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대형화장실이 궁금하세요?
왕궁리유적전시관에서 풀어드려요~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88174185061058e4d41407fe0dc49b01.jpg)
미륵사지에서 대략 6km떨어진 곳에 자리한 왕궁리유적전시관에 도착했습니다.비가 워낙 내리고 있는 상황이라 왕궁리유적지를 둘러보기전에 전시관부터 들어갑니다.이 주변 일대에는 그전에는 황량한 벌판으로 오층석탑만이 서있던 곳이라고 하는데요. 최근 발굴작업이 이뤄지고 있어서 이리저리 파헤져진 모습이 좀더 안좋아보일 수도 있다 싶은데...역사가 드러나는 과정이니 어쩔 수 없겠지요. 난 지금 역사의 현장 한가운데 서 있는거죠.. 잠자고 있던 백제의 궁중생활상이 드러나는 바로 그 현장입니다..크크. 왕궁리유적지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지 들어가 볼까요.
■왕궁리유적 소개왕궁리 유적은 1989년부터 발굴 조사가 진행 중이다. 남북 490여m, 동서 240여m 규모의 장방형 석축 성벽 안에서 대형 건물지, 정원, 공방, 화장실 등 다양한 유적이 발굴됐다. 지명처럼 백제시대 왕궁 또는 그에 버금가는 시설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백제 말기 익산 천도설(遷都說) 내지는 별도설(別都說)을 뒷받침해준다.
왕궁리 유물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화장실 뒤처리용 나무막대인 측주(厠籌)이다. 길고 납작한 형태로 인체 접촉 부분이 둥글고 매끄럽게 처리돼 뒤를 닦는 데 유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왕궁리에선 오늘날 정화조와 같은 구조의 공동 화장실 3기가 발견돼 '한국 화장실 고고학의 본거지'라는 별칭이 붙었다. 가장 규모가 큰 서쪽 화장실은 길이 10.8m, 폭 1.7~1.8m, 깊이 3.4m로 내부 벽면에 점토를 덧발라 인분이 밖으로 빠져나가 지하수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했다. 화장실 유적에선 측주 이외에 짚신, 밤껍질, 참외씨, 회충알 등이 발굴됐다. ▶ 관람시간 : 9~18시(월요일 휴관), 063-859-4631, http://wg.iksan.go.kr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09ea73ca39f81e672bc5613f41ae91a5.jpg)
비를 뚫고 전시관안으로 들어갑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637a397503a14a0ccf7edf3f46c25041.jpg)
내부에 들어서면 보이는 모습이구요.벽면 위로 오층석탑의 소박하면서도 아름다운 자태를 보이고 있구요. 중요 유물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fa68b9c8c904164c1ed35dab47a6ebcb.jpg)
왕궁리 유적지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곳인데요. 외곽 담장의 흔적과 건물이 자리했을 법한 터와 가운데 오층석탑이 자리하고 있구요. 정원유적, 금, 유리, 동 등을 생산했을 공방지, 그리고 우리나라 최대의 위생시설인 대형화장실 유적 등이 조사되어 왕궁의 축조과정과 왕궁의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인거죠.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3cc9543d988294f98808032563202cce.jpg)
백제인의 세공기술을 엿볼 수 있는 금제유물인데요.돋보기로 보아도 작은 이 장신구 속에 또 문양을 새기고 모양을 만들었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을 정도입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ccdbf1ef6fb4d2e4f989c07bde75454e.jpg)
이것이 바로 왕궁의 화장실 문화를 엿볼 수 있는 화장실유적인데요.. 얼핏보기에 화장실터라고 믿어지지 않죠. 외벽을 돌로쌓아 칠을 해서 땅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했다는 게 참 세심하면서도 자연과 함께하는 백제인의 정신이 느껴집니다. 마치 위에서 보면 개미집같이 보이지 않나요..ㅎ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d1e242aa952d1b84adf0596e8aab6dde.jpg)
에잇...훔쳐보면 안되는데...ㅋㅋ 화장실 모습입니다.첨 터를 발견했을 때는 윗쪽엔 깊은 웅덩이가 있었고요, 중간정도에서는 기와 조각들이 발견되었다고 해요..그래서 이곳이 뭘 하는 곳이었을까 연구하다 아랫부분에서 씨앗종류와 회충알이 발견됨으로써 이곳이 화장실이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하네요. 궁중화장실이라 그런지 규모가 어마어마합니다. 윗쪽은 높고 아랫쪽은 낮게 설계해서 3/2정도 일정량이 차면 아래로 흐르도록 설계를 했다고 하네요. 그리고 밑닦개용으로 사용한 것이 무엇이냐.. 바로 나무막대기였답니다. 새끼줄같은 건 들어봤지만, 반질반질한 나무막대를 이용했다는 사실에 놀랐어요. ^^ 한편에 모형으로 실감나도록 재현해놓았답니다. 이거 아이들이 무척 좋아하겠는데요. ㅎㅎ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640661a447602a565105d08769c14e54.jpg)
정원유적지를 축소해놓은 건데요. 규모도 꽤크구요. 자연친화적으로 정원을 조성한 흔적이 많다고 하네요.. 그런데 안에 놓인 돌, 바위들을 보면...자연적인 모습이라기보다 조금 인공적인 느낌이 든다고도 합니다. 뒤에 보여드릴 사진을 보시면 조금 이해가 되실 겁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91a108907c6d3fdbfa4096a697cece2e.jpg)
연화문막새입니다. 지금이라면 이거 기계로 찍어내면 되지..할텐데요. 그 당시 솜씨라고 하기엔 연꽃문늬가 너무 살아있는 듯 하지 않나요. 모양이 일정하지 않으니 손으로 직접 만들었을 거 같은데...섬세함이 아름다움으로 남았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51cbb4ed39e5fa357aec3a137b1d1bee.jpg)
발굴 당시의 현장사진과 함께 유물을 같이 전시해놓아 눈에 쏙쏙 들어오게 하네요. 근데 난 큰 것보다는 작은 것에, 기와에 새겨진 문양, 도장들, 작은 장신구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af2364899e1b8c7053cecd655f6da4ac.jpg)
비가 잠잠해진틈을 타서 왕궁리유적지로 나왔습니다. 전시관에서 나와서 오른쪽으로 가면 오층석탑을 정면에서 볼 수 있는 자리가 나오는데요. 이곳에서 멀리 쓸쓸하게 서있는 오층석탑을 바라봅니다. 그 가치를 알지 못해 보물제44호로 지정되었다가 1997년에 국보289호로 지정되었다고 하네요.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7c506837b2a4e0fce44e87bffe8ff4bd.jpg)
정원석 옆에 있던 나무와 수많은 기와들...어떤 용도였는지..왜 저자리에 있는지 모르지만 바라보는 것이 좋아서 한컷 남겼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1b59d9748cdb2fac3d91e945a05ebf7a.jpg)
왕궁리 오층석탑국보 289호인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益山王宮里五層石塔)은 백제석탑 양식을 충실히 따른 통일신라말 또는 고려 초기의 석탑이다. 석탑의 정확한 유래는 전해지지 않지만 탑 주변에서 「관궁사」, 「대궁」 등의 명문기와가 수습되어 궁성과 관련된 사찰이 건립 되는 과정에서 축조된 것으로 보고 있다.
높이 8.5m. 원래 이 너른땅에 석탑만이 덩그러니 서있었다고 하네요. 종종 이근처에서 농사를 지으시던 분들이 기와를 발견하곤 했다고 합니다. 발굴작업이 한창 이뤄지고 있으니 이 일대 백제의 역사가 서서히 드러나게 될테지요.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3cb51a05484023c1a38dc68dba655ccf.jpg)
자세히 보시면 알겠지만, 석탑임에도 목탑의 느낌이 들정도로 곡선이 있는 석탑니다. 얇아 보이는듯 단단한 옥개석 네 귀퉁이를 보면 살짝 하늘로 치켜 올려져 있어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주는 것 같아요.
이렇게 왕궁리유적지를 둘러보았습니다.흙길에 신발이 붉게 물들어가고 있어도 이 자리가 지금껏 알려지지 않은 백제의 역사가 숨쉬고 있는 곳이라 생각하면서 역사현장에 있다는 의미를 가져봤습니다. 그냥 막눈으로 보면 넓은 공터에 덩그러니 쓰러질 듯한 탑 하나 서 있나보다 싶다가도 1400년전 백제의 정신이 깃든 곳, 무왕의 포부가 담긴 곳이라 생각하면 흙, 돌하나에도 애정이 가는 거 같아요. 발굴작업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이곳의 정확한 용도등이 알려져서 소중한 우리의 유산, 나라의 정신,물질적 자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음 해요. 후대인의 우매함으로 역사의 일부를 잃어버리거나 모르고 산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일테니까요.어느분이 오층석탑이 백제의것이라고 확신하는 이유는 "아름답기 때문"이라고 하셨다나요... 그말이 이해가 되는 여행길이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5f7cc4e803774e2ff06cfac91569da4b.gif)
전시관 주요소장품다양한 형태의 금제품, 유리제품과 이를 생산하던 각종 도가니, 인장와, 명문와, 수막새, 전달린토기, 완,합, 등잔, 대형토기 등 왕궁리유적 출토유물 약 1,400여점 소장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ezday.co.kr%2Fcache%2Fboard%2F2009%2F11%2F18%2F0108eede48c77482d44aada27718bda4.jpg)
Tel. 063-859-4631, 4632, 4635 Fax. 063-859-4639570-943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궁성로 670(왕궁리 562)
주변관광지왕궁리유적, 제석사지, 미륵사지, 마한관(서동공원), 고도리석불입상, 무왕릉(익산쌍릉), 입점리고분전시관, 보석박물관 등
왕궁리유적전시관 http://wg.iksan.go.kr/home/
익산시 문화관광 http://www.iksan.go.kr/tour/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anndam/100093406829
** 화석전시관 블로그포스트
익산의 또다른 보석 화석, http://blog.naver.com/anndam/100093531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