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작약 입니다.
▣ 작약(보혈약)
뿌리를 적작약이라고 하며, 유간지통, 양혈렴음, 평간억양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흉복동통, 협통, 표허자한, 혈리, 현훈을 치료한다.
▣ 작용 및 용도
♣ 양기를 돕고 정을 보강한다.
명문의 화가 약한 데서 생긴 음위증, 유정 등에 쓴다.
음양곽 토사자를 배합하는 것이 좋다.
♣ 비를 덥게 하며 설사를 멈춘다.
명문의 화가 약한데서 오는 설사중 특히 새벽 설사에 쓴다.
육두구, 기자를 배합하는 것이 좋다.
♣ 방광을 덥게 하며 오줍량을 줄인다.
방광이 허냉하며 오줌이 자주 마려운데, 야뇨증 등에 쓴다.
토사자, 금앵자, 상표초 등을 배합하는 것이 좋다.
♣ 뼈를 든든하게 하며 허리힘을 세게 한다.
하초의 한냉으로 허리가 시리며 아픈데 쓴다.
두충, 속단, 우슬을 배합하는 것이 좋다.

▣ 성능 및 적응증
♣ 성미는 쓰고 시며 약간 차다. 간, 비, 폐경에 들어간다.(본초강목).
♣ 복통, 부스럼, 유행병, 요통 등에 쓰고 속을 편안하게 하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본초강목).
♣ 오장을 보강하며 배가 부은 것, 월경이 통하지 않는 것 등을
낫게 하고 어혈을 흩어지게 하며 고름을 삭인다. (향약집성방).
♣ 붉은 것은 오줌을 잘 누게 하며 열을 내린다.
힌 것은 아픈 것을 멈추고 피를 해처준다. (향약집성방).
♣ 작약은 또는 눈병에도 효과가 있으며, 눈을 밝게 하는 작용도 한다.(동의보감)
▣ 만드는 법
♣ 그대로 볶아 쓰거나 (향약집성방, 동의보감)술 (동의보감, 제중신편),
식초(본초강목)에 담갔다가 볶거나 쪄서 쓴다.
♣ 약제를 꿀을 섞어 쪄서 쓰면 피를 잘 보한다.(방약합편).
♣ 꿀을 섞거나 생강즙을 바르고 볶는다.(득배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