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성북구 성북2동에 자리잡은 최순우 고택. 시민 모금의 성과로 보존돼 2004년 4월 10일부터 시민들에게 개방됐다.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서서’라는 글에서 한국의 아름다움을 보는 안목을 제시했던 미술사학자 최순우(1916~1984)씨의 서울 성북동 옛집이 2004년 4월 10일 오후 4시 개관식을 갖고 시민들에게 개방됐다. 최남선과 현진건 고택,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등 근현대사의 체취가 깃든 옛 건물들이 속속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최순우 옛집 복원은 시민들의 힘으로 살려낸 문화 재산이란 점에서 그 의미가 더 컸다.
성북구 성북2동 126의 20, 대지 120평에 안채와 사랑채 등으로 이뤄진 최순우 고택은 1930년대에 건립된 한옥. 조선 말기 선비 집의 운치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건물로, 최씨는 한국 전쟁 직후부터 작고하기까지 30여년간 이 집에서 살았다.
최순우씨의 ‘옛집’이 ‘시민 문화재 1호’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시민이 주체가 돼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매입·보존하는 ‘내셔널 트러스트(National Trust·국민신탁)’ 운동의 성과였다. 사단법인 한국내셔널트러스트는 지난 2002년 12월 8억여원의 기부금을 통해 이 집을 사들였고, 그중 삼성전자와 학고재가 비용의 절반 이상을 맡았다. 다시 1년여 간의 기금 모금과 후원인 발굴, 보수·복원 자문회의가 이어졌고 2억원을 더 모금해 보수와 복원을 진행했다.
‘옛집’은 최씨의 자필 원고나 안경·라디오 등 유품을 상설 전시하며 한국의 전통공예와 관련된 전시회를 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뒷마당에는 차를 마실 수 있는 공간도 갖출 계획이다.
총 53건
2010년 | 폴란드, 대통령 전용기 추락 사고 |
2010년 | 태국 반정부 시위, 유혈사태 |
2004년 | 원로배우 독고성씨 별세 |
2004년 | 일본 영화 ‘카게무샤’ 두 주역인 전국시대 앙숙 오다·다케다 가문 화해 |
2003년 | 서울대 규장각 소장 ‘삼국유사’ 국보 제306-(2)호로 승격 |
2003년 | 청남대 기자단에 내부 첫 공개 |
2001년 | 네덜란드 상원 안락사 합법화 의결. 세계최초로 안락사 합법화 |
2000년 | 남북정상회담 서울-평양에서 동시 발표 |
1999년 | 국방과학연구소, 사정거리 300km 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 |
1999년 | 독도 유인등대 가동 |
1998년 | 북아일랜드 평화협상 타결 |
1997년 | 공덕동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
1997년 | 야구인 김동엽씨 사망 |
1995년 | 북미 직통전화 개통 |
1995년 | 중국 혁명원로 천윈(陣雲) 사망 |
1993년 | 남아공 흑인지도자 크리스 하니 피살 |
1991년 | 남북직교역 승인 |
1984년 | 호주 의료진, 최초 냉동 수정아 출산 성공 발표 |
1982년 | 유럽연합(EC)10개국, 아르헨티나 상품 수입금지 긴급 결정 |
1980년 | 소련. 중국 우호동맹-상호원조조약 실효 |
1979년 | 과천 제2정부청사 기공 |
1978년 | 외환은행, 국내 첫 신용카드 발급 |
1973년 | 우리나라 여자탁구 첫 세계 제패 |
1972년 | 한국 히말라야 등반대 조난. 한국인 3명 등 15명 사망 |
1972년 | 세균무기(생물무기) 및 독소무기의 개발, 생산 및 비축의 금지와 그 폐기에 관한 협약(BWC) 조인 |
1971년 | 미국 탁구선수단 중국 방문. 핑퐁외교 시작 |
1970년 | 비틀즈 10여년 만에 해체 |
1968년 | 뉴질랜드 해안에서 워하인호 침몰 |
1968년 | 남아공- 요코부스 푸케 대통령 취임 |
1966년 | 월남 불교도 키 수상 부에(후에) 선전 |
1964년 | 국공유지 불하사건 |
1964년 | 소련 저개발국 상품에 관세 철폐 발표 |
1963년 | 미국 핵잠수함 드레셔호 대서양 해상에서 침몰. 129명 실종 |
1963년 | 한국-콩고민주공화국 국교 수립 |
1961년 | 한국 국제언론인협회(IPI) 가입 |
1959년 | 장훈, 일본 프로야구 데뷔 |
1958년 | 공군수송기 납북 미수사건 발생 |
1957년 | 수에즈운하 개방 재개 |
1957년 | 서울대 법대생들 이강석(이승만대통령의 양자)의 입학반대 동맹휴학 |
1953년 | 함마슐트 UN 사무총장 선출 |
1949년 | 유엔(UN) 안보리, 한국 가입안 부결 |
1941년 | 미국 그린란드에 미군기지 설치 |
1930년 | 보통학교 조선어사전 제3판 출간 |
1927년 | 미국의 생화학자 마셜 니런버그 출생 - 유전정보 해독에 이바지해 노벨상 수상 |
1917년 | 예술-생활 용품의 울타리를 튼 마르셀 뒤샹의 `변기` 등장 |
1916년 | 서양화가 이중섭 출생 |
1912년 | 조계종 종정 성철 스님 출생 |
1900년 | 서울 종로에 최초의 민간전등 가설 |
1898년 | 작곡가 홍난파 출생 |
1882년 | 각료직에 오른 최초의 여성 정치가 퍼킨스 출생 |
1847년 | 현대신문의 정형을 확립한 미국의 신문왕 퓰리처 출생 |
1755년 | `동종요법` 치료체계를 확립한 독일의 의사 사무엘 하네만 출생 |
1583년 | 네덜란드 법학자 그로티우스 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