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족산(鼎足山 748m)
1.소 재 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울산 울주군 웅상면 주남리, 삼동면 조일리
2.개 요
정족산(鼎足山 748m)은 양산시 하북면, 울주군 웅상면, 삼동면에 걸쳐 있다.
가지산 도립공원에 속하며, 낙동정맥상의 영축산에서 동쪽으로 흘러내린 산맥이 지경고개에서 경부고속국도를 관통시키고 국도 동쪽에서 천성산과 나란히 웅장하게 솟아 있는 산이다.
정족산을 솥발산이라 부르기도 하는 데, 솥발산을 한자로 옮긴 것이 정족산(鼎足山)이다.
천성산(812m)과 원효산(922m)으로 이어지는 북쪽 끝머리 능선 길에서는 주능선과 지능선이 한 눈에 들어오고 주변의 천성산과 원효산의 능선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어 등산객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곳이다.
전설에 의하면, 옛날 천지가 개벽할 때 온통 물바다가 되었으나 정족산은 솥전 위만큼 남고 모두가 물에 찰랑거렸다는 얘기도 있다.
산 정상에는 용의 모양을 한 용바위가 있는데, 가뭄이 들면 용바위에 제단을 마련하고 산신에게 비가 오기를 빌었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기록에 의하면 '운흥사는 원적산에 있다(雲興寺在圓寂山)'는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정족산도 천성산·원효산과 더불어 원적산으로 총칭되었던 것 같다.
정족산의 동쪽인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계곡에는 운흥사지(雲興寺址)가 있는데, 언제 폐사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삼국유사(三國遺事)' 흥려지 등에 따르면 신라 26대 진평왕 때에 창건하고, 고려 말 3대 화상 중 한 명인 인도사람 지공화상이 중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외에도 남서쪽 계곡에는 여러 개의 사찰이 산재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산 행 일 지
내원사 주차장~노전암~대성암~무재치늪3.4~정족산~삼덕공원묘원가기전임도(좌측)~감시카메라~솥발산공원묘원(좌측)~송신탑~북대골~노전암~주차장
1.산 행 일 시: 2018년 9월8일 (토) 흐림
2.산 행 대 원: 삼성한마당산악회(강갑석, 차양, 최창우, 이병준, 김윤명, 엄주건, 정강식,
유상일, 고판용, 윤형석, 신정현, 김영관, 김승영, 김영호, 최남진) 15명
3.산 행 일 지
09:10~15 내원사 주차장(주차비 2,000원, 입장료 2,000원/인, 경로우대 면제)
09:29 잠수교를 건너서 성불암갈림길에서 좌측으로(예전에 공룡능선 입구 지점)
09:45~56 목교가 있는 노전암 삼거리 (→주남리 5.1km, ↓한듬게곡 2.0km, 성불암 2.0km) 홀로 노전암 구경을 하고, 차양씨 커피로 목을 축이고
09:58 다리를 건너면 좌측으로 정족산 직등하는 등산로(대성암쪽으로 직진) 다리 건너기전 계곡으로 노전암 우측으로 북대암 등로가 있음(우리는 하산함)
10:11 계곡을 건너고(계곡을 따라 계속가면 등로가 있음)
10:19 계곡을 도로 건너고
10:31~42 벤치가 있는 곳에서 영호씨의 통닭과 막걸리로 입가심을 하고
10:54 대성골과 상리천 상류 합수점(대성암으로 바로 가는 길은 좌측 대성골을 따라 감)
10:56 나홀로 계곡을 건너니 이정표(↑천성산제2봉 3.2km, 짚북재 2.0km, ←영산대 2.8km, 조계암 1.5km, 가사암 0.6km, ↓노전암 2.0km, 매표소 3.9km)에서 좌측으로 올라서면 옛 이정표(↓노전암, ←영산대)
10:59 ↑조계암 1.0km, ↓노전암 1.9km에서 좌측으로 계곡을 건너 자연 등반을 하여
11:04 대성암길로 복귀함
11:12 작은 게곡을 건너고
11:16~24 계곡에서 잠시 휴식을
11:32 큰물로 우측이 깎여 절벽이 된 등로르
11:35 옛 집터인지 밭인지 축대가 있는 지점에서 좌측으로
11:49 대성암 입구 임도에
11:50~52 대성암(예전에는 돌로 지어진 원통전이 있었는데 지금은 보이지 않고 처사님이 길이 없다고만 하여 포장임도를 따름
12:11 ↓대성암 500m 간판이 있는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우측은 주남고개로 하여 안적암, 영산대로 가는 길)
12:12~30 주차장 같은 너른 안부에(우측 620m고지 아래는 조그만 사각정자가 있고, 맞은 편 숲속에 628m봉 전에는 벤치가 있음) 차량도 2대가 주차되어 있음. 뒷사람을 기다리셔 좌측 임도를 따라서
12:42 대성암에서 올라오는 길을 만나고
12:51~13:40 무채치늪 3.4 지점 정상에서 오찬을 하고(일부는 하산하고, 나머지는 정상으로
13:41 정상입구 이정표(↓주남고개 2.7km, 삼덕공원묘지 2.0km, ←정족산정상 0.3km는 땅에 떨어져 있음)
13:50 용바위에서 인증샷을 하고
13:52 정족산 0.1km, 주남고개 2.9km 이정표
13:57~14:06 정상에서 사통팔달 터지는 조망을 혼자서 즐기고, 일행들은 서둘러 하산하여 빨리오라고~~~~(바위로 이루어져 있고, 양산413 삼각점이 있고, 정족산 설명판은 지워졌음)
14:12 무재치에서 오는 임도를 만나서(직진하는 능선길은 키작은 잡목이) 좌측으로 임도로
14:23 임도를 따르다 숲속에 이정표(←동부마을 5.9km, ↓정족산 0.9km, ↑삼덕공원묘지 0.5km)에서 좌측 숲속으로(임도로 내려서서 조금만 내려서면 좌측으로 북대골로 내려서는 길이 있는 데 간과하여 여기까지 왔음)
14:30 평평한 능선을 걸으면 이정표(↑동부마을 5.6km, ↓정족산 1.3km)
14:31 산불감시카메라가 있는 삼거리서 좌측으로
14:34 억새로 덮힌 폐헬기장
14:40 작은 안부 삼거리서 좌측으로
14:49 한참을 가다가 다시 돌아섬(정상아래 시그널이 있는 곳에서 내려서는 능선까지 가는 듯하여)
14:55 다시 작은 안부삼거리로 회귀하여 직진
14:59 조금 내려서면 전망바위가
15:02 삼거리에서 좌측으로(우측은 솥발산공원묘원)
15:06 두번 째 억새로 덮힌 폐헬기장
15:14 철탑을 지나고
15:16 우측에 솥발산공원묘원으로 가는 임도에서 좌측 등로로
15:32~37 계곡을 만나 잠시 휴식(여기서부터 길이 큰비로 등로가 많이 훼손 됨)
15:54 작은 계곡 함수점 소에서 좌측으로 계곡을 건너
16:07 옛 계단식 논인지 밭인지 모를 지역을 지나 노전암 옆 계곡에
16:11~19 다시 노전암 입구 삼거리
16:45 주차장으로 회귀함
*북대골 길은 길이 많이 훼손되었고, 계곡을 만나고 부터는 잡목이 많아서 길이 별로 좋지 않음
(총산행시간: 7시간30분, 휴식: 1시간2분, 오찬: 49분, 순보행시간: 5시간39분)


0910~15 내원사 주차장

0912 안내소옆의 안내도

0918 화장실 옆을 지나 임도 모습을

0921 상리천 모습을

0929 성불암 갈림길 전 다리를 건너서 좌측으로

0930 상리천 모습을

0944 노전암 가기전 민가를

0945~56 노전암 입구 삼거리

0945 노전암 입구의 이표ㅍ

0947 노전암 입구의 안내도

0951 노전암 입구모습을

0951 노전암 경내 모습을

0953 노전암 대웅전 내부를

0954 대웅전 띂에서

0955 대웅전 뜰에서 산신각쪽을

0958 목교를 건너서 대성암쪽으로(좌측 오름길은 직등하는 길임)

1002 상리천 모습을

1011 계곡을 건너기전 차양씨

1014

1016 계곡을 도로 건너서

1018 계곡을 건너서

1020

1024

1030~42 벤치가 있는 곳에서 목을 축이고

1054 좌측 대성골과 상리천이 합수하는 지넘

1055 합수점에서 상리천쪽으로 계곡을 건너면 삼거리

1055 삼거리의 이정표에서 좌측 오름길로

1057 삼거리서 좌측으로 오르면 이정표

1059 조계암 1km 이정표에서 좌측 계곡으로 내려서 자연등반

1103 잠시 자연등반을 하다

1104 대성암 등로로 복귀한 지점

1112 계곡을 건너고

1116~24 잠시 휸식을 하며

1132 급류에 깎여 나간 등로

1135 옛 집터같은 곳을 오르며

1147

1149 대성암 입구 임도에

1150~52 대성암 입구 모습을

1151 대성암(옛날에는 돌로 지어진 원통전이~~~)

1152 입구의 소나무를

1211 대성암에서 등로가 없다고하여 포장임도를 따라서 삼거리에

1212~30 삼거리서 좌측을 따르면 620m아래 안부 주차장

1242 임도를 따르다 대성암에서 오는 길을 만나고

1249 무재치늪 차단기

1251~1340 무재치 3.4지구 위 안부에

1252 무재치늪 위 안부에서 올라온 길을

1332 오찬후

1332

1337 오찬후 단체 인증샷을

1341 무채지늪 위 안부에서 임도를 따르면 정상 입구

1342 정상쪽으로 오르다 입구 모습을

1348 정상으로 오르다 무채지늪 위 안부를

1350 용바위를

1350 인증샷을

1352 정상 0.1km 지점

1352 정상 0.1km 지점의 이정표

1335 정상에 먼저간 일행들을

1356 조금 당거셔

1357~1406 정상에서 북쪽 바위 태극기를

1400 인증샷을

1400 정상의 삼각점

1400 정상석을

1401 정상석을

1404 남쪽편 천성산을

1404 정상에서 삼덕공원묘지와 멀리 언양쪽을

1405 동쪽 편 회야댐쪽을

1412 북서쪽으로 내려서면 임도를 만나 좌측으로

1423 임도가 우측으로 꺾여 내리는 지점에서 좌측 숲으로

1423 좌측 숲속의 이정표

1430 숲속길을 따르면 이정표

1431 감시카메라에서 좌측으로

1434 폐헬기장을 만나고

1439 내림길을 가다 좌측 바위를

1440~55 작은 안부 삼거리서 좌측으로 갔다가 돌아와 우측으로

1459 우측으로 내려서면 전망바위가

1502 삼거리서 좌측으로(우측은 솥발산 공원묘원

1506 또 다른 폐헬기장을 만나고

1512

1516 솥발산 공원묘원쪽으로 오는 임도에서 좌측 숲속으로

1531~37 계곡을 만나서 잠시 휸식(여기서 부터 등로가 많이 훼손 되었음)

1543 희미하게 변한 등로 모습을

1554 계곡 합수점 소를

1607 노전암 옆 게곡에 내려서고

1645 주차장으로 회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