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지-지구 온난화, 해수 고온, 바다 오염 등 현상으로 인한 해양 생태계 변화로 한국 김 양식 산업에도 큰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한국 김 양식의 태동지, 근거지였던 서남해안의 양식장에서도 ‘해상 김 양식’에 대한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육상 양식 기술 개발, AI·IoT(사물인터넷) 접목을 통한 스마트 양식 시도에 나서고 있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서 경북도가 ‘돌김 양식’을 도정(道政) 목표로 정한 것은 매우 시의 적절한 판단으로 생각된다.
-이에 한국의 김양식 산업 전반을 둘러보고 특히 경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돌김 양식이 역사, 해양 생태,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포럼 참가자
1. 동해안 김 양식 역사와 일제시대 돌김 양식 장려 정책(홍길동, 경북수산자원연구원)
2. 경북 동해안 김 양식업 실태, 가능성과 과제(홍길동, 경북도 해양수산국)
3. 한국 김 산업의 현황과 앞으로 과제(홍길동, 포항지방해양수산청)
4. 일본 돌김 양식의 성공 비결-후쿠야마 ‘세노오수산’(妹尾水産)을 중심으로(세노오수산 대표: 세노오 다마유키(妹尾孝之))
5. 경북 동해안 돌김 양식장 실제 운영 사례 보고(홍길동, **수협 조합장)
6. 민물 김 양식의 실태 보고(김**, 삼척시 수산자원센터 민물김연구팀장)
7. 육상 김양식 산업의 현황과 과제-풀무원 사례를 중심으로
(이**, 전북 풀무원 기술원 연구원)
◆포럼 기대 효과
1. 돌김 양식에 필요한 실제적 정보는 물론 돌김이 지닌 독특한 생태적 특성 등을 파악해 실제 양식 사업장의 입지 선정의 참고 자료로 활용.
2. 지구 온난화 등 어족(魚族) 자원 생태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동해안 어촌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돌파구로 돌김 양식 사업의 성공에 기여.
3. 경복도 돌김 양식 사업과 관련한 구체적 플랜과 중장기적 정책 방향 제시.
4. 고령화, 이농(離農) 현상 등으로 더욱 어려워진 경북 어촌 경제의 활성화 방안 모색.
5. 일본 돌김 양식 성공 사례 등을 검토함으로써 경북 어촌에 양식 사업 정착 등 정책 방향 도출.
6. 일본 성공사례를 참고함으로써 경북 자치단체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여 지방 재정 부담을 줄인다.
7. 이의 성공을 통해 어촌 경제 활성화와 함께 지역 청소년들의 체험학습, 진로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