and capitalism, belief in the accumulation of capital, dialectics, and more;
Dependency theory, most obviously its concepts of "core" and "periphery";
However, Wallerstein categorizes Frantz Fanon, Fernand Braudel, and Ilya Prigogine as the three individuals that have had the greatest impact "in modifying my line of argument (as opposed to deepening a parallel line of argument)."[4] In The Essential Wallerstein, he chronologically lists the three individuals and describes their influence on his views:
Frantz Fanon: "Fanon represented for me the expression of the insistence by those disenfranchised by the modern world‑system that they have a voice, a vision, and a claim not merely to justice but to intellectual valuation."[4]
Fernand Braudel: who had described the development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extensive networks of economic exchange in the European world between 1400 and 1800, "more than anyone else made me conscious of the central importance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time and space and its impact on our analyses."[4]
Ilya Prigogine: "Prigogine forced me to face the implications of a world in which certainties did not exist - but knowledge still did."[4]
Wallerstein has also stated that another major influence on his work was the 'world revolution' of 1968. He was on the faculty of Columbia University at the time of the student uprising there, and participated in a faculty committee that attempted to resolve the dispute. He has argued in several works that this revolution marked the end of "liberalism" as a viable ideology in the modern world system. Wallerstein anticipated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North-South divide at a time when the main world conflict was the Cold War.[citation needed]
He has argued since 1980 that the United States is a 'hegemon in decline'. He was often mocked for making this claim during the 1990s, but since the Iraq War this argument has become more widespread. Overall, Wallerstein sees the development of the capitalist world economy as detrimental to a large proportion of the world's population.[18] Similar to Marx, Wallerstein predicts that capitalism will be replaced by a socialist economy.[19]
Wallerstein has both participated in and written about the World Social Forum.
The Modern World-System
Wallerstein's first volume on world-system theory (The Modern World System, 1974) was predominantly written during a year at the Center for Advanced Study in the Behavioral Sciences (now affiliated with Stanford University).[2] In it, he argues that the modern world system is distinguished from empires by its reliance on economic control of the world order by a dominating capitalist center in systemic economic and political relation to peripheral and semi peripheral world areas.[20]
Wallerstein rejects the notion of a "Third World", claiming that there is only one world connected by a complex network of economic exchange relationships — i.e., a "world-economy" or "world-system" in which the "dichotomy of capital and labor" and the endless "accumulation of capital" by competing agents (historically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nation-states) account for frictions. This approach is known as the World-System Theory.
Wallerstein locates the origin of the modern world-system in 16th-century Western Europe and the Americas. An initially slight advance in capital accumulation in Britain, the Dutch Republic, and France, due to specific political circumstances at the end of the period of feudalism, set in motion a process of gradual expansion. As a result, only one global network or system of economic exchange exists in modern society. By the 19th century, virtually every area on earth was incorporated into the capitalist world-economy.
The capitalist world-system is far from homogeneous in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terms; instead, it is characterized by fundamental differences in social development, accumulation of political power, and capital. Contrary to affirmative theories of modernization and capitalism, Wallerstein does not conceive of these differences as mere residues or irregularities that can and will be overcome as the system evolves.
A lasting division of the world into core, semi-periphery and periphery is an inherent feature of world-system theory. Areas which have so far remained outside the reach of the world-system enter it at the stage of 'periphery'. There is a fundamental and institutionally stabilized 'division of labor' between core and periphery: while the core has a high level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manufactures complex products, the role of the periphery is to supply raw materials, agricultural products, and cheap labor for the expanding agents of the core. Economic exchange between core and periphery takes place on unequal terms: the periphery is forced to sell its products at low prices, but has to buy the core's products at comparatively high prices. Once established, this unequal state tends to stabilize itself due to inherent, quasi-deterministic constraints. The statuses of core and periphery are not exclusive and fixed geographically, but are relative to each other. A zone defined as 'semi-periphery' acts as a periphery to the core and as a core to the periphery.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is zone would comprise Eastern Europe, China, Brazil, and Mexico.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core and peripheral zones can co-exist in the same location.
One effect of the expansion of the world-system is the commodification of things, including human labor. Natural resources, land, labor, and human relationships are gradually being stripped of their "intrinsic" value and turned into commodities in a market which dictates their exchange value.
In the last two decades, Wallerstein has increasingly focused on the intellectual foundations of the modern world-system and the pursuit of universal theories of human behavior. In addition, he has shown interest in the "structures of knowledge" defined by the disciplinary division between sociology, anthropology, political science, economics and the humanities, which he himself regards as Eurocentric. In analyzing them, he has been highly influenced by the "new sciences" of theorists like Ilya Prigogine.
Criticism
Wallerstein's theory has provoked harsh criticism, not only from neo-liberal or conservative circles, but even from some historians who say that some of his assertions may be historically incorrect. Some critics, including R. Robertson and F. Lechner, suggest that Wallerstein tends to neglect the cultural dimension of the modern world-system, arguing that there is a world system of global culture which is independent from the economic processes of capitalism;[21] this reduces it to what some call "official" ideologies of states which can then easily be revealed as mere agencies of economic interest. Nevertheless, his analytical approach, along with that of associated theorists such as Andre Gunder Frank, Terence Hopkins, Samir Amin, Christopher Chase-Dunn and Giovanni Arrighi, has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ield and has established an institutional base devoted to the general approach of intellectual inquiry. Their ideology has also attracted strong interest from the anti-globalization movement.
Terms and definitions
Capitalist World-System
Wallerstein's definition follows Dependency Theory, which intended to combine the developments of the different societies since the 16th century in different regions into one collective development. The main characteristic of his definition is the development of a global division of labour, including the existence of independent political units (in this case, states)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political center, compared to global empires like the Roman Empire; instead, the capitalist world-system is identified by the global market economy. It is divided into core, semi-periphery, and periphery regions, and is ruled by the capitalist method of production.
Core/Periphery
Defines the difference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characterized e.g. by power or wealth. The core refers to developed countries, the periphery to the dependent developing countries. The main reason for the position of the developed countries is economic power.
Semi-periphery
Defines states that are located between core and periphery, and who benefit from the periphery through unequal exchange relations. At the same time, the core benefits from the semi-periphery through unequal exchange relations.
Quasi-monopolies
Defines a kind of monopoly where there is more than one service provider for a particular good/service. Wallerstein claims that quasi-monopolies are self-liquidating because new sellers go into the market by exerting political pressure to open markets to competition.[22]
Kondratiev Waves
Defines a cyclical tendency in the world's economy. It is also known as a supercycle. Wallerstein argues that global wars are tied to Kondratiev waves. According to him, global conflicts occur as the summer phase of a wave begins, which is when production of goods and services around the world are on an upswing.[23]
Works
Year Title Author(s) Publisher
1961 Africa, The Politics of Independence Immanuel Wallerstein New York: Vintage Books
1964 The Road to Independence: Ghana and the Ivory Coast Immanuel Wallerstein Paris & The Hague: Mouton
1967 Africa: The Politics of Unity Immanuel Wallerstein New York: Random House
1969 University in Turmoil: The Politics of Change Immanuel Wallerstein New York: Atheneum
1972 Africa: Tradition & Change Immanuel Wallerstein with Evelyn Jones Rich New York: Random House
1974 The Modern World-System, vol. I: Capitalist Agriculture and the Origins of the European World-Economy in the Sixteenth Century Immanuel Wallerstein New York/London: Academic Press
1979 The Capitalist World-Economy Immanuel Wallerste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The Modern World-System, vol. II: Mercantilism and the Consolidation of the European World-Economy, 1600-1750 Immanuel Wallerstein New York: Academic Press
1982 World-Systems Analysis: Theory and Methodology Immanuel Wallerstein with Terence K. Hopkins et al. Beverly Hills: Sage
1982 Dynamics of Global Crisis Immanuel Wallerstein with Samir Amin, Giovanni Arrighi and Andre Gunder Frank London: Macmillan
1983 Historical Capitalism Immanuel Wallerstein London: Verso
1984 The Politics of the World-Economy. The States, the Movements and the Civilizations Immanuel Wallerstei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Africa and the Modern World Immanuel Wallerstein Trenton, NJ: Africa World Press
1989 The Modern World-System, vol. III: The Second Great Expansion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1730-1840's Immanuel Wallerstein San Diego: Academic Press
1989 Antisystemic Movements Immanuel Wallerstein with Giovanni Arrighi and Terence K. Hopkins London: Verso
1990 Transforming the Revolution: Social Movements and the World-System Immanuel Wallerstein with Samir Amin, Giovanni Arrighi and Andre Gunder Frank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991 Race, Nation, Class: Ambiguous Identities Immanuel Wallerstein with ?tienne Balibar London: Verso.
1991 Geopolitics and Geoculture: Essays on the Changing World-System Immanuel Wallerstei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Unthinking Social Science: The Limits of Nineteenth Century Paradigms Immanuel Wallerstein Cambridge: Polity
1995 After Liberalism Immanuel Wallerstein New York: New Press
1995 Historical Capitalism, with Capitalist Civilization Immanuel Wallerstein London: Verso
1998 Utopistics: Or, Historical Choic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Immanuel Wallerstein New York: New Press
1999 The End of the World As We Know It: Social Scienc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Immanuel Wallerstei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1 Democracy, Capitalism, and Transformation Immanuel Wallerstein Documenta 11, Vienna, March 16, 2001
2003 Decline of American Power: The U.S. in a Chaotic World Immanuel Wallerstein New York: New Press
2004 The Uncertainties of Knowledge Immanuel Wallerstein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2004 World-Systems Analysis: An Introduction Immanuel Wallerstein Durham, North Carolina: Duke University Press
2004 Alternatives: The U.S. Confronts the World Immanuel Wallerstein Boulder, Colorado: Paradigm Press
2006 European Universalism: The Rhetoric of Power Immanuel Wallerstein New York: New Press
2011 The Modern World-System, vol. IV: Centrist Liberalism Triumphant, 1789–1914 Immanuel Wallerstei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 Uncertain Worlds: World-Systems Analysis in Changing Times Immanuel Wallerstein with Charles Lemert and Carlos Antonio Aguirre Rojas Herndon, VA: Paradigm Publishers
2013 Does Capitalism Have a Future? Immanuel Wallerstein with Randall Collins, Michael Mann, Georgi Derluguian and Craig Calhou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Honors and fellowships
N.D. Kondratieff Gold Medal, Russian Academy of Natural Sciences, 2005
Distinguished Fellow, St. John’s Colleg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4–present
Centro de Estudios, Informaci?n y Documentaci?n Immanuel Wallerstein, Univ. de la Tierra-Chiapas y el CIDECI Las Casas, 2004–present
Career of Distinguished Scholarship Award,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2003
Career of Distinguished Scholarship Award, Political Economy of the World-System Section of ASA, 2003
Premio Carlos Marx 2003, Fondo Cultural Tercer Mundo, Mexico
Leerstoel (Chair) Immanuel Wallerstein, University of Ghent, 2002- [Inaugural Lecture by IW on Mar. 11, 2002]
Fellow, Amer. Acad. of Arts & Sciences, 1998
IPE Distinguished Scholar,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1998
Gulbenkian Professor of Science and Technology, 1994
Medal of the University, Univ. of Helsinki, 1992
Wei Lun Visiting Professor, Chinese Univ. of Hong Kong, 1991
University Award for Excellence in Scholarship, Binghamton University, 1991
George A. Miller Visiting Professor, University of Illinois-Urbana, 1989
Officier, Ordre des Arts et des Lettres, France, 1984
Sorokin Prize (for Distinguished Scholarship),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75
Fellow, Center for Advanced Study in the Behavioral Sciences, Stanford, 1970–71
Ford Fellow in Economics, Political Science and Sociology, 1970–71
Foreign Area Fellowship, Africa, 1955–57
Phi Beta Kappa, 1951
See also
Capitalism
Dependency Theory
Economies
Historical sociology
Karl Marx
World-System Theory
Late capitalism
References
^ "China and the World System since 1945" by Immanuel Wallerstein
^ a b "Wallerstein, Immanuel (1930- )." The AZ Guide to Modern Social and Political Theorists. Ed. Noel Parker and Stuart Sim. Hertfordshire: Prentice Hall/Harvester Wheatsheaf, 1997. 372-76. Print.
^ Agence Global
^ a b c d e f g h i Wallerstein, I. 2000. The Essential Wallerstein. New York, NY: The New Press.
^ a b c d e f Sica, Alan. 2005. “Immanuel Wallerstein.” Pp. 734-739 in Social Thought: from the Enlightenment to the present. Boulder, CO: Westview Press.
^ Ed. Lemert, Charles. 2010. “Immanuel Wallerstein.” Pp. 398-405 in Social Theory: The Multicultural and Classical Readings. Westview Press.
^ a b Wallerstein, I. (April 2009). Curriculum Vitae. Retrieved from http://iwallerstein.com/wp-content/uploads/docs/iwallerstein-cv-eng-09.pdf
^ Sica, Alan. 2005. “Immanuel Wallerstein.” Pp. 734-739 in Social Thought: from the Enlightenment to the present. Boulder, CO: Westview Press.
^ http://binghamton.edu/fbc/about-fbc/intellectual-report.html
^ Wallerstein, I. (April 2009). Curriculum Vitae. Retrieved from http://iwallerstein.com/wp- content/uploads/docs/iwallerstein-cv-eng-09.pdf
^ Allan, Kenneth (2006). Contemporary social and sociological theory: visualizing social worlds. Thousand Oaks, CA: Pine Forge Press.
^ Lemert, edited with commentaries by Charles (2010). Social theory : the multicultural and classic readings (4th ed.). Boulder, CO: Westview Press. ISBN 9780813343921.
^ Wallerstein, Wallerstein. "Immanuel Wallerstein". Retrieved 27 February 2014.
^ Ed. Parker, Noel and Stuart Sim. 1997. “Wallerstein, Immanuel (1930- ).” Pp. 372-76 in The AZ Guide to Modern Social and Political Theorists. Hertfordshire: Prentice Hall/Harvester Wheatsheaf.
^ The International N. D. Kondratieff Foundation
^ Wallerstein, I. 2000. The Essential Wallerstein. New York, NY: The New Press.
^ Williams, Gregory. P. 2013. Special Contribution: Interview with Immanuel Wallerstein Retrospective on the Origins of World-Systems Analysis. Journal Of World-Systems Research 19(2): 202-210.
^ Paul Halsall Modern History Sourcebook: Summary of Wallerstein on World System Theory, August 1997
^ Carlos A. Mart?nez-Vela, World Systems Theory, paper prepared for the Research Seminar in Engineering Systems, November 2003
^ Ed. Lemert, Charles. 2010. “Immanuel Wallerstein.” Pp. 398-405 in Social Theory: The Multicultural and Classical Readings. Westview Press.
^ Abercrombie, Nicholas, Hill, Stephen, and Bryan Turner. 2006. Dictionary of Sociology. 6th ed. London, England: Penguin Books Ltd.
^ Wallerstein, Immanuel (2004). World-systems analysis : an introduction (5. print. ed.).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ISBN 978-0822334422.
^ "What Is the Kondratiev Wave?". Retrieved 30 September 2012.
Further reading
Kenneth, A. "Contemporary social and sociological theory: visualizing social worlds". Thousand Oaks, CA: Pine Forge Press, 2006.
Brewer, A., Marxist Theories of Imperialism: A Critical survey, London: Macmillan, 1990.
Frank, A.G. and B. Gills (eds), The World System: 500 years or 5000?, London: Routledge, 1993.
Hout, W., Capitalism and the Third World: Development, dependence and the world system, Hants: Edward Elgar, 1993.
Sanderson, S., Civilizations and World Systems, London: Sage, 1955.
Shannon, T., An Introduction to the World-System Perspective, Oxford: Westview Press, 1989.
Wallerstein, I., The Modern World System: Capitalist Agriculture and the Origins of the European World Economy in the Sixteenth Century, New York: Academic Press, 1974.
External links
Media related to Immanuel Wallerstein at Wikimedia Commons
Immanuel Wallerstein's Official Website
Immanuel Wallerstein's profile at Yale.edu
Immanuel Wallerstein's Full CV
Wallerstein's Bimonthly Syndicated Commentaries
Presentation of Immanuel Wallerstein's "World-System Model"
Wallerstein's Own Fortnightly Commentaries on Current Events
Journal of World-Systems Research
"Modern History Sourcebook: Summary of Wallerstein on World System Theory" - Fordham University
Introduction to Social Macrodynamics: Compact Macromodels of the World System Growth by Andrey Korotayev, Artemy Malkov, and Daria Khaltourina
Wallerstein's World-Systems Theory
Interview with Wallerstein (2008) on the End of Capitalism and World-Systems
Binghmaton University Fernand Braudel Center for the Study of Economies, Historical Systems, and Civilizations
Video
"The United States Facing Its Decline" - Fall 2006, Conference given by Immanuel Wallerstein at the Universit? de Montr?al (in French)
"Major crisis still ahead, past one was minor" (2009) on YouTube - Immanuel Wallerstein comments on America's recent financial crisis in TV interview
"Immanuel Wallerstein - Unit of Analysis" (2010) on YouTube
"Immanuel Wallerstein - Capitalism is reaching its end" (2011) on YouTube
Audio
Grace Lee Boggs and Immanuel Wallerstein Dialogue - U.S. Social Forum, 2010
"Global Africa: Liberation Movements Since 1945" - Sept. 24, 2008, dialogue between Immanuel Wallerstein, Walter Turner, and Will Grant at CounterPULSE, part of the ongoing Shaping San Francisco Talks series
KPFA Radio Interview - Nov. 12, 2008, Immanuel Wallerstein comments on the structural constraints faced by Obama and the current economic crisis
https://en.m.wikipedia.org/wiki/Immanuel_Wallerstein
.
What is the Kondratieff Wave?
A Kondratieff wave, also known as a supercycle, refers to a cyclical tendency in the world's economy. This concept was developed in 1928 by the soviet economist Nikolai Kondratieff, who argued that the world experiences inevitable periods of economic rises, plateaus, and falls. These periods were termed waves due to the shape these cycles produce when plotted on a graph. According to Kondratieff, the average length of one cycle is 50 years.
Kondratieff's conclusions were not popular with the Soviet leadership of his era, and were seen as a challenge to Stalin's plans for Russia's future. He was imprisoned and executed in 1938. The waves were posthumously named after him by Joseph Schumpeter, a Moravian economist, in 1939.
There are considered to be four phases to a Kondratieff wave, analogous to the four seasons. The first, spring, is when the world economy is at a plateau or just beginning to improve. Summer occurs when the economy starts to pick up speed and there is a great deal of prosperity. Fall is represented by a recession and another plateau, while winter is considered to be a depression.
Though not widely accepted by most academic economists, the Kondratieff wave phenomenon is quite popular in heterodox, or alternative, economics. Even among its supporters, there is no general consensus about the start and end times of any particular wave. There are also concerns that belief in the theory has caused many to force events into patterns where none actually exist.
Despite the lack of agreement among experts on exactly when the cycles begin and end,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re have been five Kondratieff wave cycle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is is known as the Schumpeter-Freeman-Perez paradigm. This idea holds that it is a particular innovation or series of innovations that spurs the spring cycle in a Kondratieff wave. It also theorizes that, once the innovation has saturated the world market in the summer phase, the fall or recession phase begins.
Proponents say that the first modern Kondratieff wave occurred in approximately 1800 with the development of cotton-based spinning and weaving technology, and lasted until 1850. Our world is supposedly in the fall phase of the fifth wave, which began in 1991. This wave deals with innovations in technology, such as bioengineering and wireless applications. The predicted saturation point for this wave is between 2010 and 2020.
It has also been argued that global wars are tied to Kondratieff waves, most notably by American sociologist Immanuel Wallerstein. According to Wallerstein, global conflicts often occur just as the summer phase of a wave is starting, when world production of goods and services are on an upswing. His theories on this postulate that the inflation caused by such wars ultimately leads to the fall and winter phases of the wave.
http://m.wisegeek.com/what-is-the-kondratieff-wave.htm
Kondratiev wave
This article is about a phenomenon in economics. For the neologism, see Korean Wave.
Economic cycle.svg Proposed Economic Waves
Cycle/Wave Name Period (years)
Kitchin inventory 3–5
Juglar fixed investment 7–11
Kuznets infrastructural investment 15–25
Kondratiev wave 45–60
Pork cycle
This box: view talk edit
A rough schematic drawing showing growth cycles in the world economy over time according to the Kondratiev theory.
In economics, Kondratiev waves (also called supercycles, great surges, long waves, K-waves or the long economic cycle) are supposedly cycle-like phenomena in the modern world economy.[1]
It is claimed that the period of the wave ranges from forty to sixty years, the cycles consist of alternating intervals between high sectoral growth and intervals of relatively slow growth.[2]
History of concept
The Soviet economist Nikolai Kondratiev (also written Kondratieff) was the first to bring these observations to international attention in his book The Major Economic Cycles (1925) alongside other works written in the same decade.[3][4] Two Dutch economists, Jacob van Gelderen and Samuel de Wolff, had previously argued for the existence of 50- to 60-year cycles in 1913.
In 1939, Joseph Schumpeter suggested naming the cycles "Kondratieff waves" in his honor.
Since the inception of the theory, various studies have expanded the range of possible cycles, finding longer or shorter cycles in the data. The Marxist scholar Ernest Mandel revived interest in long-wave theory with his 1964 essay predicting the end of the long boom after five years and in his Alfred Marshall lectures in 1979. However, in Mandel's theory, there are no long "cycles", only distinct epochs of faster and slower growth spanning 20–25 years.[citation needed]
The historian Eric Hobsbawm wrote of the theory: "That good predictions have proved possible on the basis of Kondratiev Long Waves—this is not very common in economics—has convinced many historians and even some economists that there is something in them, even if we don't know what." [5]
Characteristics of the cycle
Kondratiev identified three phases in the cycle: expansion, stagnation, recession. More common today is the division into four periods with a turning point (collaps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hases. Writing in the 1920s, Kondratiev proposed to apply the theory to the 19th century:
1790–1849 with a turning point in 1815.
1850–1896 with a turning point in 1873.
Kondratiev supposed that, in 1896, a new cycle had started.
The long cycle supposedly affects all sectors of an economy. Kondratiev focused on prices and interest rates, seeing the ascendant phase a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prices and low interest rates, while the other phase consists of a decrease in prices and high interest rates. Subsequent analysis concentrated on output.
Explanations of the cycle
Technological innov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innovation theory, these waves arise from the bunching of basic innovations that launch technological revolutions that in turn create leading industrial or commercial sectors. Kondratiev's ideas were taken up by Joseph Schumpeter in the 1930s. The theory hypothesized the existence of very long-run macroeconomic and price cycles, originally estimated to last 50–54 years.
In recent decades there has been considerable progress in historical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technology, and numerous investig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conomic cycles. Some of the works involving long cycle research and technology include Mensch (1979), Tylecote (1991),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pplied Systems Analysis (IIASA) (Marchetti, Ayres), Freeman and Lou?? (2001) and Carlota Perez.
Perez (2002) places the phases on a logistic or S curve, with the following labels: beginning of a technological era as irruption, the ascent as frenzy, the rapid build out as synergy and the completion as maturity.[6]
Demographic theory
Because people have fairly typical spending patterns through their life cycle, such as schooling, marriage, first car purchase, first home purchase, upgrade home purchase, maximum earnings period, maximum retirement savings and retirement, demographic anomalies such as baby booms and busts exert a rather predictable influence on the economy over a long time period. Harry Dent has written extensively on demographics and economic cycles. Tylecote (1991) devoted a chapter to demographics and the long cycle. [7]
Land speculation
Main article: Georgism
Georgists, such as Mason Gaffney, Fred Foldvary, and Fred Harrison argue that land speculation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boom and bust cycle. Land is a finite resource which is necessary for all production, and they claim that because exclusive usage rights are traded around, this creates speculative bubbles, which can be exacerbated by overzealous borrowing and lending. As early as 1997, a number of georgists predicted that the next crash would come in 2008.[8][9]
Debt deflation
Debt deflation is a theory of economic cycles, which holds that recessions and depressions are due to the overall level of debt shrinking (deflating): the credit cycle is the cause of the economic cycle.
The theory was developed by Irving Fisher following the Wall Street Crash of 1929 and the ensuing Great Depression. Debt deflation was largely ignored in favor of the ideas of John Maynard Keynes in Keynesian economics, but has enjoyed a resurgence of interest since the 1980s, both in mainstream economics and in the heterodox school of Post-Keynesian economics, and has subsequently been developed by such Post-Keynesian economists as Hyman Minsky[10] and Steve Keen.[11]
Modern modifications of Kondratiev theory
There are several modern timing versions of the cycle although most are based on either of two causes: one on technology and the other on the credit cycle.
Additionally, there are several versions of the technological cycles, and they are best interpreted using diffusion curves of leading industries. For example, railways only started in the 1830s, with steady growth for the next 45 years. It was after Bessemer steel was introduced that railroads had their highest growth rates; however, this period is usually labeled the "age of steel". Measured by value added, the leading industry in the U.S. from 1880 to 1920 was machinery, followed by iron and steel.[12]
The technological cycles can be labeled as follows:
The Industrial Revolution—1771
The Age of Steam and Railways—1829
The Age of Steel and Heavy Engineering—1875
The Age of Oil, Electricity, the Automobile and Mass Production—1908
The Ag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1971
Any influence of technology during the cycle that began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pertains mainly to England. The U.S. was a commodity producer and was more influenced by agricultural commodity prices. There was a commodity price cycle based on increasing consumption causing tight supplies and rising prices. That allowed new land to the west to be purchased and after four or five years to be cleared and be in production, driving down prices and causing a depression, as in 1819 and 1839.[13] By the 1850s the U. S. was becoming industrialized.[14]
Other researchers
Several pap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the economy were written by researchers at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pplied Systems Analysis (IIASA). A concise version of Kondratiev cycles can be found in Robert Ayres (1989) in which he gives a historical overview of the relationships of the most significant technologies.[15] Cesare Marchetti published on Kondretiev waves and on diffusion of innovations.[16][17] Arnulf Gr?bler’s book (1990) gives a detailed account of the diffusion of infrastructures including canals, railroads, highways and airlines, with findings that the principal infrastructures have midpoints spaced in time corresponding to 55 year K wavelengths, with railroads and highways taking almost a century to complete. Gr?bler devotes a chapter to the long economic wave. [18]
Korotayev et al. recently employed spectral analysis and claimed that it confirmed the presence of Kondratiev waves in the world GDP dynamics at an acceptabl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2][19] Korotayev et al. also detected shorter business cycles, dating the Kuznets to about 17 years and calling it the third harmonic of the Kondratiev, meaning that there are three Kuznets cycles per Kondratiev.
More recently the physicist and systems scientist Tessaleno Devezas advanced a causal model for the long wave phenomenon based on a generation-learning model[20] and a nonlinear dynamic behaviour of information systems.[21] In both works a complete theory is presented containing not only the explanation for the existence of K-Waves, but also and for the first time an explanation for the timing of a K-Wave (≈60 years = two generations).
A specific modification of the theory of Kondratieff cycles was developed by Daniel ?mihula. ?mihula identified six long-waves within modern society and the capitalist economy, each of which was initiated by a specific technological revolution:[22]
1. (1600–1780) The wave of the Financial-agricultural revolution
2. (1780–1880) The wav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3. (1880–1940) The wave of the Technical revolution
4. (1940–1985) The wave of the Scientific-technical revolution
5. (1985–2015) The wave of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revolution
6. (2015–2035?) The hypothetical wave of the post-informational technological revolution
Unlike Kondratieff and Schumpeter ?mihula believed that each new cycle is shorter than its predecessor. The main stress is put on technological progress and new technologies as decisive factors of any long-time economic development. Each of these waves has its innovation phase, which is described as a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an application phase in which the number of revolutionary innovations falls and attention focuses on exploiting and extending existing innovations. As soon as an innovation or a series of innovations becomes available, it becomes more efficient to invest in its adoption, extension and use than in creating new innovations. Each wave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area in which the most revolutionary changes took place ("leading sectors"
Every wave of innovations lasts approximately until the profits from the new innovation or sector fall to the level of other, older, more traditional sectors. It is a situation when the new technology, which originally increased a capacity to utilize new sources from nature, reached its limits and it is not possible to overcome this limit without an application of another new technology.
For the end of an application phase of any wave there are typical an economic crisis and stagnation. The economic crisis in 2007–2010 is a result of the coming end of the "wave of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technological revolution". Some authors have started to predict what the sixth wave might be, such as James Bradfield Moody and Bianca Nogrady who forecast that it will be driven by resource efficiency and clean technology.[23] On the other hand, ?mihula himself considers the wav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during the modern age (after 1600 AD) only as a part of a much longer „chain“ of technological revolutions going back to the pre-modern era.[24] It means he believes that we can find long economic cycles (analogical to Kondratiev cycles in modern economy) dependent on technological revolutions even in the Middle Ages and the Ancient era.
Criticism of long cycles
Kondratiev waves associated with gains in IT and health with phase shift and overlap, Andreas JW Goldschmidt, 2004.
Long wave theory is not accepted by most academic economists, but it is important for innovation-based, development, and evolutionary economics. Among economists who accept it, there has been no universal agreement about the start and the end years of particular waves. This points to a major criticism of the theory: that it amounts to seeing patterns in a mass of statistics that aren't really there.
Moreover, there is a lack of agreement over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Health economist and biostatistician Andreas J. W. Goldschmidt searched for patterns and showed in 2004 phase shift and overlap of the so-called Kondratjev cycles of IT and health (shown in the figure). He says that historical growth phases in combination with key technologies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e existence of regular cycles in general. Goldschmidt is of the opinion that different fundamental innovations and their economic stimuli do not exclude each other, they mostly vary in length, and their benefit is not applicable to all participants in a "market“. [25]
See also
Business cycles
Kuznets swing
Market trends
Grand Supercycle (Elliott Wave theory)
Martin A. Armstrong
Clustering illusion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Spending wave
Technological revolution
References
^ The term long wave originated from a poor early translation of long cycle from Russian to German. Freeman, Chris; Lou??, Francisco (2001) pp 70
^ a b See, e.g. Korotayev, Andrey V.; Tsirel, Sergey V. (2010). "A Spectral Analysis of World GDP Dynamics: Kondratiev Waves, Kuznets Swings, Juglar and Kitchin Cycles in Global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2008–2009 Economic Crisis". Structure and Dynamics 4 (1): 3–57.
^ Vincent Barnett, Nikolai Dmitriyevich Kondratiev, Encyclopedia of Russian History, 2004, at Encyclopedia.com.
^ Erik Buyst, Kondratiev, Nikolai (1892–1938), Encyclopedia of Modern Europe: Europe Since 1914: Encyclopedia of the Age of War and Reconstruction, Gale Publishing, January 1, 2006.
^ Hobsbawm (1999), pp. 87f.
^ Perez, Carlota (2002). Technological Revolutions and Financial Capital: The Dynamics of Bubbles and Golden Ages. UK: Edward Elgar Publishing Limited. ISBN 1-84376-331-1.
^ Tylecote, Andrew (1991). The Long Wave in the World Economy. London: Routledge. pp. Chapter 5: Population feedback. ISBN 0-415-03690-9.
^ Clark, Ross (20 January 2008), "The man who predicted today's housing woes – ten years ago", The Mail on Sunday
^ "Fred Foldvary". Foldvary.net. Retrieved 2013-03-26.
^ Minsky, Hyman (1992). "The Financial Instability Hypothesis". Jerome Levy Economics Institute Working Paper No. 74. SSRN 161024.
^ Keen, Steve (1995). "Finance and Economic Breakdown: Modelling Minsky’s Financial Instability Hypothesis". Journal of Post Keynesian Economics 17 (4): 607–635.
^ Table 7: Ten leading industries in America, by value added, 1914 prices (millions of 1914 $'s)
^ North, Douglas C. (1966). The Economic Growth of the United States 1790–1860. New York, London: W. W. Norton & Company. ISBN 978-0-393-00346-8.
^ See: Joseph Whitworth's quote under American system of manufacturing#Use of machinery.
^ Ayres, Robert (1989). "Technological Transformations and Long Waves" (PDF).
^ Marchetti, Cesare (1996). "Pervasive Long Waves: Is Society Cyclotymic" (PDF).
^ Marchetti, Cesare (1988). "Kondratiev Revisited-After One Cycle" (PDF).
^ Gr?bler, Arnulf (1990). The Rise and Fall of Infrastructures: Dynamics of Evolution and Technological Change in Transport (PDF). Heidelberg and New York: Physica-Verlag.
^ Spectral analysis is a mathematical technique that is used in such fields as electrical engineering for analyzing electrical circuits and radio waves to deconstruct a complex signal to determine the main frequencies and their relative contribution. Signal analysis is usually done with equipment. Data analysis is done with special computer software.
^ Devezas, Tessaleno (2001). "The Biological Determinants of long-wave behaviour in socio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68, pp. 1–57".
^ Devezas, Tessaleno; Corredine, James (2002). "The nonlinear dynamics of technoeconomic systems - An informational interpret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69, pp. 317–357".
^ ?mihula, Daniel (2009). "The waves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the modern age and the present crisis as the end of the wave of the informational technological revolution". Studia politica Slovaca (Bratislava) 2009 (1): 32–47. ISSN 1337-8163.
^ Moody, J. B.; Nogrady, B. (2010). The Sixth Wave: How to succeed in a resource-limited world. Sydney: Random House. ISBN 9781741668896.
^ ?mihula, Daniel (2011). "Long wav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Studia politica Slovaca (Bratislava) 2011 (2): 50–69. ISSN 1337-8163.
^ Goldschmidt, Andreas JW; Hilbert, Josef (2009). Health Economy in Germany - Economical Field of the Future (Gesundheitswirtschaft in Deutschland - Die Zukunftsbranche). Germany: Wikom Publishing house, Wegscheid. p. 22. ISBN 978-3-9812646-0-9.
Further reading
Barnett, Vincent (1998). Kondratiev and the Dynamics of Economic Development. London: Macmillan. ISBN 0-312-21048-5.
Beaudreau, Bernard C. (1996). Mass Production, the Stock Market Crash and the Great Depression. New York, Lincoln, Shanghi: Authors Choice Press.
Cheung, Edward (2007) [1995]. Baby Boomers, Generation X and Social Cycles, Volume 1: North American Long-waves (PDF). Toronto: Longwave Press. ISBN 978-1-896330-00-6.
Devezas, Tessaleno (2006). Kondratieff Waves, Warfare and World Security. Amsterdam: IOS Press. ISBN 1-58603-588-6.
Freeman, Chris; Lou??, Francisco (2001). As Time Goes By.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s to the Information Revolu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24107-4.
Goldstein, Joshua (1988). Long Cycles: Prosperity and War in the Modern Ag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ISBN 0-300-03994-8.
Grinin, L.; Munck, V. C. de; Korotayev, A. (2006). History and mathematics: Analyzing and Modeling Global Development. Moscow: URSS. ISBN 5-484-01001-2.
Hobsbawm, Eric (1999). Age of Extremes: The Short Twentieth Century 1914–1991. London: Abacus. ISBN 0-349-10671-1.
Korotayev, Andrey V., & Tsirel, Sergey V.(2010). A Spectral Analysis of World GDP Dynamics: Kondratieff Waves, Kuznets Swings, Juglar and Kitchin Cycles in Global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2008–2009 Economic Crisis. Structure and Dynamics. Vol.4. #1. P.3-57.
Kohler, Gernot; Chaves, Emilio Jos? (2003). Globalization: Critical Perspectives. Hauppauge,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ISBN 1-59033-346-2. With contributions by Samir Amin, Christopher Chase Dunn, Andre Gunder Frank, Immanuel Wallerstein.
Lewis, W. Arthur (1978). Growth and Fluctuations 1870–1913. London: Allen & Unwin. pp. 69–93. ISBN 0-04-300072-X.
Mandel, Ernest (1964). "The Economics of Neocapitalism". The Socialist Register.
Mandel, Ernest (1980). Long waves of capitalist development: the Marxist interpret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3000-4.
McNeil, Ian (1990). An Encyclopedia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London: Routledge. ISBN 0-415-14792-1.
Marchetti, Cesare (1986). "Fifty-Year Pulsation in Human Affairs, Analysis of Some Physical Indicators". Futures 17 (3): 376–388.
Modis, Theodore (1992). Predictions: Society's Telltale Signature Reveals the Past and Forecasts the Future. New York: Simon & Schuster. ISBN 0-671-75917-5.
Nyquist, Jeffrey (2007). "Cycles of History, Boom and Bust". San Diego: Financial Sense. Weekly Column from 11.09.2007 predicting a major turning-point between 2007 to 2009 and the start of a Great Depression.
Rothbard, Murray (1984). The Kondratieff Cycle: Real or Fabricated?. Ludwig von Mises Institute.
Silverberg, Gerald; Verspagen, Bart (2000). Breaking the Waves: A Poisson Regression Approach to Schumpeterian Clustering of Basic Innovations. Maastricht: MERIT.
?mihula, Daniel (2009). The waves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the modern age and the present crisis as the end of the wave of the informational technological revolution:. Bratislava: in Studia politica Slovaca, 1/2009 SAS. pp. 32–47. ISSN 1337-8163.
?mihula, Daniel (2011). Long wav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Bratislava: in Studia politica Slovaca, 1/2011 SAS. pp. 50–69. ISSN 1337-8163.
Solomou, Solomos (1989). Phases of Economic Growth, 1850–1973: Kondratieff Waves and Kuznets Swing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33457-8.
Tausch, Arno; Ghymers, Christian (2007). From the 'Washington' Towards a 'Vienna Consensus'? A Quantitative Analysis on Globalization, Development and Global Governance. Hauppauge,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ISBN 1-60021-422-3.
Tausch, Arno (2013). The Hallmarks of Crisis: A New Center-Periphery Perspective on Long Cycles. Connecticut: REPEC/IDEAS.
Turchin, Peter (2006). History & Mathematics: Historical Dynamics and Development of Complex Societies. Moscow: KomKniga. ISBN 5-484-01002-0.
The Kondratieff Wave. Dell Publishing Co. Inc. New York, N.Y., USA. 1972. p. 198.
Shuman, James B.; Rosenau, David (1972). The Kondratieff Wave. The Future of America Until 1984 and Beyond. New York: Dell. This book provides the history of the many ups and downs of the economies.
Tylecote, Andrew (1991). The Long Wave in the World Economy: The Current Crisis in Historical Perspectiv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Kondratieff Waves almanac
External links
"Kondratieff waves" on faculty.Washington.edu (The Evolutionary World Politics Homepage).
"Kondratieff theory explained" on Kondratyev.com (Kondratyev Theory Letters).
Kondratieff winter perspective on current place in business cycles
The Kondratieff Cycle: Real or Fabricated? by Murray Rothbard
https://en.m.wikipedia.org/wiki/Kondratiev_waㄷ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