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대사량의 측정 방법
기초대사량의 측정은 하루에 에너지를 얼마나 쓰느냐를 계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의 에너지 대사(Metabolism)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해 줍니다. 기초대사량은 사람마다 틀립니다. 그 이유는 사람마다 키, 체중, 나이, 성별, 활동 정도, 식생활이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수식으로는 키, 체중, 나이, 성별을 통한 기초대사량의 평균 수치를 알 수 있게 합니다.
- 일반적인 기초대사량 구하기- Harris-Benedict Equation(BEE)방법
- 남자 : 66.47+13.75 X 체중+5 X 키 - 6.76 X 나이
- 여자 : 655.1+9.56 X 체중+1.85 X 키 - 4.68 X 나이
- 기계로 기초대사량 측정하기
측정은 아침 공복에 30분 동안 침대에 누워서 안정을 취한 후 가스호흡분석기에 측정합니다. 이는 현재 그 사람의 기초대사량을 가장 근접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기초대사량은 성별·나이에 따라 다르고 식습관이나 활동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통 여성보다 남성쪽 평균 9% 정도 기초대사량이 높고, 성인보다 성장기일 때가 더 높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기초대사량은 점점 감소합니다.
기초대사량 내리기 vs 올리기
나이가 들면서 성장기 때 최고로 높던 기초 대사량은 성인이 되어서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줄어듭니다. 그래서 나이 살이 찌는 것에도 기초 대사량은 관여하게 되지요. 즉, 별로 많이 먹지도 않는데, 살이 자꾸 찐다는 중년 여성들의 경우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러나 나이라는 요인은 우리 힘으로 어떻게 해볼 수 없지만, 식생활 개선이나 운동을 통해서는 충분히 기초대사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