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아함경 제20권
雜阿含經卷第二十
송 천축삼장 구나발타라 한역; 宋天竺三藏求那跋陁羅譯
☞ 부처님께서는 아라한과를 얻었다 하여도
37조도품 중 4념처를 닦아야 함을 말씀 하심
아라한비구경(阿羅漢比丘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 존자 아나율은 사위국 송림정사에 있었다.
그때 많은 비구들이 존자 아나율의 처소로 찾아가 존자 아나율과 서로 문안하고 위로한 뒤에 한쪽에 앉아 존자 아나율에게 물었다.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時,尊者阿那律在舍衛國松林精舍住。時,有衆多比丘詣尊者阿那律所,與尊者阿那律共相問訊慰勞已,於一面坐,語尊者阿那律言:
“모든 번뇌[漏]가 이미 다하고, 해야 할 일은 이미 마치고, 무거운 짐을 놓아 버리고 모든 존재[有]의 번뇌[結; <계박(繫縛)의 뜻으로 번뇌의 다른 이름이다. 중생이 번뇌로 인해 망상(妄想)과 미혹함을 일으켜 모든 악업을 지어 숱한 고통에 계박되는 까닭에 삼계(三界)를 떠돌며, 벗어나지 못하는 까닭에 결(結)이라 이름한 것임.>]를 떠나, 바른 지혜[正智]로 마음이 잘 해탈한 아라한 비구도 4념처(念處)를 닦아야 합니까?”“若阿羅漢比丘諸漏已盡,所作已作,捨離重擔,離諸有結,正智心善解脫,亦修四念處耶?”
존자 아나율이 비구들에게 말했다.尊者阿那律語比丘言:
“비구가 모든 번뇌가 이미 다하고, 해야 할 일은 이미 마치고, 무거운 짐을 놓아버리고 모든 존재의 번뇌를 떠나, 바른 지혜로 마음이 잘 해탈하였더라도, 그 역시 4념처(念處)를 닦아야 합니다. 若比丘諸漏已盡,所作已作,捨離重檐,離諸有結,正智心善解脫,彼亦修四念處也。
왜냐하면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증득하지 못한 것을 증득하여, 현세에서 즐겁게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저도 또한 모든 존재의 번뇌를 떠나 아라한(阿羅漢)이 되어, 해야 할 일을 이미 마치고 마음이 잘 해탈하였지만, 4념처를 닦음으로써 얻지 못한 것을 얻고, 미쳐 이르지 못한 것에 이르고 증득하지 못한 것을 증득하여, 현세에서 안락하게 살기 때문입니다.”“所以者何?不得者得,不證者證,爲現法樂住故。所以者何?我亦離諸有漏,得阿羅漢,所作已作,心善解脫,亦修四念處故。不得者得,不到者到,不證者證,乃至現法安樂住。
그때 여러 정사(正士;아라한)들은 서로 논의를 마치고 함께 기뻐하면서, 제각기 자리에서 일어나 떠나갔다.”時,諸正士共論議已,歡喜隨喜,各從座起而去。
4념처 사념처(四念處)는 불교의 37도품 수행법 중 한 그룹으로, 몸 · 느낌 · 마음 · 법을 관찰하는 네 가지 알아차림(sati, 사띠) 수행 또는 명상법을 말한다. 이 네 가지를 각각 신념처(身念處) · 수념처(受念處) · 심념처(心念處) · 법념처(法念處)라고 한다.
<신념처> 호흡의 출입에 대한 알아차림 몸의 상태에 대한 알아차림 몸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 몸을 구성하는 32가지 요소에 대한 알아차림 몸의 4대 요소에 대한 알아차림 죽은 시체에 대한 관찰 죽은 시체를 짐승들이 쪼아 먹는 모습에 대한 관찰 해골에 살과 피와 힘줄이 뒤엉켜 있는 모습에 대한 관찰 해골에 피와 힘줄이 뒤엉켜 있는 모습에 대한 관찰 해골에 힘줄만 남아 붙어 있는 모습에 대한 관찰 해골과 뼈가 흩어져 있는 모습에 대한 관찰 해골이 하얗게 바랜 모습에 대한 관찰 해골이 뼈 무더기로 변한 모습에 대한 관찰 뼈가 삭아 티끌로 변한 모습에 대한 관찰
<수념처> 즐거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괴로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속된 즐거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속되지 않은 즐거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속된 괴로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속되지 않은 괴로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속된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속되지 않은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심념처> 탐욕이 있음에 대한 알아차림 탐욕이 없음에 대한 알아차림 분노가 있음에 대한 알아차림 분노가 없음에 대한 알아차림 어리석음이 있음에 대한 알아차림 어리석음이 없음에 대한 알아차림 위축됨이 있음에 대한 알아차림 산란함이 있음에 대한 알아차림 넓은 마음이 있음에 대한 알아차림 넓은 마음이 없음에 대한 알아차림 우월한 마음이 있음에 대한 알아차림 우월한 마음이 없음에 대한 알아차림 고요한 마음이 있음에 대한 알아차림 고요한 마음이 없음에 대한 알아차림 해탈한 마음이 있음에 대한 알아차림 해탈한 마음이 없음에 대한 알아차림
<법념처> 다섯 장애[五蓋 5온]에 대한 알아차림 다섯 집착된 온[五取蘊 5취온]에 대한 알아차림 여섯 터전[六入處 6금 6경]에 대한 알아차림 일곱 깨달음 요소[七覺支]에 대한 알아차림 네 가지 거룩한 진리[四聖諦/고집멸도]의 법에 대한 알아차림 ++ <4념처>다음 해석 자료 인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