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경기서도회 원문보기 글쓴이: 국화
참죽나무 춘(櫄)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연기 낄 훈(熏)자를 했습니다. 연기 낄 훈(熏)자는 일천 천(千)자 아래에 검을 흑(黑)자를 했습니다. 일천 천(千)자는 연기처럼 김이 오르는 기체를 표시한 글자이고, 검을 흑(黑)자는 검은 색인 연기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춘(櫄)자와 연기 낄 훈(熏)자는 통운(通韻)입니다.
+
= 櫄
느릅나무 제(櫅)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가지런할 제(齊)자를 했습니다. 가지런할 제(齊)자는 꽃이 가지런하게 피어 있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櫅
북두칠성 괴(櫆)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으뜸 괴(魁)자를 했습니다. 으뜸 괴(魁)자는 의부(義符)로 말 두(斗)자에 성부(聲符)로 귀신 귀(鬼)자를 했습니다. 클 괴(傀), 홰나무 괴(槐), 흙덩이 괴(塊), 부끄러울 괴(愧), 창피 줄 괴(媿)자들은 귀신 귀(鬼)자가 들어 있어서 ‘괴’로 읽습니다.
+
= 櫆
과일 이름 파(櫇)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자못 파(頗)자를 했습니다. 자못 파(頗)자는 의부(義符)로 머리 혈(頁)자에 성부(聲符)로 가죽 피(皮)자를 했습니다. 가죽 피(皮)자는 손을 나타내는 또 우(又)자를 해서 손으로 잡아 벗기면 벗겨지는 살가죽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물결 파(波), 깨뜨릴 파(破), 고개 파(坡)자들은 가죽 피(皮)자가 들어 있어서 ‘파’로 읽습니다.
+
= 櫇
탁자 등(櫈)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걸상 등(凳)자를 했습니다. 걸상 등(凳)자는 성부(聲符)로 오를 등(登)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안석 궤(几)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안석 궤(几)자는 안석을 표시하는 글자가 아니라, 걸상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 櫈
櫈
부엌 주(櫉)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부엌 주(廚)자를 했습니다. 부엌 주(㕑)자는 의부(義符)로 기슭 엄(厂)자나 집 엄(广)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세울 주(尌)자를 했습니다. 세울 주(尌)자는 의부(義符)로 마디 촌(寸)자에 성부(聲符)로 악기 이름 주(壴)자를 했습니다. 악기 이름 주(壴)자는 북 같이 받쳐놓고 연주하는 악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櫉
나무 이름 각(櫊)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문설주 각(閣)자를 했습니다. 문설주 각(閣)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에 성부(聲符)로 각각 각(各)자를 했습니다. 각각 각(各)자는 발을 표시한 뒤져서 올 치(夂)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사람마다 가는 곳이나 행동과 말은 각각 다 다르다는 뜻입니다.
+
= 櫊
대추 복(㯷)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종 복(僕)자를 했습니다. 종 복(僕)자는 사람 인(人,亻)자 변에 번거로울 복(菐)자를 했습니다. 종은 번거로운 일을 하는 사람이라는 뜻이지요.
㯷
僕
바리 진(㯸)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다될 진(盡)자를 했습니다. 다할 진(盡)자는 다될 진(盡)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다될 진(盡)자는 글씨를 쓰려고 갈아놓은 먹물을 붓으로 다 찍어서 써서 먹물이 말라서 다 된 것을 나타냈습니다. 전서를 보면, 추수를 다 한 모양을 그렸습니다. 다될 진(盡)자는 먹을 갈아서 다 써서 다 되었다는 뜻을 나타내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다할 진(尽jìn)자는 다할 진(盡)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㯸
표할 표(㯹)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와 마디 촌(寸)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불똥 튈 표(票)자를 했습니다.
+
+
= 㯹
굳은 땅 함(㯺)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볼 감(監)자를 했습니다. 볼 감(監)자는 눈을 뜻하는 신하 신(臣)자 옆에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하고 그릇 명(皿)자는 했습니다. 제사상을 살피는 모양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또는 세수 대야에 물을 담아 놓고 세수하려다가 물에 비친 얼굴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다분히 나르시스(自己愛)적인 글자입니다. 함거 함(轞), 석비레 함(壏), 범벅 함(糮), 싸움배 함(舰jiàn,艦), 우리 함(槛jiàn,檻)자들은 볼 감(監)자가 들어 있어서 ‘함’으로 읽습니다.
+
= 㯺
묶을 본(㯻)자는 자루 탁(槖), 전대 탁(橐), 자루가 불룩한 모양 표(㯱)자와 비슷한 글자를 했습니다. 자루 탁(槖)자와 전대 탁(橐)자에는 돌 석(石)자가 있는데, 자루가 불룩한 모양 표(㯱)자에는 장군 부(缶)자가 있습니다. 자루 탁(槖), 전대 탁(橐)자에는 돌 석(石)자는 성부(聲符)로 ‘탁’으로 읽는다는 표시이고, 자루가 불룩한 모양 표(㯱)자에서 장군 부(缶)자는 자루가 질그릇인 장군처럼 불룩하다는 표시입니다. 묶을 본(㯻)자에는 돼지 시(豕)자를 했는데, 이는 돼지를 잡아 묶었다는 표시입니다.
㯻
빈랑나무 빈(㯽)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손 빈(賓)자를 했습니다. 손 빈(賓,賔)자는 집에 찾아온 사람입니다. 집에 찾아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집 면(宀)자 아래에 걸음 보(步)자를 했습니다. 조개 패(貝)자를 한 것은 손님이 집에 찾아 올 때에는 선물(膳物)을 들고 찾아옵니다. 그 예물(禮物)을 조개 패(貝)자로 나타냈습니다. 손 빈(賓,賔)자 가운데 있는 글자는 소리 성(声)자에도 들어 있고, 눈썹 미(眉)자에도 들어 있습니다. 소리 성(声)자에서는 악기를 그린 글자로 보이고, 눈썹 미(眉)자에서는 눈썹을 그린 글자로 보입니다. 손 빈(賔)자에서 걸음 보(步)자의 모사(模寫)로 보면 좋을 듯싶습니다.
+
= 㯽
차양 면(櫋)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보이지 않을 면(臱)자를 했습니다. 보이지 않을 면(臱)자는 스스로 자(自)자 아래에 구멍 혈(穴)자를 하고 모 방(方)자를 했습니다. 무엇을 표시한 글자일까요? 한번 잘 생각해 보세요.
櫋
臱
곰방메 우(櫌)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근심할 우(憂)자를 했습니다. 근심할 우(憂)자는 머리 혈(頁)자 아래에 덮을 멱(冖)자를 하고 마음 심(心)자를 하고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근심이 생기면 마음 심(心)자도 관련이 생기고, 이리저리 좌불안석(坐不安席), 서성이게 되니까, 천천히 걸을 쇠(夊)자도 필요합니다. 모두 근심스러움에 대한 표시입니다. 곰방메는 논밭의 흙덩이를 깨뜨리거나 씨를 묻는 데 쓰는 농기구를 말합니다.
櫌
모탕 질(櫍)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바탕 질(質)자를 했습니다. 바탕 질(質)자는 도끼 근(斤)자 두 개 아래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사회생활을 하는데 바탕이 되는 것이 두 개의 도끼(斤)와 조개(貝)입니다. 도끼는 무기이며 생활에 필요한 연모이고, 조개는 재물입니다.
櫍
장막 황(櫎)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넓을 광(廣)자를 했습니다. 넓을 광(廣)자는 의부(義符)로 집 엄(广)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누를 황(黃)자를 했습니다. 위엄스러울 광(僙), 채울 광(撗), 쇳돌 광(磺)자들은 누를 황(黃)자가 들어 있어서 ‘광’으로 읽습니다.
櫎
고욤나무 천(櫏)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옮길 천(遷)자를 했습니다. 옮길 천(遷)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辶)자에 오를 선(䙴)자를 했습니다. 오를 선(䙴)자는 제사상에 오른다는 표시입니다. 오를 선(䙴)자의 옛글자를 보면 손을 네 개나 그렸습니다.
+
= 櫏
덩굴 풀 루(櫐)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밭 갈피 뢰(畾)자를 했습니다. 밭 갈피 뢰(畾)자는 밭 전(田)자를 세 개를 하여 밭과 밭 사이의 땅을 표시했습니다. 진 루(壘), 날다람쥐 루(鼺), 맬 루(纍)자들은 밭 갈피 뢰(畾)자가 들어 있어서 ‘루’로 읽습니다.
櫐
바위 뢰(櫑)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밭 갈피 뢰(畾)자를 했습니다. 밭 갈피는 밭과 밭 사이를 이르는 말입니다. 밭 갈피 뢰(畾)자는 밭 전(田)자를 세 개 해서 밭과 밭 사이를 나타냈습니다. 여기서 바위라고 하는 것은 밭 가운데 나무처럼 경작에 방해가 되는 것을 뜻합니다.
+
= 櫑
초목이 움직이는 소리 찰(櫒)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거북 채(蔡)자를 했습니다. 살필 찰(察)자는 제사 제(祭)자가 들어 있어서 ‘찰’로 읽습니다. 거북 채(蔡)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제사 제(祭)자를 했습니다. 고운 옷 채(縩), 앓을 채(瘵)자는 제사 제(祭)자가 들어 있어서 ‘채’로 읽습니다. 거북 채(蔡)자는 점을 칠 수 있게 큰 거북을 잡으면 거북 등 껍질을 잘 손질을 하여 사당을 짓고 잘 모셔 두었다가 나라에 큰 일이 생기면 그 거북 등껍질을 내다놓고 불로 구워 거북 등껍질이 갈라지는 금을 보고 치는 점을 거북점이라고 합니다. 거북 채(蔡)자는 그 점을 표시하는 글자입니다.
+
= 櫒
방패 로(櫓)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노둔할 로(魯)자를 했습니다. 노둔할 로(魯)자는 물고기를 그린 그림인 상형(象形) 글자, 고기 어(魚)자 아래에 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 날 일(日)자를 했습니다. 노둔할 로(魯)자는 물고기가 머리도 작지만 좀 미련하고 멍청한 동물입니다.
櫓
나무 이름 례(櫔)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갈 려(厲)자를 했습니다. 갈 려(厲)자는 괴로울 려(厲)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괴로울 려(厲)자는 집을 뜻하는 기슭 엄(厂)자 안에 무서운 곤충인 전갈을 그린 일만 만(萬)자를 했습니다. 먼저 지난 회(回)에서 일만 만(萬)자를 설명하면서 주술사가 거북 점괘를 읽을 때 거북 등껍질에 갈라진 그 금을 표시했다고 설명하기도 했고, 바닷가에 수많은 게를 표시했다고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니 무서운 곤충 전갈을 그렸다고 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일 만(萬)이라는 숫자는 참으로 엄청난 수입니다. 아주 무서운 숫자입니다. 무엇이나 다 이길 수 있는 무서운 숫자입니다. 그래서 전갈을 그려서 표시했던 숫자가 일만 만(萬)자입니다. 괴로울 려(厲)자는 그 사납고 무서운 곤충 전갈을 잡아다가 집에 두었으니 얼마나 괴롭고 무섭겠습니까? 또 문둥병이 얼마나 무서운 병이었습니까? 사나울 려(厲)자는 문둥병 려(厲)자도 됩니다. 갈 려(厉lì)자는 갈 려(厲)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등 흰 소 례(犡), 징검다리 건너갈 례(濿)자는 갈 려(厲)자가 들어 있어서 ‘례’로 읽습니다.
+
= 櫔
종가시나무 저(櫧)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모든 제(諸)자를 했습니다. 모든 제(諸)자는 말씀 언(言)자 변에 놈 자(者)자를 해서, 놈(者)이면 누구나 다 말을 한다는 사실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쌓을 저(儲), 두꺼비 저(蠩), 물 이름 저(㶆)자들은 모든 제(諸)자가 들어 있어서 ‘저’로 읽습니다. 종가시나무는 너도밤나무과의 활엽 교목입니다.
+
= 櫧
두공 로(櫨)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밥그릇 로(盧)자를 했습니다. 밥그릇 로(盧)자는 성부(聲符)로 호피무늬 호(虍)자에 의부(義符)로 밭 전(田)자 아래에 그릇 명(皿)자를 했습니다. 밥그릇에 밥을 담아 놓은 모양입니다. 포로 로(虜)자도 호피무늬 호(虍)자가 들어 있어서 ‘로’로 읽습니다.
櫨
+
= 櫨
처마 염(櫩)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마을의 문 염(閻)자를 했습니다. 마을의 문 염(閻)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구덩이 함(臽)자를 했습니다. 구덩이 함(臽)자는 절구 구(臼)자 위에 쌀 포(勹)자를 해서 사람이 구덩이에 빠지는 모양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불 댕길 염(焰), 불 댕길 염(燄)자는 구덩이 함(臽)자가 들어 있어서 ‘염’으로 읽습니다.
+
= 櫩
말구유 력(櫪)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지낼 력(歷)자를 했습니다. 지낼 력(歷)자는 성부(聲符)로 다스릴 력(厤)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발을 그린 발 지(止)자를 했습니다. 세월이 지나간다는 뜻으로 발 지(止)자를 했습니다.
櫪
+
= 櫪
널 츤(櫬)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친할 친(親)자를 했습니다. 속옷 츤(儭)자도 친할 친(親)자가 들어 있어서 ‘츤’으로 읽습니다. 친할 친(親)자는 멀리 볼 수 있도록 나무 위에 올라가 서서 집으로 돌아오는 아버지를 기다리는 글자입니다. 널은 시체를 넣어서 묻는 나무 상자를 뜻합니다.
櫬
+
= 櫬
꽃 활짝 필 악(櫮)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놀랄 악(噩)자를 했습니다. 놀랄 악(噩)자는 임금 왕(王)자 혹은 개 견(犬)자로 칸을 나누고 사이사이마다 입 구(口)자를 해서 놀라워서 입을 쩍 벌린 모양을 형상화(形象化)했습니다.
+
+
+
혹은
+
+
= 櫮
단목 소(櫯)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긁어모을 소(穌)자를 했습니다. 긁어모을 소(穌)자는 고기 어(魚)자에 벼 화(禾)자를 해서 모두 식량이 되는 것들입니다. 먹고 살려면 긁어모을만한 것들이지요.
+
+
= 櫯
홰나무 회(櫰)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품을 회(褱)자를 했습니다. 품을 회(褱)자는 품을 회(懷)자의 고자(古字)입니다. 품을 회(褱)자는 옷 의(衣)자를 상하(上下)로 나누고 그 사이에 눈으로 뒤따를 답(眔)자를 했습니다. 옷 속에 품었다는 쯧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櫰
그루터기 얼(櫱)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허물 설(辥)자를 했습니다. 허물 설(辥)자는 왼손 좌(屮)자 아래에 스스로 자(自)자를 하고 옆에 매울 신(辛)자를 했습니다. 잘못한 허물이 있어서 벌로 문신을 하는 스토리를 간직하고 있는 글자입니다. 서자 얼(孼), 누룩 얼(糵)자들은 허물 설(辥)자가 들어 있어서 ‘얼’로 읽습니다.
櫱
여장나무 여(櫲)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미리 예(豫)자를 했습니다. 미리 예(豫)자는 성부(聲符)로 나 여(予)자 변에 의부(義符)로 코끼리 상(象)자를 했습니다. 미리 예(預)자도 나 여(予)자가 들어 있어서 ‘예’로 읽습니다.
+
= 櫲
우리 롱(櫳,㰍)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용 룡(龍)자를 했습니다. 용 룡(龍)자는 상상의 짐승인 용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대그릇 롱(籠), 비 올 롱(瀧), 흐릿할 롱(朧)자들은 용 룡(龍)자가 들어 있어서 ‘롱’으로 읽습니다.
櫳
㰍
위태로울 뢰(櫴)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힘입을 뢰(賴)자를 했습니다. 힘입을 뢰(賴)자는 묶을 속(束)자 변에 질 부(負)자를 했습니다. 묶을 속(束)자는 나무를 묶은 표시를 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질 부(負)자는 조개 패(貝)자 위에 사람 인(人)자를 했습니다. 재물인 조개를 짊어진 사람을 표시했습니다. 질 부(負)자는 재물을 짊어지게 되어 힘을 얻게 되었다는 글자입니다.
+
= 櫴
나무 이름 초(櫵)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파초 초(蕉)자를 했습니다. 파초 초(蕉)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그을릴 초(焦)자를 했습니다. 그을 릴 초(焦)자는 새 추(隹)자 아래에 불 화(火,灬)자를 해서 새를 불에 굽는 모양을 했습니다. 그을릴 초(焦)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櫵
나무 이름 헌(櫶)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법 헌(憲)자를 했습니다. 법 헌(憲)자는 집을 표시하는 집 면(宀)자 아래에 예쁠 봉(丰)자를 하고, 그물 망(罒)자를 하고, 마음 심(心)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집 면(宀)자는 법은 어느 지역적인 법위 안에서 지키는 것이라는 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미국에는 미국의 법이 있고, 중국에는 중국의 법이 있습니다. 예쁠 봉(丰)자는 법이란 아름다운 것이라는 뜻이며, 그물 망(罒)자는 그물이 아니라, 눈 목(目)자의 변형으로 지켜본다는 뜻이 있습니다. 지켜본다는 말은 만인에게 평등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마음 심(心)자는 마음이 법의 기준이 된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법 헌(憲)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櫶
개암나무 진(㰉)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이를 진(臻)자를 했습니다. 이를 진(臻)자는 의부(義符)로 이를 지(至)자에 성부(聲符)로 벼 이름 진(秦)자를 했습니다. 벼 이름 진(秦)자는 벼의 이름이니까, 벼 화(禾)자에 손을 두 개 그린 글자를 해서 녹봉을 받는 표시를 하려고, ‘벼 이름 진(秦)자에서 벼 화(禾)자를 뺀(𡗗)’ 글자를 했습니다. 벼 이름 진(秦)자는 벼슬 이름 진(秦)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벼슬 이름 진(秦)자는 손을 두 개 그려서 가진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인 ‘벼 이름 진(秦)자에서 벼 화(禾)자를 뺀(𡗗)’ 글자 아래에 벼 화(禾)자를 해서 녹봉으로 쌀을 받는 것을 표시했습니다.
+
= 㰉
개암나무 진자입니다.
나무 이름 섬(㰊)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데칠 섬(燅)자를 했습니다. 데칠 섬(燅)자는 의부(義符)로 언덕 륙(坴자에 성부(聲符)로 불탈 염(炎)자를 했습니다. 날카로울 섬(剡), 펼 섬(掞), 번갯빛 섬(晱), 언뜻 볼 섬(睒), 언뜻 볼 섬(覢)자들은 불탈 염(炎)자가 들어 있어서 ‘섬’으로 읽습니다.
+
+
= 㰊
빈랑나무 빈(㰋)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자주 빈(頻)자를 했습니다. 자주 빈(頻)자는 걸음 보(步)자에 머리 혈(頁)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자주 사용하는 동작이지요. 우선 걸어야 하고 또 머리를 움직여야 합니다. 자주 빈(頻)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㰋
탱자나무 각(㰌)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빠를 곽(霍)자를 했습니다. 빠를 곽(霍)자는 비 우(雨)자 아래에 새 추(隹)자를 해서 비가 오는 중에 새가 발리 날아 집으로 들어가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빠를 곽(霍)자가 들어가서 ‘각’으로 읽는 글자의 예는 없지만 빠를 곽(霍)자와 탱자나무 각(㰌)자는 통운(通韻)입니다.
+
+
= 㰌
땅 이름 추(㰎)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고을 이름 수(嶲)자를 했습니다. 고을 이름 수(嶲)자에는 새 추(隹)자가 들어 있습니다. 이 새 추(隹)자가 성부(聲符)래서 ‘추’로 읽습니다. 고을 이름 수(嶲)자는 그 고을이 산지라는 뜻으로 산 산(山)자를 하고 새도 잡아다 기른다는 뜻으로 영특할 준(雋)자를 했습니다. 붉은 옥 경(㼇)자에 고을 이름 수(嶲)자가 들어 있는 것을 보면 그 고을에서 붉은 옥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 㰎
상앗대 고(㰏)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상앗대 고(篙)자를 했습니다. 긴 대나무로 상앗대를 했었던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㰏
좁고 긴 모양 그릇 타(㰐)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제사 고기 나머지 타(隋)자를 했습니다. 제사 고기 나머지 타(隋)자는 수나라 수(隋)자로도 읽습니다. 따를 수(隨)자는 의부(義符)로 언덕 부(阜,阝)자 변에 성부(聲符)로 따를 수(遀)자를 했습니다. 따를 수(隨)자에서도 제사 고기 나머지 타(隋)자는 들어 있습니다. 떨어질 타(墮), 길쭉할 타(楕), 게으를 타(惰), 떨어질 타(墯), 게으를 타(媠), 산 높을 타(嶞)자들에는 왼 좌(左)자 아래에 육달 월(月,肉)을 한 글자가 들어 있습니다. 길쭉할 타(橢)자와 대비해보면 결국 서로 같은 글자임을 알 수 있습니다.
+
= 㰐
隋
나무 열매 삼(㰑)자는 나무의 열매는 나무에 달린 것이니까, 나무 목(木)자에 열매가 달린 모습을 마음 심(心)자로 표시해서 꽃술 예(橤)자를 했습니다. 꽃술 예(橤)자는 나무 목(木)자 위에 마음 심(心)자를 세 개 해서 꽃이 핀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나무 열매 삼(㰑)자에서는 마음 심(心)자를 세 개 해서 열매가 달린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
+
= 㰑
나무 이름 람(㰓)자는 감람나무 람(㰖)자의 다른 글자입니다. 나무 이름 람(㰓)자에서 볼 감(監)자 아래에 조개 패(貝)자를 한 글자는 볼 람(覽)자에서 볼 견(見)자를 한 글자의 모사(模寫)입니다. 감람나무 람(㰖)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볼 람(覽)자를 했습니다. 볼 람(覧,覽)자는 의부(義符)로 볼 견(見)자에 성부(聲符)로 볼 감(監)자를 했습니다. 볼 감(監)자는 눈을 뜻하는 신하 신(臣)자 옆에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하고 그릇 명(皿)자는 했습니다. 제사상을 살피는 모양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또는 세수 대야에 물을 담아 놓고 세수하려다가 물에 비친 얼굴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다분히 나르시스(自己愛)적인 글자입니다. 퍼질 람(濫), 쪽 람(藍), 누더기 람(襤), 바구니 람(籃), 먹을 람(嚂)자들은 볼 감(監)자가 들어 있어서 ‘람’으로 읽습니다.
+
+
= 㰓
감람나무 람(㰖)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볼 람(覽)자를 했습니다. 볼 람(覧,覽)자는 의부(義符)로 볼 견(見)자에 성부(聲符)로 볼 감(監)자를 했습니다. 볼 감(監)자는 눈을 뜻하는 신하 신(臣)자 옆에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하고 그릇 명(皿)자는 했습니다. 제사상을 살피는 모양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또는 세수 대야에 물을 담아 놓고 세수하려다가 물에 비친 얼굴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다분히 나르시스(自己愛)적인 글자입니다. 퍼질 람(濫), 쪽 람(藍), 누더기 람(襤), 바구니 람(籃), 먹을 람(嚂)자들은 볼 감(監)자가 들어 있어서 ‘람’으로 읽습니다.
+
= 㰓
느티나무 거(櫸,欅)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들 거(擧)자를 했습니다. 들 거(擧)자는 손을 다섯 개나 그려서 물건을 여럿이 드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
= 欅
나무 밋밋할 소(櫹)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맑은 대 쑥 소(蕭)자를 했습니다. 맑은 대 쑥 소(蕭)자는 바람소리 소(蕭)자로도 읽습니다. 아래 정철(鄭澈)의 시(詩)는 맑은 대 쑥 소(蕭)자를 바람소리 소(蕭)자로 읽는 예입니다.
+
= 櫹
蕭蕭落木聲 우수수 나뭇잎 지는 소리를
錯認爲疎雨 빗소리로 잘못 알고
呼僧出門看 중을 불러 나가 보게 했더니
月掛溪南樹 시내 건너 나무에 달이 걸렸다네.
맑은 대 쑥 소(蕭)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엄숙할 숙(肅)자를 했습니다. 퉁소 소(簫), 휘파람 불 소(嘯), 불 탈 소(熽)자들은 엄숙할 숙(肅)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격자창 령(櫺)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비올 령(霝)자를 했습니다. 비올 령(霝)자는 비가 내리는 모양을 그린 비 우(雨)자 아래에 물방울을 그려서 입 구(口)자 세 개로 표시했습니다. 신령 령(靈), 감초 령(蘦)자들은 비올 령(霝)자가 들어 있어서 ‘령’으로 읽습니다.
櫺
격자창
앵두나무 앵(櫻)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갓난아이 영(嬰)자를 했습니다. 갓난아이 영(嬰)자는 조개 패(貝)자를 두 개 한 아래에 여자 여(女)자를 해서 여자(女)의 커다란 재산(貝)임을 표시했습니다. 앵무새 앵(鸚), 새소리 앵(嚶)자들은 갓난아이 영(嬰)자가 들어 있어서 ‘앵’으로 읽습니다. 또 술 단지 앵(甖), 양병 앵(罌)자들은 목걸이 영(賏)자가 들어가도 ‘앵’으로 읽습니다.
櫻
쐐기 첨(櫼)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산 부추 섬(韱)자를 했습니다. 산 부추 섬(韱)자는 부추 구(韭)자에 창 과(戈)자를 해서 부추를 칼로 베어내어 먹으면 또 자란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제비 첨(籤), 표지 첨(㡨), 적실 첨(瀸)자들은 산 부추 섬(韱)자가 들어 있어서 ‘첨’으로 읽습니다. 쐐기는 틈이 있는 사이에 끼워서 틈을 없애는 나무나 쇠붙이를 뜻합니다.
櫼
바로잡을 은(櫽)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숨길 은(隱)자를 했습니다. 숨길 은(隐,隠,隱)자는 의부(義符)로 언덕 부(阜,阝)자에 성부(聲符)로 삼갈 은(㥯)자를 했습니다. 삼갈 은(㥯)자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장인 공(工)자를 하고 고슴도치 머리 계(彐)자를 하고, 마음 심(心)자를 했습니다. 삼갈 은(㥯) 무엇을 만들 때에는(工) 손(爪,彐)을 조심해야 한다는 글자입니다. 조심할 때의 마음(心)이 삼갈 은(㥯)자입니다. 숨길 은(隐,)자와 숨길 은(隠)자는 숨길 은(隱)자의 모사(模寫)입니다.
+
= 櫽
유자나무 유(櫾)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일할 요(繇)자를 했습니다. 일할 요(繇)자는 성부(聲符)로 질그릇 요(䍃)자 옆에 의부(義符)로 이을 계(系)자를 했습니다.
櫾
나무 이름 영(櫿)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경영할 영(營)자를 했습니다. 경영할 영(營)자는 의부(義符)로 음률 려(呂)자에 성부(聲符)로 ‘𤇾’자를 했습니다. 꽃 영(榮), 밝을 영(瑩), 무덤 영(塋), 재앙 막는 제사 영(禜)자들은 ‘𤇾’자가 들어 있어서 ‘영’으로 읽습니다. 경영할 영(営yíng)자는 경영할 영(營)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櫿
굴거리 나무 양(欀)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도울 양(襄)자를 했습니다. 도울 양(襄)자는 품을 회(褱)자처럼 옷 의(衣)자를 상하(上下)로 나누고 그 사이에 입 구(口)자 두 개와 물건을 표시하는 글자를 썼습니다.
+
= 欀
농사 농(欁)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농사 농(農)자를 했습니다. 농사는 식물을 기르고 관리하는 일입니다. 나무 목(木)자를 두 개 한 것은 식물을 대표하는 것이 나무이기 때문입니다.
+
+
= 欁
두공 박(欂)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엷을 박(薄)자를 했습니다. 엷을 박(薄)자는 물 수(水氵)자 변에 양하 박(蒪)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물 수(水氵)자는 물에 비친 그림자를 나타낸 글자입니다. 양하 박(蒪)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펼 부(尃)자를 했습니다. 클 보(甫)자는 보따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는 클 보(甫)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보따리를 푸는 모양을 나타냈고,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싸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와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풀고 싸는 글자들입니다. 넓을 박(博), 잡을 박(搏), 묶을 박(縛), 불에 말릴 박(煿), 박공 박(牔), 짐승 이름 박(猼), 박초 박(䗚), 종 박(鎛)자들은 펼 부(尃)자가 들어 있어서 ‘박’으로 읽습니다. 양하(蘘荷_는 생강과에 딸린 숙근초(宿根草)입니다. 파초(芭蕉) 박(蒪)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
= 欂
살별 참(欃)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토끼 참(毚)자를 했습니다. 토끼 참(毚)자는 토끼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토끼 토(兎)자와 토끼 참(毚)자의 차이는 토끼 참(毚)자가 토끼 토(兎)자의 토끼보다 더 약빠르고 큰 토끼입니다.
+
= 欃
난간 란(欄)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가로막을 란(闌)자를 했습니다. 가로막을 란(闌)자는 문 문(門)자 아래에 가릴 간(柬)자를 했습니다. 가릴 간(柬)자는 나무를 묶어 가려놓은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欄
장롱 장(欌)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감출 장(藏)자를 했습니다. 감출 장(藏)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착할 장(臧)자를 했습니다. 착할 장(臧)자는 널빤지 장(爿)자에 창 과(戈)자를 하고 신하 신(臣)자를 했습니다. 널빤지와 창은 무기와 방패입니다. 승리할 만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신하 신(臣)자를 해서 공격하지 못하고 눈치를 살피는 모양을 했습니다. 착할 장(臧)자의 뜻은 힘은 갖추어 있지만 함부로 공격하지 못한다는 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欌
삿자리 첩(㰔)자는 삿자리는 대나무로도 만들고 갈대로도 만드니까, 나무 목(木)자에 삿자리는 깔고 자거나 깔고 생활하는 자리이기에, 불꽃 섭(燮)자를 했습니다. 불꽃 섭(爕)자는 불꽃 섭(燮)자의 속자(俗字)입니다. 불꽃 섭(燮)자에서 말씀 언(言)자는 불이 번져 나가는 것을 소리가 퍼지는 것에 비유한 글자입니다. 또 우(又)자는 손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불꽃 섭(燮)자는 또 우(又)자가 있어서 불을 들고 있는 모양입니다. 말씀 언(言)자를 말소리라고 보면 ‘불이야’하고 외치는 소리를 쓴 글자가 불꽃 섭(燮)자입니다.
+
= 㰔
구기 희(㰕)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숨 희(羲)자를 했습니다. 숨 희(羲)자는 양 양(羊)자 아래에 벼 화(禾)자를 하고 벼 화(禾)자 아래에 공교할 교(丂)자를 하고 창 과(戈)자를 했습니다. 벼 화(禾)자를 하고 공교할 교(丂)자를 한 글자는 빼어낼 수(秀)자는 아닙니다. 숨 희(羲)자는 내 쉬는 숨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숨을 내 쉬는 것은 살아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지만, 숨을 내 쉬고 들이 쉬지 않으면 혼령이 나간 것이고 죽은 것으로 보았습니다. 여기서 숨 희(羲)자는 제물로 사용하려고 잡은 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㰕
느티나무 귀(櫷)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거북 귀(龜)자를 했습니다. 거북 귀(龜)자는 거북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櫷
돛 쌍(欆)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쌍 쌍(雙)자를 했습니다. 쌍 쌍(雙)자는 새 추(隹)자는 두 개 해서 상임을 표시하고 또 우(又)자는 해서 손에 잡흰 모양임을 나타냈습니다. 한 쌍을 가지고 있다는 말입니다.
+
= 欆
격자창 령(櫺,欞)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비 올 령(霝)자를 하거나 신령 령(靈)자를 했습니다. 비 올 령(霝)자는 비가 온다는 뜻으로 비 우(雨)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세 개했습니다. 신령 령(靈)자는 비 올 령(霝)자 아래에 무당 무(巫)자를 해서 신령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무당을 더했습니다. 비 오는 날의 무당은 신이 들릴 것입니다.
櫺
까치콩 섭(欇)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소곤거릴 섭(聶)자를 했습니다. 소곤거릴 섭(聶)자는 귀가 셋이나 귀끼리 붙어 있습니다. 정신 차려 듣는다는 뜻이겠지요.
欇
땅 이름 취(欈)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새 이름 휴(巂)자를 했습니다. 새 이름 휴(巂)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새 추(隹)자를 하고 빛날 경(冏)자를 했습니다. 새 이름 휴(巂)자로 나타내는 새는 산에 사는 새인 듯합니다.
+
= 欈
떨기로 날 총(欉)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모일 총(叢)자를 했습니다. 모일 총(叢)자는 풀 무성할 착(丵)자 아래에 취할 취(取)자를 했습니다. 풀을 많이 모았다는 뜻이겠지요.
+
= 欉
저울추 권(權)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황새 관(雚)자를 했습니다. 황새 관(雚)자는 황새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산 이름 권(巏), 노린재 권(蠸), 권할 권(勸)자들은 황새 관(雚)자가 들어 있어서 ‘권’으로 읽습니다.
權
쇠스랑 구(欋)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볼 구(瞿)자를 했습니다. 볼 구(瞿)자는 눈 목(目)자를 두 개 한 아래에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새가 두 눈을 둥그렇게 뜨고 보는 모양을 상상할 수 있는 글자입니다.
+
= 欋
울창할 울(欎,欝,鬱)자는 울타리 번(棥)자를 했습니다. 나무가 빽빽하게 우거진 모양을 나타내느라고, 나무 목(木)자를 두 개 한 울타리 번(棥)자를 했습니다. 그리고 나무 목(木)자 사이에 ‘X’표를 해서 나무가 빽빽하게 있음을 표시했습니다. 덮을 멱(冖)자나 그물 망(罒)자를 한 것은 빽빽하니 경계선을 그어 정리를 한 것입니다. ‘𡬠’자는 어그러질 간(艮)자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손을 대기가 어려울 정도로 나무가 출창하다는 뜻입니다.
鬱
수레멍에목 축(㰗)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대지를 축(蹙)자를 했습니다. 대지를 축(蹙)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겨레 척(戚)자를 했습니다. 겨레 척(戚)자는 창과(戈)자 안에 콩 숙(尗)자를 했습니다. 콩 숙(尗)자는 콩깍지 안에 콩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기도 하지만, 상처에서 피를 흘리는 그림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겨레 척(戚)자는 피를 나눈 사이라는 뜻입니다. 옷이 곱고 화사할 축(䙯), 옷 새뜩한 모양 축(䙘), 단풍나무 축(槭), 찡그릴 축(顣)자들은 겨레 척(戚)자가 들어 있어서 ‘축’으로 읽습니다.
+
= 㰗
나무 이름 이(㰘)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떳떳할 이(彛)자를 했습니다. 떳떳할 이(彛,彜,彝,彞)자는 떳떳할 이(彛,彜)자와 떳떳할 이(彝,彞)자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떳떳할 이(彛,彜)자는 나눌 분(分)자를 했고, 떳떳할 이(彝,彞)자는 실 사(糸)자를 했습니다. 떳떳할 이(彛,彝)자는 고슴도치 머리 계(彐,彑)자 아래에 쌀 미(米)자를 하고 그 옆에 가는 나눌 분(分)자나 실 사(糸)자를 하고, 글자 맨 아래에 받들 공(廾)자를 했습니다. 고사지내는 모양을 표시한 것입니다. 지금도 고사를 지낼 때에는 돼지 머리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고스도치 머리 계(彐,彑)자는 고슴도치의 머리가 아니라, 돼지 머리를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떳떳하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고사지낼 때 차려 놓는 물건들을 표시했습니다.
㰘
돌배나무 라(欏)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새 그물 라(羅)자를 했습니다. 새 그물 라(羅)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벼리 유(維)자를 했습니다. 벼리란 그물의 윗부분에 굵은 밧줄을 말합니다. 벼리만 잡아당기면 그물이 모두 딸려오게 마련이지요. 새 그물 라(羅)자는 새의 그물을 설명하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欏
들보 려(欐)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고울 려(麗)자를 했습니다. 고울 려(麗)자는 뿔이 있는 사슴 같은 동물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사슴에 뿔을 강조하여 그렸습니다.
+
= 欐
모일 찬(欑)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도울 찬(贊)자를 했습니다. 도울 찬(贊)자는 먼저 선(先)자를 두 개한 아래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재물로 도와준다는 뜻이겠지요.
欑
나무 이름 란(欒)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어지러울 련(䜌)자를 했습니다. 어지러울 련(䜌)자는 실 사(糸)자 두 개와 말씀 언(言)자로 구성했습니다. 실이 엉키면 참으로 어지럽습니다. 말이 엉켜도 참으로 어지럽습니다. 둥글 란(圝), 땅거미 질 란(曫), 산 돼지 그물 란(羉), 방울 란(鑾)자들은 어지러울 련(䜌)자가 들어 있어서 ‘란’으로 읽습니다.
欒
나무 무성할 나(㰙)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어려울 난(難)자를 했습니다. 어려울 난(難)자는 ‘난’ 또는 ‘한’으로 읽는 글자에 들어 있는 ‘𦰩’자 옆에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𦰩’자는 노란 진흙 근(堇)자와 비슷합니다. 새가 진흙에 빠졌으니, 어려울 수밖에는 없겠군요. 역귀 쫓을 나(儺)자도 어려울 난(難)자가 들어 있어서 ‘나’로 읽습니다.
+
= 㰙
나무 이름 약(㰛)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약 약(藥)자를 했습니다. 약 약(藥)자는 풀 초(艸)자로 약은 풀로 만든다는 뜻을 표시하고, 아래에 풍류 악(樂)자를 써서 뜻을 더 분명하게 했습니다. 약(藥)은 병(病)을 치료(治療)해 주는 풀(艸)이라는 뜻입니다. 약 약(藥)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㰛
머귀나무 당(欓)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무리 당(黨)자를 했습니다. 무리 당(黨)자는 의부(義符)로 검을 흑(黑)자 위에 성부(聲符)로 오히려 상(尙)자를 했습니다.
+
= 欓
보습 곽(欔)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두리번거릴 확(矍)자를 했습니다. 두리번거릴 확(矍)자는 조개 패(貝)자를 두 개 한 아래에 새 한 마리 척(隻)자를 했습니다. 새 한 마리가 조개를 발견하고 주변을 살피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볼 구(瞿)자와 비슷하지마는 조개를 보고 주변을 살피는 모습을 표시한 글자로 보는 것이 더 좋을 듯합니다. 바삐 갈 곽(躩)자도 두리번거릴 확(矍)자가 들어 있어서 ‘곽’으로 읽습니다.
+
= 欔
엄나무 엄(欕)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엄할 엄(嚴)자를 했습니다. 엄할 엄(嚴)자는 입 구(口)자 두 개 아래에 기슭 엄(厂)자를 하고 감히 감(敢)자를 했습니다. 입 구자 두 새는 눈을 둥그렇게 뜨고 긴장한 모습이고, 기슭 엄(厂)자는 의부(義符)와 성부(聲符)를 분리해 놓은 표시입니다. 엄할 엄(嚴)자의 성부(聲符)는 감히 감(敢)자입니다. ‘엄’과 ‘감’은 통운(通韻)이기 때문입니다. 감히 감(敢)자는 귀 이(耳)자 위에 장인 공(工)자를 했지만 귀를 뜻하는 글자에 칠 복(攵)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칠 복(攵)자는 때린다는 듯으로 보아도 무방하지마는 귀를 잡아당기는 표시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사람을 얕보고 감히 따귀도 때리고 귀도 잡아당기고 입도 쥐어뜯고 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欕
감람나무 람(欖)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볼 람(覽)자를 했습니다. 볼 람(覽)자는 성부(聲符)로 볼 감(監)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볼 견(見)자를 했습니다. 퍼질 람(濫), 쪽 람(藍), 누더기 람(襤), 바구니 람(籃)자들은 볼 감(監)자가 들어 있어서 ‘람’으로 읽습니다.
+
= 欖
목란 란(欗)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난초 란(蘭)자를 했습니다. 난초 란(蘭)자는 풀 초(艸,艹)자 아래에 가로막을 란(闌)자를 했습니다. 가로막을 란(闌)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 안에 성부(聲符)로 가릴 간(柬)자를 했습니다.
+
= 欗
도끼 촉(欘)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엮을 속(屬)자를 했습니다. 엮을 속(屬)자는 의부(義符)로 주검 시(尸)자 아래에 눈으로 뛰 따를 답(眔)자에서 아랫부분을 하고, 성부(聲符)로 나라 이름 촉(蜀)자를 했습니다. 부탁할 촉(囑), 공손할 촉(灟)자들은 엮을 속(屬)자가 들어 있어서 ‘촉’으로 읽습니다.
欘
찬합 류(欙)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갇힐 류(纍)자를 했습니다. 갇힐 류(纍)자는 성부(聲符)로 밭 갈피 뢰(畾)자에 의부(義符)로 실 사(糸)자를 했습니다. 밭 갈피 뢰(畾)자는 밭 전(田)자를 세 개 했습니다. 밭의 경계선을 나타냈습니다. 그러니 밭의 갈피를 나타내는 글자가 되었습니다. 힘쓸 류(㔣), 등나무 덩굴 류(藟), 삼태기 류(蘲), 날 다람쥐 류(鸓,䴎)자들은 밭 갈피 뢰(畾)자가 들어 있어서 ‘류’로 읽습니다.
欙
배 례(欚)자는 배는 나무로 만드니까,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좀 먹을 려(蠡)자를 했습니다. 좀 먹을 려(蠡)자는 단 단(彖)자 아래에 벌레 충(虫)자를 두 개 해서 좀벌레를 표시했습니다. 단 단(彖)자를 여기서는 좀벌레가 물건을 좀먹어 치우는 것을 뾰족한 주둥이를 그린 고슴도치 계(彑)자로 나타냈습니다.
欚
칼자루 파(欛)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으뜸 패(覇)자를 했습니다. 으뜸 패(覇)자는 의부(義符)로 덮을 아(襾)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패(䩗)자를 했습니다. 으뜸이라는 말은 모두를 막라하여 최고라는 말입니다. 그래서 덮을 아(襾)자를 했습니다. 강 이름 파(灞), 방죽 파(壩)자는 으뜸 패(覇)자가 들어 있어서 ‘파’로 읽습니다.
+
+
= 欛
나무 이름 낭(欜)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주머니 낭(囊)자를 했습니다. 주머니 낭(囊)자는 옷 의(衣)자를 상하(上下)로 가르고, 그 안에 ‘吅’ ‘𠀎’ 등을 표시해서 여러 가지 물건을 넣어두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주머니 낭(囊)자는 주머니 속에 여러 가지 물건들을 넣어 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欜
울창할 울(欎,欝,鬱)자는 울타리 번(棥)자를 했습니다. 나무가 빽빽하게 우거진 모양을 나타내느라고, 나무 목(木)자를 두 개 한 울타리 번(棥)자를 했습니다. 그리고 나무 목(木)자 사이에 ‘X’표를 해서 나무가 빽빽하게 있음을 표시했습니다. 덮을 멱(冖)자나 그물 망(罒)자를 한 것은 빽빽하니 경계선을 그어 정리를 한 것입니다. ‘𡬠’자는 어그러질 간(艮)자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손을 대기가 어려울 정도로 나무가 출창하다는 뜻입니다.
鬱
격자창 령(欞)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신령 령(靈)자를 했습니다. 신령 령(㚑)자에서 큰 대(大)자는 신령 령(灵líng)자에서 불 화(火)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곧 여기서 큰 대(大)자는 불 화(火)자의 모사(模寫)입니다. 신령 령(灵líng,霛,霊,靈,䨩)자는 성부(聲符)로 비 올 령(霝)자를 하고 아래에 의부(義符)로 무당 무(巫)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비 올 령(霝)자는 음산한 날씨를 표시하여 신령스러움과 통한다는 뜻입니다. 비 오는 음산한 날이면 귀신들이 더욱 나다닙니다. 혼령을 나타내는 신령 령(靈)자에 비 우(雨)자는 한 것은 혼령이 다니기 좋은 환경을 나타낸 것입니다. 신령 령(霛)자에서 활 궁(弓)자를 세 개 나란히 한 것도 신령 령(靈)자에서 입 구(口)자 세 개와 무당 무(巫)자를 합한 글자를 모사(模寫)한 것입니다. 신령 령(靈)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신령 령(䨩)는 무당 무(巫)자 대신에 귀신 신(神)자를 해서 신령하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欞
나무 이름 관(欟)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볼 관(觀)자를 했습니다. 볼 관(觀)자는 의부(義符)로 볼 견(見)자에 성부(聲符)로 황새 관(雚)자를 했습니다. 황새 관(雚)자는 목을 길게 뽑고 긴 다리를 가지고 눈을 둥그렇게 뜨고 사방을 살피는 황새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볼 관(觀), 물댈 관(灌), 두레박 관(罐), 옥 이름 관(瓘), 봉화 관(爟), 부릅뜰 관(矔), 두레박 관(礶), 두레박 관(鑵), 황새 관(鸛)자들은 자 확(蒦)자가 들어 있어서 ‘관’으로 읽습니다.
+
= 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