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힘 비대위원장으로 김문수 장관 적극 검토를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의 사퇴 이후 탄핵 정국에서 당을 이끌 비상대책위원장 인선을 놓고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원내 인사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많지만 인선은 쉽지 않다. 6선 주호영 국회부의장과 5선 권영세·나경원·김기현 등 중진 의원들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으며 이들 사이의 신경전도 만만치 않다.
권성동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까지 겸임할지, 비대위원장을 따로 인선해 ‘투톱’ 체제로 갈지도 명확하게 교통정리가 되지 않은 상황이다.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은 초선·재선·3선·4선 등 선수 별로 비대위원장 인선과 관련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이를 권성동 권한대행에 전달할 예정이다. 연말까지는 비대위원장 선임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친한계인 6선 조경태 의원은 "우리 당이 계엄을 옹호하는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씻고 대통령과 분리 작업을 해야 한다"며 "거기에 걸맞은 사람이 비대위를 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원장 후보에서 친윤계를 배제하자는 얘기다.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부정한다면 한동훈 체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동훈은 계엄에 대한 태도 때문에 대표에서 물러났다.
윤 대통령과 계엄에 대한 태도는 정치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등 좌파 진영 전반에 대한 태도와 연동된다. 12·3 비상계엄에 대한 평가는 향후 정치 상황과 기나긴 역사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맞다. 지금 계엄을 핑계로 서둘러 윤 대통령과 결별할 경우 그 정치적 열매는 고스란히 이재명과 좌파 진영에게 넘어가게 된다.
비대위원장이 당내 인사이어야 한다는 기준에는 공감하지만, 굳이 원내 인사로 한정한 것은 설득력이 없다. 원내의 목소리는 권성동 원내대표를 통해 듣는 것으로 족하다.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이 제대로 목소리를 내고 활동했다면 우파 진영이 이 지경까지 왔을까. 지금은 오히려 원외의 목소리를 경청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도 비대위원장 후보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치권이나 행정부의 경력, 이념적 정체성이란 점에서 이만한 후보를 찾기도 쉽지 않을 것이다. 김 장관은 특히 우파 시민사회에서 지지도가 높다.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경우 우파 진영의 총력 동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김 장관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관련기사
자유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