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탁씨(光山卓氏) 시 조 : 탁지엽(卓之葉) 집성촌 : 전북 이리시 신동
탁씨(卓氏)의 본관(本貫)은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광산(光山)을 비롯하여 광주(廣州) · 남양(南陽) · 안산(安山) · 양근(陽根) · 가평(加平) · 용인(龍仁)등 32본까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모두가 광산 탁씨(光山卓氏)의 세거지명(世居地名)에 불과하고 현존(現存)하는 관향(貫鄕)은 광산(鑛山) 단본(單本)으로 알려저 있다.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始祖) 탁지엽(卓之葉)은 고려(高麗) 선종(宣宗) 때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한림학사(翰林學士)가 되고 뒤에 태사(太師)에 이르러 광산군(光山君)으로 봉해졌으며, 문성(文成)이란 시호(諡號)를 제수(除授)받았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본관(本貫)을 광산(光山)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면서 특히 고려조(高麗祖)에서 훌륭한 인물(人物)을 많이 배출시켰다. 역사상 대표적인 인물(人物)로는 시조(始祖) 지엽(之葉)의 맏아들 도민(道敏)이 선종(宣宗)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 경영과 잔서를 맡아본 보문각의 종2품 벼슬)을 재낸 후 좌정승(左政丞)에 이르렀으며, 둘째 도집(道集)은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역임하여 크게 가문을 중흥시켰다.한편 인종(仁宗)때 문과에 급제한 원광(元光)은 대제학(大提學) 도민(道敏)의 아들로 벼슬이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이르렀고 선종(宣宗)의 부마(駙馬)가 되어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으며, 그의 손자(孫子) 종성(宗成)이 신종조(神宗朝0에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역임하고 해양군(海陽君)에 추봉되어, 공민왕(恭愍王)때 좌간의 대부(左諫議大夫)를 거쳐 예의 판서(禮儀判書 : 예의사의 정3품으로 으뜸 벼슬)에 오른 광무(光茂 : 종성의 증손)와 함께 명성을 날렸다.조선조(朝鮮朝)에 와서는 태종(太宗)때 지신사(知申事) · 이조 참판(吏曹參判)등을 지내고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을 거쳐 의정부 참찬9議政府參贊)에 오른 신(愼)이 뛰어났으며, 한성부윤(漢城府尹) 성(誠)은 추밀원 의관(樞密院議官)을 지낸 후손 재윤(在潤)과 함께 가문을 빛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