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남전 직후 내수중심의 농업국이었던
당시 베트남 총 인구수는 4천만명 정도 였음.
1950년 약 2800만명
1970년 약 4340만명
1990년 약 6800만명
2010년 약 8800만명
2021년 약 9851만명 (출산율은 1.0을 현재까지 유지중)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활로를 모색하던
일본의 대외투자국 대상이었던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에 비해
비교적 늦게 투자대상이 됨
1997년 아시아를 흔든 태국 외환위기(바트화 폭락사태,우리나라 imf에 영향을 줌)와
리먼사태의 여파를 맞으며 베트남 내부 금융시장과 경제구조에서
구조 조정이 이루어짐
주기적인 아시아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아시아 각 나라별 금융에 대한
불안정성 속에서도 구조조정을 통해 어느정도 복원력을 가지는 국가로
평가를 받기 시작함
일본의 플라자 합의 이후 동남아 진출을 통해 베트남이
투자를 받고 성장한 30년간의 시기를 ;도어머이'시대라 부름
첨부화일
kdi-도어머이이후베트남의사회경제적변화
일본은 동남아 투자를 통한 엔화의 국제기축통화를 꿈꿨으나
아시아 국가들의 투자금을 둘러싼 부정부패 문제와
기축통화패권에 대한 경계와 제재를 받아 이를 수정한
동남아 진출의 새로운 전략(新미야자와 구상)이 나왔음
첨부화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일본의동남아진출전략과 新마야자와 구상
첨부된 두 자료를 통해 베트남 진출을 생각하는 분들께서는
베트남의 경제발전사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추가로 아래링크는 코트라 자료로 2019년 베트남 부동산 시장 전망이 들어있습니다.
코로나 전 2017년 경 쯤 해서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베트남 부동산 시장에 이미 본격적으로
진출했고 향후 원화상승으로 해외부동산 구매붐이 우리나라에 일어날때쯤 떠넘기고
손털고 나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00&CONTENTS_NO=1&bbsGbn=322&bbsSn=322&pNttSn=173812
아래는 아세안 데일리 뉴스기사로 2024년 베트남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기사 원문입니다
https://www.asean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5534
일본의 동남아 진출을 위한 新미야자와 구상 자료를 통해
요란하지만 역효과를 맞은 중국과 달리 조용하게 실익을 챙기는 일본의
동남아 정책내용이 우리에게도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p.s: 추가 에피소드(웃자고 하는 이야기입니다)
외환위기를 맞은 태국은 2000년도 초, 중국과 미안마에 대비한 군비경쟁에 돌입했는데요
1997년 바트화 폭락사태를 맞아 자금여력이 없던 태국은
8000만 마리의 통닭으로 스웨덴 최신 전투기 6대와 맞바꾸는 바터무역을 성사시킵니다.
이후 스웨덴 군대는 삼시세끼 통닭만 주구장창 먹었다는 후문.....
(아침 통닭, 점심 통닭, 저녁 통닭...언제까지? 통닭 다떨어질때까지)
통닭에 질린 스웨덴 병사들에게 스웨덴 국방부가 추가로 조기경보기를
통닭과 맞바꿀 계획에 있다는 말에 좌절합니다
그런 병사들을 향해 스웨덴 국방부가 한말이....
스페인은.....태국한테......항공모함을......운영할 해리어 전투기 4대를 포함해서.....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