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 : 지상파 UHD(4K)방송만 제외하면, "가성비 갑" 4K UHD AV시스템이 가능하다.
12월이면 전체가구의 70%가 지상파 UHD(4K)방송 시청권에 들어간다(5대 광역시로 확대). 해서 많은 분들이 4K UHDTV를 넘어, 4K UHD AV시스템에까지 관심이 많다. 삼성·LG도 이런 현실에 맞추어 연말 TV수요에 대비한 마케팅·생산·영업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지상파 UHD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2017년 출시 삼성·LG 4K UHDTV만을 구입해야하고, 안테나로만 시청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해서 지상파 UHD(4K)방송 확대 실시로 인한 삼성·LG 4K UHDTV도 그리 호기를 누리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상파 UHD(4K)방송 현실 | 현실 (1) | 현재 지상파 UHD(4K)방송을 시청하려면, 삼성-LG 4K UHDTV를 구입하는 방법 외에는 달리 시청할 방법이 없다. | 현실 (2) | 현재 지상파 UHD(4K)방송을 시청하려면, 안테나로만 시청을 해야 한다. 헌데, 수신환경 미비로 안테나 수신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 현실 (3) | 현재 지상파 UHD(4K)방송 4K UHD콘텐츠 편성 비율은 하루 1~2시간에 불과(5%미만)하다. ※UHD(4K)콘텐츠 편성 비율 2017년 전체방송의 5%만 4K UHD화질로 방송하고, 나머지는 HD화질을 4K UHD포멧으로 변경해서 방송하고 있으며, 2020년 25%, 2023년 50%, 2027년 100%(HD방송 종료)가 된다. | 현실 (4) | 현재 지상파 UHD(4K)방송은, 16Mbps로 송출을 하고 있어, 세계 최저수준의 무늬만 4K UHD화질이다. 비싼 삼성-LG UHDTV가 온전한 UHD(4K)화질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 결어 | 콘텐츠부족으로 볼 것 없고, 화질도 떨어지고, 비싼 삼성-LG로만 구입하여, 안테나로만 시청해야 하는 지상파 UHD(4K)방송 시청만 배제한다면, 가성비 갑의 4K UHD AV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다. |
그래서 고민을 해보았다. 하루 1~2시간밖에 안 되는 4K UHD콘텐츠로, 그것도 16Mbps로 무늬만 4K UHD화질로 방송하는 지상파 UHD방송만 제외한다면, 4K UHD AV시스템은, 저렴하면서도 수월하게 구축이 가능하다.
사실 지상파 UHD(4K)방송을 제외하면, 수월함을 넘어, 굳이 비싼 삼성·LG 4K UHDTV를 구입할 필요도 없다. 중소업체 65인치 4K UHDTV를 기준(HDR지원)으로 본다면, TV가격만 최소 100만원 이상 줄일 수 있다.
그렇지만, 중소업체 4K UHDTV의 경우, 가격은 저렴하지만, UHD영상의 꽃이라 할 수 있는 HDR을 지원하지 않거나 온전히 지원하지 못한다는 것이 문제다, 하지만, 실제 HDR을 감상할 수 있는 콘텐츠가 전무하고, 설사 있다 해도, HDR10정도만 지원이 된다면, 그다지 문제 될 것은 없다.
그래서 기준을 잡아 보았다. 즉, "가성비 갑" 4K UHD AV시스템에 대한 기준을 잡아 보았다. HDR10을 지원하면서, Dolby Atmos와 DTS:X까지 지원하는 HDMI 2.0(18Gbps)을 기반으로 하는 "가성비 갑" 4K UHD AV시스템을, 운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안해 본다.
▶가성비 갑 4K UHD AV시스템(HDR지원) 추천 배경 | 4K UHDTV | *4K UHD화질을 느끼고, 화면크기도 어느 정도 받쳐주면서, 가격적으로도 큰 부담이 없으면서, HDR을 지원할 수 있는 TV(중소업체)로 추천. *HDMI 2.0a(18Gbps)+HDCP 2.2지원 | 4K AV리시버 | *HDMI 2.0a(18Gbps)+HDCP 2.2지원 (HDR10/HLG/Dolby Vision지원) *Dolby Atmos/DTS:X지원 | 5.1.2ch 스피커 | 집안 환경(거실)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5.1ch을 기본으로 해서, Dolby Atmos(DTS:X)까지 청취가 가능한 구조로 추천. | 4K 미디어 플레이어 | HD/UHD AV소스를 제목만 클릭하면, 재생되는 편리성을 우선으로 하였다. 그러면서, HDR10/HLG과 같은 HDR지원과 최신의 오디오인 Dolby Atmos/DTS:X까지 지원하면서, 유튜브나 넥플릭스를 4K UHD화질로 감상할 수 있고, 지상파나 케이블TV의 HD방송과 케이블TV의 UHD(4K)방송을 수신(시청)하고 원본 그대로 녹화할 수 있다. | 대용량 저장 장치(DAS) /콘텐츠 | 아무리 좋은 장비라 해도, 콘텐츠 없는 장비는 무용지물이기에, HD/UHD AV소스를 대용량 HDD에 담아 놓고, 필요할 때, 가장 편리하게, 그러면서, 최적의 화질과 음질로 AV를 감상한다. 다만, HD/UHD AV소스(콘텐츠)는, 자신의 노력으로 구해야 한다. |
▶가성비 갑 4K UHD AV시스템(HDR지원)-운영자 제안 | AV기기 | 제조사/모델 | 가격(다나와) | 4K UHDTV | 대우루컴즈 T6502TU | 1,124,810원 | 4K AV리시버 | 데논 AVR-X1400H | 724,900원 | 5.1.2ch 스피커 | *야마하 5.1채널(NS-Series) NS-F51+NS-B51+NS-C51+NS-SW100 *Dolby Atmos 2ch스피커 온쿄 SKH-410 | 639,500원 + 126,150원 | 4K 미디어 플레이어 | U5PVR | 146,000원 (카페 공구가) | 대용량 저장 장치(DAS) /콘텐츠 | DAS:4~10Bay | 10~50만원 | HDD:4/6/8/10TB(16~100TB) | 145~550만원 | HD/UHD콘텐츠(1,000편~) | 자신의 노력 | 합계 | 4K UHD AV시스템 신규 구입 | 300만원~ |
▶가성비 갑 4K UHD AV시스템 구성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A063359FA2E0A2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잘 보입니다.
▶가성비 갑 4K UHD AV시스템 활용은? *4K UHDTV로 지상파 HD방송과 케이블TV HD방송 시청→70여 채널 *재생기(U5PVR)로 지상파 HD방송과 케이블TV HD방송(70여 채널) 시청 및 녹화(원본 그대로 USB에) / 케이블 UHD방송 수신제한이 걸리지 않은 지역은, 국내 최고의 화질을 자랑하는 케이블TV의 UHD방송(UMAX)을 수신(시청)-녹화(원본 그대로 USB 녹화-영상은 다른 재생기에서 재생 가능) *재생기(U5PVR)로 유튜브나 넥플릭스 4K UHD동영상 감상 *재생기(U5PVR)로 블루레이 원본(폴더/ISO) 원본 소스 감상 *재생기(U5PVR)로 4K UHD영상 감상(HDR10/HLG) *HD오디오(Dolby TrueHD/DTS HD/LPCM)와 UHD오디오(Dolby Atmos/DTS:X)를 패스쓰루(Pass Through)로 감상
AV구성에 정답은 없다. 그리고 화질-음질은 돈에 비례한다는 말이 있다. 모두 맞는 말이지만, 돈을 많이 들여서, 4K UHD AV시스템을 구축해서 좋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그렇지만, 돈을 많이 들인다 해도, 콘텐츠가 받쳐주지 못하고, 사용자가 제품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면, 300만원~의 4K UHD AV시스템 보다 못한 화질과 음질이 나올 수도 있다.
해서 운영자가 이번에 제안드린 4K UHD AV시스템은, 가격적으로 큰 부담이 없으면서, HDR10을 지원하면서, Dolby Atmos와 DTS:X까지 지원하는 HDMI 2.0(18Gbps)을 기반으로 하였기에, 다소 부족함은 있지만, 4K UHD영상과 음질을 느끼기엔 그리 부족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무엇보다 편리성과 효율성에 역점을 두어, AV감상을 지속적으로 즐길 수 있게하여 AV감상이 취미가 될 수 있도록 꾸며 보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장비도 단순해서, 나 혼자만의 AV시스템이 아닌, 가족 누구나 AV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고, 감상할 수 있게 하였다는 것이다.
<공지>4K UHDTV구입에 어려움을 겪으시는 분들이나, 4K UHD AV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을 겪으시는 분들, 4K UHD AV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으신 분들과 함께 운영자와의 대담 시간을 마련해 보았습니다. AV에 대한 질문도 하고, 토론도 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UHD AV시스템 구축과 활용" 특강(좌담회) 안내 *일시 : 2017년 12월 2일(토) 오후3시~5시 5시~부터는 카페 송년 정모(희망자에 한해 참석 가능) *장소 : 용산 카페 사무실 *참석 인원 : 20명이내 *신청 : 11월 20일(월) 오전 10시~ 선착순으로 참여 신청 11월 20일(월) 오전 10시 자유게시판에 참여 신청 공지 *특강(좌담회) 내용 1)2018년 UHD(4K-8K) AV시장 전망 2)8K UHDTV 대중화 진행과정 3)HDMI 2.1과 8K UHDTV 4)HDR의 전망 5)4K UHD AV시스템 구축과 활용 6)양질의 콘텐츠 선택과 수급 7)UHD AV에 대한 좌담(60분)
|
첫댓글 good~ 특강(좌담회)도 기대가 됩니다.
4K UHD AV시스템으로 지상파UHD방송 볼 수 없지요?
헉~ 4K UHD AV시스템 자체가 지사앞 UHD(4K)방송을 시청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본 문에서 제안드린 것은, 지상파 UHD(4K)방송은 제외 한 것입니다.
Das 모델명을 알수 있을까요...검색을 해도 다른 das만 떠네요
다나와에서 "DAS"를 검색하면, 여러 제품이 나옵니다. DAS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드리지 않은 이유는, 종류가 많기 때문입니다. 보통 4-Bay는 10만원대, 6-Bay는 20만원대, 8~10-Bay는 40~50만원 정도에 구입이 가능한데, 주의할것은 DAS를 어떻게 구축할 것이냐 입니다. RAID도 가능은 하지만, 저는 "스트라이프" 기능을 이용해서, 통으로 구성해서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을 드린 것입니다.
HDD 가 145~550만원인데
혹시 0이 하나 더붙은게 맞나요?
tv선택 참 어렵네요.
ㅋㅋ. 어려우신면 12월 2일(토) 특강(좌담회)에 참석해 보세요. / 참고로 HDD가 145~550만원은 맞습니다. 설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대용량 저장 장치인 DAS만 해도, 4-Bay는 10만원대, 6-Bay는 20만원대, 8~10-Bay는 40~50만원 정도 갑니다. 거기에다 8TB HDD 1개당 가격이 33만원~ 정도 하니, 4-Bay DAS와 8TB HDDx4개 하면, 145만원 정도 나옵니다. 또한 10-Bay DAS에 10TB HDDx10개하면, 550만원 정도 나옵니다.
@이군배 시간내서 참석하도록하겠습니다.
하드는 혹시나가 역시나네요.
대우루컴즈 T6502TU, 5.1.2ch 스피커 까지만 구매 하고싶은데 데논 AVR-X1400H 리시버 까지 구매 해야 좋은 음질을 들을수 있는건가요? 그리고 기타 U5PVR, 대용량 저장
장치(DAS) 등 꼭 없어도 되는건가요? 저는 그냥 외장하드로 영화 보는데 꼭 플레이어 하고 저장 장치가 따로 필요 하는지요? 그리고 삼성QLED를 생각 했는데 운영자님께서 추천 하는 대우TV로 구매 할까 하네요.. ~
글쎄요. AV감상과 장비선택엔 답은 없습니다. 문제는 님께서 어떤 소스(화질/음질)의 영화를 보시고, 영화의 음질을 5.1ch~ 서라운드 음향까지 들을 건지를 님께서 먼저 정하셔야 합니다. 제가 제안드린 장비들은, 4K UHD영상의 핵심인 HDR과 5.1ch~ 서라운드 음향을 기반으로하는 최소한의 사양을 추전드린 것입니다.
본문을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TV그리고 온쿄 SKH-410 만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였을 때는 어떤가요?
어떻다는 기준이 좀 애매하긴 하지만, 어짜파 서라운드 음향은 그리 중요도가 크지 않고, 또 나오는 음향도 일부분 이기에 효과를 느끼기는 정도에서 들을만 합니다. 물론 저는 리시버가 좀더 나은 것이지만....
@이군배 감사합니다. 형편이 허락된다면 3.1사운드바에 대한 정보를 부탁 드려봅니다.
@정징현 사실 사운브 바 자체는 거의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예전에 일반 사운바에 대한 실망과 얼마전 모회사 2~3백만원빠라 제품을 들어보고, 실망을 한 터라, 관심을 갖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