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의 역사 에스컬레이터 설치공사 안내 펼침막. ⓒ소셜포커스
신설동역 등 3곳 사유지 침해 우려
승강장 자동안전발판 설치비 미반영
[소셜포커스 윤현민 기자] = 서울시가 장애인 교통안전 부실 지적(본지 1월 26일 보도)에 뒤늦게 대책을 내놨다. 2024년까지 전 역사에 승강기를 설치하는 게 골자다. 하지만, 일부는 사유지 침해로 공간확보가 불투명하다. 또, 승강장을 내딛는 첫 발인 자동 안전발판도 빠졌다. 일각에선 강경 시위대 눈치를 본 땜질처방이란 지적이다.
9일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오는 2024년까지 사업비 650억 원을 들여 서울 지하철 1∼8호선 275개 전 역사에 승강기를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275개 역 중 승강기가 없는 곳은 총 21곳이다. 이 중 지난 2020년부터 공사를 시작한 1호선 청량리역, 2호선 용답역, 3호선 교대역, 4호선 명동역, 5호선 마천역 등 5곳은 연내 완공된다. 나머지 16곳 중 10곳은 올해 설치공사를 시작한다.
총 사업비는 93억4천905만원이며, 내년 완공목표다. 구체적으론 ▲5호선 종로3가역(5억8천만원) ▲5호선 강동역(6억7천만원) ▲6호선 봉화산역(10억6천) ▲6호선 새절역(5억9천만원) ▲6호선 상월곡역(10억8천만원) ▲6호선 구산역(11억4천만원) ▲7호선 수락산역(11억9천만원) ▲7호선 청담역(11억5천만원) ▲7호선 광명사거리역(6억200만원) ▲7호선 남구로역(12억4천만원) 등이다.
반면, 6곳은 공간확보 등 문제로 설계검토 중이다. 특히, 2호선 신설동역과 6호선 대흥역은 사유지 저촉 문제로 설치가 불투명하다. 서울교통공사 토목처 관계자는 “일부 역은 사유지 저촉 문제로 설치 공간 확보가 어려워 그간 논의가 원활하지 못했다“며 ”엘리베이터 규격 또는 보도‧차도 경계 조정, 역사 내 기능실 재배치 등 공간 확보를 위한 다양한 설계 방안을 검토하겠다”라고 했다.
승강장 발 빠짐 사고의 주범인 자동안전발판 설치도 빠졌다. 당초 수립한 해당 시범사업비 3억5천만원이 전액 삭감됐다. 현재 승강장 자동안전발판 설치는 손에 꼽을 정도다. 3호선 경찰병원역과 9호선 한성벽제역 두 곳 뿐이다 이 와중에 지하철 승강장 발빠짐 사고는 끊이지 않는다. 2018년과 2019년 각각 104건과 96건을 기록했다. 그러다 2020년 들어 46건으로 절반 정도 줄었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영향이란 게 일반적 분석이다. 실제, 1~9호선의 연간 수송 인원을 봐도 알 수 있다. 2018년 17억5천169만 여명, 2019년 17억9천971만 여명에서 2020년 13억758만 여명으로 24% 감소했다. 지난해에도 13억1천846만 여명을 기록했다.
한편에선 여론 악화를 모면하기 위한 미봉책이란 지적이 있다. 휠체어 이용자 A씨는 “최근 기습적으로 지하철 시위를 벌이는 강경 시위대 눈치를 보며 적당히 구색 맞추기용으로 내놓은 땜질처방에 불과하다”며 “매번 전동열차에서 내리는 것부터가 절벽같아 아슬아슬한데 당장 급한 자동안전발판은 온데간데 없이 허울 좋은 승강기 설치로 생색만 낼 셈이냐”라고 꼬집었다. 또 다른 휠체어 이용자도 “겉으로는 장애인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겠다며 장미빛 전망만 잔뜩 늘어놓고 정작 장애인 당사자의 교통안전은 외면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에 서울교통공사 측은 재정 어려움부터 호소했다. 장애인 교통안전 부실을 취약한 재정구조 탓으로 돌린 셈이다. 앞선 공사 관계자는 “승강편의시설 설치에 가장 필요한 건 재정인데, 최근 무임승차 전액 부담, 수송원가보다 낮은 운임구조 등으로 재정난이 심화하고 있다”며 “정부 지원 요청 등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해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시민이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하고 이동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