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제원표는 해외 이륜차 잡지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국내 이륜차 카다로그에는 나오지 않은 항목도 이륜차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간략히 설명토록 한다.
④ 건조중량 이라고도 표기하는데 휘발유, 엔진오일등을 넣지 않은 상태의 차량 그 자체의 상태를 말한다. 실제로 주행할때의 상태 즉, 휘발유, 오일, 냉각수등이 들어간 상태를 차량중량 또는 장비중량이라고 한다. 그리고 때로는 총중량이란 말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운전자의 무게와 동승자의 무게를 더한 것이다. (1人을 60㎏으로 간주)
⑥연비(연료소비율)는 시속50㎞로 정속주행할 때 소비되는 연료의 양 또는 일정량의 연료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로 나타낸다.그러나 실제 연비는 신호대기 라든가 정체된다든가 속도가 가감속 됨에 따라 많이 소모되므로 표시된 수치의 1/2정도 라고 생각하면 틀림이 없다.
주 요 제 원 |
|||||
외 |
전량*전폭*전고 |
① 2000*700*1105㎜ |
동 |
크러치형식 |
⑮ 습식다판 |
축간거리 |
② 1370㎜ |
트랜스밋션 |
16) 상시치합 6단리턴 |
||
최저지상고 |
③ 135㎜ |
1차감속비 |
17) 2.257 |
||
차량중량 |
④ 128㎏ |
2차감속비 |
18) 3.615 |
||
승차정원 |
⑤ 2人 |
캐스트각 |
19) 26° 00' |
||
성 |
연료소비율 |
⑥ 49.1㎞/ℓ(50㎞/n) |
트레일 |
20)103 |
|
제동정지거리 |
⑦ 14.0m |
타이어사이즈(앞) |
21) 100/80~-17 52H |
||
최소회전반경 |
⑧ 2.8m |
타이어사이즈(뒤) |
22) 130/70-17 62H |
||
원 |
총배기량 |
⑨ 248cc |
전 |
점화방식 |
23) CDI |
외경*핸정 |
⑩ 49.0*33.0㎜ |
밧데리용량 |
24) 12V .9AH |
||
압축비 |
⑪ 12.5 |
기 |
연료탱크용량 |
25) 14ℓ |
|
최고출력 |
⑫ 45ps/14500rpm |
엔진오일용량 |
26) 2.6ℓ |
||
최대토르크 |
⑬ 25㎏.m/10500rpm |
스파크블러그 |
27) BPR6HS |
||
윤활방식 |
⑭ 압송식 |
타이어마모한도 |
28) 전:0.8
(1.6)㎜ |
||
|
|
|
체인유격 |
29) 15~25mm |
⑨ 총배기량은 실린더 반지름의 제곱×원주율(π)×스트로크×실린더의 수로 계산한다. 표의 배기량을 구해보면 24.5×3.14×33×4= 248.8cc
⑩
내경×행정(BORE×STROKE)실린더의 직경과 피스톤이
상하로 움직이는 거리의 치수 내경에 비해 스트로크가 긴
엔진을 롱 스트로크 엔진이라고 부르는데 중·저속에서
큰 힘을 발휘하는 특성이 있다. 반대로 스트로크가 내경에
비해 짧은 것을 숏스트로크 엔진이라고 하며 고속형엔진으로
흔히 말하는 “R차”에 적용되는 엔진이다.
⑪ 압축비는 연소실과 피스톤이 하사점에 있을 때의 실린더 내부체적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압축비가 높으면 높을수록 혼합기가 많이 압축되어 연소되기 때문에 높은 연소 효율을 얻을 수 있다.
⑫ 최고출력: PS라고 표기하며, 단위시간 내에 얻어지는 일의 양을 나타내는데 마력이라고 한다.엔진회전수가 몇 RPM일때 최고의 일을 하는가를 나타낸다.
⑬ 최대토르크:연소실내에서 혼합기의 연소에 따라 피스톤이 받는 힘(㎏)과 크랭크샤프트 회전반경(m)을 곱한 수치.
⑮ 클러치 형식:엔진의 동력을 드라이브 스프로켓에 전달하는 장치, 오일에 담긴 상태의 습식클러치와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는 건식클러치로 나눈다 일반적으로 시동되고 있는 습식다판 클러치는 오일에 담겨져 있는 여러장의 원판이 겹쳐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19) 캐스트각:스티어링 헤드파이프의 중심선과 지면에서 수직으로
연장한 선과의 각도를 나타낸다. 이 각도가 크면 클수록
프론트 쿠션이 눕게 되어 직진성은 좋아지지만 반대로 고속주행의
방향 전환이 어렵게 된다.캐스트각이 적으면 캐스트가 서있다는
표현을 하며 고속주행의 방향 전환이 쉽다. 직진성능을
중시하는 커스텀 스타일의 경우 28°정도가 적당하며
운동성을 중시하고 로드레이싱 차량의 경우 25°이하로
설정한다.
20) 트레일: 앞바퀴를 옆에서 보면 스티어링 헤드파이프의 중심선이 노면에 닿는 시점과 타이어의 중심선이 수직으로 노면에 닿는점의 거리를 나타낸다. 트레일이 길면 길수록 직진성은 좋아지지만 핸들조작은 무겁게 된다. 즉, 핸들 조작의 용이성은 캐스트 각 만 영향이 있는 것이 아니라 프론트휠의 직경에도 영향이 있다는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