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죽헌(烏竹軒)
보물 제165호, 정식 보물 명칭은 '강릉 오죽헌(江陵烏竹軒)'이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죽헌동에 있는 조선중기의 목조 건물로, 단일 주거 건축으로 역사가 가장 오래되었다.
'오죽헌'이라는 명칭은 뒤뜰에 검은 대나무가 자란 것을 계기로 붙었다.
검은 대나무를 까마귀 오(烏) 자를 써서 오죽(烏竹)이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신사임당의 친정집으로 이곳에서 율곡 이이가 태어났다.
1975년에 오죽헌 정화 사업으로 율곡의 영정을 모신 문성사를 비롯해 자경문, 율곡기념관 등을 신축하고 강릉시립박물관과 통합되어 1998년에 개관하였다.
오죽헌 입구에서는 ‘세계 최초 모자 화폐인물 탄생지’라는 소개 문구로 장소를 소개하였다.
오죽헌은 본래 신사임당 생전에 건축된 것이 아니라, 그보다 약 백년 전인 15세기 중엽에 건축된 것이 상속되어 신사임당에 이르게 된 것이다.
오죽헌을 건축한 인물은 최치운이라는 강릉의 명사이며,
최치운에게서 그의 아들 최응현에게 상속되었고,
최응현에게서 그의 사위인 용인 이씨 이사온에게로 상속되었으며,
이사온에게서 평산 신씨 신명화에게 상속되었다.
이 신명화가 바로 신사임당의 아빠이자, 율곡 이이의 외할아버지다.
신명화는 사위인 권처균에게 물려주었고, 오죽헌의 택호는 권처균의 호 오죽헌에서 유래된 것이다.
신사임당의 외고조부인 최치운에게서 신사임당에게까지 내려온 고택이 바로 오죽헌인 것이다.
평면구조는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된 일자집이며 대청·온돌방·툇마루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이가 태어난 방은 몽룡실(夢龍室)이라고 한다.
커다란 장대석으로 쌓은 단층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워 기둥 윗몸을 창방으로 결구했으며, 기둥 위에 주두를 놓고 익공으로 처리한 이익공집이다.
앞면에는 띠살창호를, 옆면에는 골판문을 달았으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이 건물은 한국주택사에서 현존하는 유구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방과 대청으로만 구성된 별당만 남아 있고, 본채가 없어 조선 초기의 주택구조를 알 수 없는 것이 유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