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엄마와 내복 세 벌
내가 열 두 살이 되던 해 이른 봄, 엄마는 나와 오빠를 남기고 하늘나라로 떠나셨다.
당시 중학생인 오빠와 초등학교 5학년인 나를 아빠에게 부탁한다며 눈물짓던 마지막 길에 남겨진 건
엄마에 대한 추억과 사진 한 장이었다. 엄마는 사진 속에서 늘 같은 표정으로 웃고 있었다.
아빠는 그렇게 엄마의 몫까지 채워가며 우리 남매를 길러야만 했다.
그게 힘겨워서였을까? 2년 후 중학생이 되던 해 여름, 아빠는 새 엄마를 집으로 데려왔다.
"엄마라고 부르라"는 아빠의 말씀을 우리 남매는 따르지 않았다.
결국 생전 처음 겪어보는 아빠의 매 타작이 시작되었고, 오빠는 어색하게 “엄마”라고 겨우 목소리를 냈지만,
난 끝까지 엄마라고 부르지 않았다. 아니 부를 수 없었다. 왠지 엄마라고 부르는 순간 돌아가신 진짜 엄마는
영영 우리들 곁을 떠나버릴 것 같았기 때문에, 종아리가 회초리 자국으로 피멍이 들수록 난 입을 앙다물었다.
새 엄마의 말림으로 인해 매 타작은 끝이 났지만, 가슴엔 어느 새 새 엄마에 대한 적개심이 싹트기 시작했다.
그렇게 며칠이 지나고 새 엄마를 더 미워하게 되는 결정적인 일이 벌어졌다. 내방에 있던 엄마 사진을 아빠가
버린다고 가져가 버린 것이다. 엄마 사진 때문에 내가 새 엄마를 더 받아들이지 않는 거라는 이유에서였다.
이때부터 새 엄마에 대한 나의 반항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다른 사람의 기준으로 보면 새 엄마는 분명 착하신 분이었다. 그러나 한 번 타오르기 시작한 적개심은
그 착함마저도 위선으로 보일 만큼 강렬했다. 난 언제나 새 엄마의 존재를 부정하였다.
그 해 가을 소풍 날이었다. 학교 근처 계곡으로 소풍을 갔지만, 도시락을 싸가지 않았다.
소풍이라고 집안 식구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점심시간이 되고 모두들 점심을 먹을 때,
계곡 아래쪽을 서성이이고 있는 내 눈에 저만치 새 엄마가 들어왔다. 손에는 김밥 도시락이 들려있었다.
뒤늦게 이웃집 정미 엄마한테서 소풍이라고 전해 듣고 도시락을 싸오신 모양이었다.
난 도시락을 건네 받아 새 엄마가 보는 앞에서 계곡물에 쏟아버렸다. 뒤돌아 뛰어가다 돌아보니, 새엄마는
손수건을 눈 아래 갖다 대고 있었다. 얼핏 눈에는 물기가 반짝였지만 난 개의치 않았다.
그렇게 증오와 미움 속에 중학 시절을 보내고 3학년이 거의 끝나갈 무렵 고입 진학 상담을 해야 했다.
아빠와 새 엄마는 담임 선생님 말씀대로 가까운 인근에 있는 인문고 진학을 원하셨지만, 난 산업체 학교를
고집하였다. 새 엄마가 원하는 대로 하기가 싫었고, 하루라도 빨리 집을 떠나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집을 떠나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으리라 다짐하고 다짐했다.
결국, 내 고집 대로 산업체 학교에 원서를 냈고 12월이 끝나갈 무렵 경기도에 있는 그 산업체로 취업을
나가기로 결정됐다. 드디어 그날이 오고, 가방을 꾸리는데 새 엄마가 울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한 번, 정말 다시는 집에 돌아오지 않으리라 마음속으로 결심했다.
경기도에 도착해서도 보름이 넘도록 집에 연락 한번 하지 않았다. 산업체 공장 생활은 그렇게 시작되었고,
낯섦이 조금씩 익숙해져 갈 무렵 옷 가방을 정리하는데 트렁크 가방 맨 아래에 검은 비닐 봉투가 눈에 들어왔다.
분명 누군가 가방 속에 넣어 놓은 비닐 봉투... 봉투 속에는 양말과 속옷 두 벌 그리고 핑크빛 내복 한 벌이
들어 있었다. 편지도 있었다. 가지런한 글씨체... 새 엄마였다. 두 번을 접은 편지지 안에는 놀랍게도 아빠가
가져간 엄마 사진이 들어 있었다.
새 엄마는 아빠 몰래 엄마 사진을 간직했다가 편지지 속에 넣어서 내게 준 것이다. 이제껏 독하게 참았던
눈물이 주르륵 흘러내렸다. 눈물 콧물 범벅이 되며 편지를 읽고 또 읽었다. 그 동안 쌓였던 감정의 앙금이
눈물에 씻겨 내렸다. 엄마가 돌아가신 이후 처음으로 그날 밤새도록 울고 또 울었다.
첫 월급을 타고 일요일이 되자, 난 홍천 행 버스를 탔다. 밤새 눈이 많이 내려 들판에 쌓여있었다.
나의 가방 안에는 아빠, 엄마 그리고 새 엄마를 위한 내복이 준비 되어 있었다. 새 엄마 아니 엄마는 동구 밖에
나와 날 기다리고 계셨다. 빗자루가 손에 들린 엄마 뒤에는 훤하게 아주 훤하게 쓸린 눈길이 집까지 이어져 있었다.
“새 엄마! 그 동안 속 많이 상하셨죠? 이제부턴 이 내복처럼 따뜻하게 엄마로 모실게요.”
아직도 말을 못하고 속말로만 웅얼거리는 나를, 어느새 엄마의 따뜻한 두 팔이 감싸 안고 있었다.
기쁘고 행복한 목요일입니다!
<받은 글 옮김>
첫댓글
luna 님! 찾아주시고 같이 느낌을 주셔 감사드립니다.
헬렌 켈러가 그랬어요. "세상은 고통으로 가득하지만 그 고통을 이겨가며 살아가는 사람으로 가득하다."
매일 끔찍하게 들리는 이야기도 많지만 이처럼 인간애, 가족애가 넘치는 가정도 많습니다.
그래서 세상은 따뜻한 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