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안녕하세요,
결과타당도와 관련하여 궁금증이 있어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결과타당도는 검사가 체제 간에 어떤 교육효과나 결과를 가져왔는지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공부를 하던 중 결과타당도의 판단기준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결과타당도가 높고 낮음을 판단하는 판단기준이
1. 검사가 제작된 의도를 잘 실천했는지를 판단기준으로 삼는 것인지,
ex) 입시주의를 혁파하기 위해 고안된 수행평가가 실제로 입시주의를 혁파함 > 높은 결과타당도
2. 아니면 의도와 상관없이 검사가 체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때를 판단기준으로 삼는 것인지
ex) 수행평가가 입시주의 혁파 의도를 잘 실현하지는 못하였지만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여주어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 > 이 때도 높은 결과타당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지
3. 아니면 이 둘 다 모두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첫댓글 무언가 좀 애매하게 접근하는 것 같네요.
일단 입시위주의 혁파를 위해 수행평가를 실시하지는 않겠죠. 수행평가가 가지는 교육적 효과(고차적 사고력, 창의성 등)가 직접적인 이유이고 그래서 간접적으로 입시위주 교육도 개선되는 것이겠죠. 본질적으로는 전자, 부차적으로는 후자. 전자만 고려할 수도 있고, 후자까지 모두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항상 최선을 다하시고 좋은 결실 맺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