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어사의 시대구분
국어사를 기술함에 있어서 언어외적인 요소는 배제해야 하지만 국어 자체가 독자적인 변천을 하는 것이 아니고 정치적, 사회적 여러 요소와 함께 복합적인 변천을 하는 것이므로 이들을 참고해야 한다.
이기문(1972)의 시대구분 김형규(1975)의 시대구분
(1) 고대 국어( ∼ 9C 말) (1) 고대어(∼ 신라:934)
(2) 전기중세국어(10C∼14c) (2) 중고어(고려:935∼1391)
(3) 후기중세국어(15C∼16C) (3) 중기어(조선 ∼ 임진란)
(4) 근대 국어(19C ∼19C) (4) 근대어(임진란∼ 갑오경장)
(5) 현대 국어(20C초∼ ) (5) 현대어(갑오경장 이후)
2. 국어의 계통과 형성
한 언어의 계통을 밝힌다는 것은 그것과 다른 언어나 언어군 사아에 친족관계가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친족관계란 家系와 관련있는 말로 가장 가까운 가족관게가 있음을 말하는데 계통수설에서 나온 말이다.
3. 국어의 계통연구사
Rosny(1864), Dallet(1874): "한국어는 우랄알타이어족에 속한다"
白鳥庫吉(1914): "한국어는 알타이제어의 어휘의미와 형태의 비교"
Polivanov(1928): 한국어의 음운과 형태를 알타이제어와 비교(친근성 주장)
Ramstedt(1928): 알타이어족 터어키어, 몽골어, 만주퉁구스어, 한국어의 분 류: 과학적인 비교언어학적인 안목으로 음운대응을 시도하고 문법형태소의 유사성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Poppe(1965): 한국어는 알타이어 단일체에서 직접 갈라진 것이다.
3. 알타이제어와 국어의 위치
1)국어의 게통적 위치
Gleason(1961)의 언어분류:23개 어족
람스테트: 알타이조어는 흥안산맥 부근에 중심을 잡았다고 추정되는데 여기에 네 어파가 갈라지게 되었다. 한국어는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포페: 한국어의 계통이 분명치 않다
알타이공통조어
츄바시 터어키 몽골 만주 퉁구스어 공통어 원시한국어
츄바시 터어키공통어 몽골 만주 퉁구스어 공통어
원시터키어 원시 츄바시어 공통몽골어 공통 만주 퉁구스어
터키어 츄바시어 몽골어 만주 퉁구스어 한국어
2) 알타이제어의 공통특질
① 모음조화: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의 대립
② 장모음과 단모음의 대립
③ 어두자음군 회피현상: 유음, 자음군의 회피(중세국어는 예외적임)
④ 자음, 모음 교체가 없다(문법적 기능이 없다)
⑤ 첨가어로서 교착성을 가지고 있다. 체언과 조사, 어간과 어미
⑥ 어순이 주어 + 목적어 + 서술어이다.
⑦ 관계대명사와 접속사가 없으며, 용언의 부사형으로 그 기능을 한다.
3) 알타이제어와의 비교
강세접미사:감다-감치다 복수접미사:사람-사람들
4) 국어의 형성
한민족의 형성과정: 고아시아어족(예맥족) 아시아 내륙에 살고 있던 선주민이 고아시아어족이 다른 지역의 주민들과 혼혈지역화된 곳이 퉁구스족이고 이들이 만주, 한반도 일대에 지역화한 것이 예맥퉁구스이며 이 예맥이 남하한 것이 삼한의 한족이다.
고대한반도의 언어:<三國志 魏誌 東夷傳>
5) 국어의 형성과정
포페: 알타이조어에서 분화되어 원시한국어에서 국어로 형성되었다는 설
이기문: 고구려 계통의 북방계와 삼한 게통의 남방계 언어가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어로 형성되어 지금의 국어로 발전하였다는 설
알타이조어(터어키어,몽고,퉁구스 공통어) 부여 한 공통어(원시 부여어,
원시한어)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 , 중세국어
알타이조어 원시한어 고대국어 신라어(가야어,백제어,고구려어)
중고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 현대국어로 발전
백제어: "王姓夫餘氏 號於羅瑕 民呼爲腱吉支 夏言幷王也"
"腱吉支" : 한반도에서 왕을 지칭하는 동일 명칭이다.
고대국어: 삼국시대 초부터 통일신라말(935)까지 약 천 년에 달하는 동안의
국어(삼국사기, 삼국유사등 의 문헌)
1. 고구려와 신라, 백제어의 관계
고구려: 삼국사기 지리지의 고유명사 표기(음독,훈독명)
예) 水谷城縣 一云旦忽, 兎山郡本高句麗烏斯含達縣
功木達 一云熊閃山, 赤城縣本高句麗沙伏忽
한계와 부여계의 두 계통의 말이라 보기에는 증거자료가 부족하다. 방언적 차이의 언어이다. 다른 언어층이 있었다고 추정된다.
2. 신라어
1) 표기법과 자료
서기체표기: 한자를 우리말 순서로 배열하는 것(임신서기석)
이두체표기: 문법형태소를 넣어서 문맥을 분명히 함:남산신성비
향찰식표기: 어간을 훈독, 문법소는 음독표기를 원칙으로 함: 향가
신라어의 자료
㉠ 삼국유사, 균여전의 향가 25수, 삼대목
㉡ 인명, 지명, 관명: 삼국사기지리지
2) 신라어의 음운 및 문법
㉠ 모음체계: 7모음체계
㉡ 평음과 유기음의 대립, 된소리계열은없음(/b/,/s/의 약화탈락 없음)
㉢ 격조사: 주격(是,伊), 목적격(乙,入), 속격(矣,衣), 도구격(留)
㉣ 관형사형어미: 沙是八陵隱, 去隱春
㉤ 명사형어미: 岳音(오름), 菓音(열름), 誓音(다짐)
㉥ 시제: 去乃尼古, 何如爲理古
3) 신라어 낱말과 한자어 침투
경덕왕(35대): 고유명사의 개명
3. 中古國語:고려부터 14세기 말까지의 국어
언어의 중심이 경주에서 개성으로 옮겨졌다. 개성방언에는 고구려의 저층에 신라의 방언적 요소가 융합되어 형성된 언어이며 이를 근간으로 중세국어가 형성되고 근대국어로 이어져 오늘의 국어로 발전하였다.
4. 차용어 표기법
㉠ 계림유사: 송의 손목(奉使高麗國信書狀官)의 편찬(어휘 365개)
예) 雲曰屈林, 犬曰家稀, 花曰骨 등
㉡ 향약구급방: 가장 오래된 의학서적(동물,식물, 광물의 이름 등을 수록함)
예) 鹿角 沙參矣角, 麥門冬 冬沙伊
㉢ 악학궤범, 악장가사:고려가요 30여 수
5. 음운체계
㉠ 자음체계: 된소리체계의 확립, 어두자음군의 형성(후기:어중모음탈락현상)
㉡ /Z/, / /등의 존재(四十曰大麻忍)
6. 중세국어: 15세기 초부터 임진왜란까지 약 200년간의 국어
국어사의 시대구분은 왕조사나 사회변혁 등 언어 외적인 요소를 근거로 할 수 없다. 언어 자체의 변천 모습을 근거로 시대구분을 해야 한다. 조선건국을 전 후로 언어애 변화가 있었고 임진란도 물질적, 정신적인 피해를 주었고 언어현상에도 어떤 변화를 주었을 것이다.
1) 훈민정음의 창제
훈민정음의 창제의 의의: 언어의 변혁은 아니지만 언어의 여러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와 체계
'훈민정음': 문자이름, 책이름,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원리
기본자음: 상형설 + 가획의 원리
기본모음: 상형설(천지인) + 주역사상
연서법, 부서법, 병서법, 종성부용초성(3분법), 방점(초분절음소)
2) 중세국어의 음운체계:용비어천가,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능엄경
언해, 내훈, 두시언해
자음체계: 소실음가의 문제, 거센소리의 문제, 된소리의 문제
모음체계: 7모음체게(' '의 문제:이중모음, 삼중모음의 문제)
운소체계: 성조의 유무, 중세국어와 근대국어를 가르는 근거 굴곡조를 지닌
수평조직언어:평성,상성,거성,입성
3) 음운체계의 변천: 음운의 변천이란 음운체계의 변천을 의미하는데, 여러 음소가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므로 하나의 변화현상은 구조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 자음체계의 변천: 22자음체계 19자음체계 / ,h,Z/음의 소멸
㉡ 어두자음군의 소멸: 'ㅅ'계의 된소리로 통일됨
㉢ 된소리의 발생: 18세기 중엽에 완전히 된소리로 바뀜
㉣ 모음체계의 변천: ' '의 소멸(18세기, 19세기) '애,에,외,위'(단모음)
㉤ 음소연결방식의 변천
① 근대국어: 원순모음화,구개음화
② 중세국어: 모음조화, 8종성법
4) 문법과 그 변천
1. 조어법
파생법: 어근에 파생접사가 붙어 새로운 낱말을 만드는 방식
합성법: 두 어근을 결합하여 새로운 낱말을 만드는 방법
음운교체법: 의성어나 의태어를 만드는 방식(구물구물, 쿵덕쿵덕)
2. 준굴곡법: 체언에 조사가 붙어 어형변화를 하는 것
㉠ ㅎ 종성체언: 갈, 나라, 시내 등 100여 개의 어휘
㉡ ㄱ 곡용체언: 나모, 구무, 녀느, 불무
㉢ 조사의 종류: 모음조화의 적용(주격,목적격,접속, 호격조사 등)
3. 굴곡법:용언에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꼴바꿈하는 현상
㉠ ㄱ첨가: ㄱ이 덧나는 현상
㉡ 종결법: 서술, 의문, 명령, 청유, 응락법
㉢ 의도법: 삽입모음, /오,우/:주어가 1인칭일 경우(의지나 가능)
㉣ 존대법: 주체, 객체,상대존대선어말어미
㉤ 시제: 비종결어미
7. 근대국어: 임진한부터 갑오경장까지의 약 300년간의 국어
근대국어의 자료적 특징: 노걸대언해, 몽어노걸대, 첩해신어 등 번역류
중간본, 개간본, 복각본(중간두시언해)
1) 음운 및 문법적 특징
㉠ ' '의 소멸: 후설모음이 많은 불균형의 타파로 인함
㉡ '애,외,에, 위'의 단모음화 현상 단모음의 증가, 중모음의 감소
㉢ 구개음화: 17세기 말엽부터 구개음화현상이 일어남
㉣ 원순모음화: 므지개 무지개, 플 풀
㉤ 주격조사 '가'의 출현: 16세기 문헌 ∼ 17게기 문헌에 일반화가 됨
8. 현대국어: 갑오경장 이후의 언어: 국어에 대한 자각으로 언문을 국문, 한글 이라 부르게 됨. 국문연구소의 설립, 문법서제작,독립신문, 가정잡지(家庭雜誌)의 편집. 언문일치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 최남선, 이광수에 의한 문학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