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오륜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
三綱五倫은 儒敎의 도덕 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綱領과 5가지의 人倫으로 원래 중국 前漢 때의 巨儒 동중서(董仲舒)가 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되어 중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 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이다.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삼강오륜을 논하는 것이냐며 ‘시대착오적인 생각을 늘어 놓느냐-’ 라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한편 삼강오륜을 알고는 있지만 그것이 이 시대에 꼭 필요하냐고 반문하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또 한편 “그런 필자는 그거 다 지켜가면서 사느냐”며 말만 뻔지르 르한 위선자 취급을 받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 사회가 얼마나 각박하고 험해졌습니까? 차마 입에 담지 못할 사건들이 하루가 멀다 하고 발생해 삼강오륜의 의미를 무색케 할 정도입니다.
물론 이에 못지 않게 미덕을 베풀며 삼강오륜 그 이상으로 사람 사이 의 도리를 지켜가며 사는 사람들도 많겠지요.
우선 그렇지 못한 부분을 살펴본다는 얘깁니다. 그렇다고 필자가 부정적이고 사회적 병폐만 들춰내 이 글의 논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람들이 삼강오륜을 몰라서 반인륜적인 범행을 저지르겠습니까? '도덕이, 예절범절이 땅에 떨어진 빌어먹을 세상'이라고 한탄하며 반인륜적인 것들을 그냥 인정하시겠습니까?
그것은 절대로 아닐 것입니다. “이건 아닌데…”라고 생각되는 행동을 취하기 전에 다시 한번 생각해 보자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삼강오륜을 “머릿 속에 외우고 다니며 이를 실천하자”는 것도 아닙니다.
결코 도덕 교과서처럼 살아가자는 것이 아닙니다. 예로부터 그러한 덕목이 강조되어 왔고 왜 그것이 중요하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왜 필요한지를 한번 쯤 생각해 보자는 것입니다.
父爲子綱(부위자강) -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근본이고. 君爲臣綱(군위신강) -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근본이고. 夫爲婦綱(부위부강) -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근본이다.
君臣有義(군신유의) - 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하고. 父子有親(부자유친) -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며. 夫婦有別(부부유별) -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長幼有序(장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는 차례가 있어야 하고. 朋友有信(붕우유신) -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