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 열 |
요구되는 적성 | |||
흥미, 자질, 성격 |
능 력 | |||
문과 |
인문계열 |
어학계열 |
|
언어능력 |
인문과학계열 |
|
창의력, 탐구력 | ||
사회계열 |
상경계열 |
|
대인관계능력, 리더십, 분석력, 정보수집능력 | |
법정계열 |
|
분석력, 종합력, 비판력, | ||
사회과학계열 |
|
이해력, 분석력, 실천력 | ||
이과 |
자연계열 |
이학계열 |
|
추리력, 사고력, 통찰력, 분석력, 관찰력, 논리력 |
가정계열 |
|
| ||
농학계열 |
|
| ||
해양・수산계열 |
|
| ||
공학계열 |
공학계열 |
|
응용력, 논리력, 실천력, | |
의약계열 |
의・약학계열 |
|
분석력, 사고력, | |
예・체능계열 |
예술계열 |
|
관찰력, 사고력, 창의력, 인내력 | |
체육계열 |
|
체력, 정신력, 사고력 | ||
문, 이과 |
교육계열 |
사범계열 |
|
인내력, |
<적성유형에 따른 관련된 직업과 전공계열은?>
적 성 |
의 미 |
관련 직업 |
전공 계열 |
언어능력 |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단어 선택, 어휘 연상, 문장 이해, 의사 발표 능력 |
사회과학 연구가, 평론가, 논설위원, 판사, 검사, 아나운서 |
인문, 사회, 교육계열 |
계산력 |
정확하고 빠르게 계산하는 능력 |
사무계통 직업, 전자계산 관련 직업 |
자연, 공학 계열 |
추리력 |
원리를 추구하고 응용하는 능력 |
자연과학자, 사회과학연구가, 판사, 검사, 경찰, 소설가 |
인문, 사회, 자연, 공학 계열 |
기계추리력 |
각종 기계 기구의 물리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추리하는 능력 |
토목기술자, 기계기술자, 각종 공학 시설 관리직 |
자연, 공학 계열 |
척도해독력 |
척도, 그래프, 차트, 계기판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읽는 능력 |
공학, 화학, 생물, 수학, 의학 등의 과학 분야와 기술 분야 |
자연, 공학, 사회, 의약 계열 |
수공능력 |
예민한 운동감각, 유연성, 순발력 |
정밀기계 조립, 악기연주, 공예 |
예체능 계열 |
기억력 |
복잡한 자료나 항목들을 분류하고 암기하는 능력 |
사무원, 안내원, 비서, 판매원 |
인문, 사회, 교육, 의약 계열 |
사무지각능력 |
문자나 기호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식별하는 능력 |
전자계산 계통, 사무직, 회계사 |
사회 계열 |
공간지각능력 |
입체적 공간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으로, 실제 물체를 회전하거나 분해했을 때의 형태를 상상하는 능력 |
제도, 설계, 건축, 미술, 도형계산 등 입체구성 능력을 요구하는 직업 |
자연, 공학, 예체능 계열 |
형태지각능력 |
실물이나 그림의 형태를 정확하고 재빨리 파악하는 능력 |
설계, 제도 등의 사무 분야와 도안, 디자인 등의 응용 미술 분야 |
예체능, 공학 계열 |
<기업이 바라는 대학 교양교육 과정>
순위 |
|
비율 |
필요 능력 |
순위 |
|
비율 |
필요 능력 |
1 |
PC활용 |
42.8 |
|
11 |
대인관계 |
29.0 |
친화력, 정치력 |
2 |
기획문서작성 |
42.0 |
기획력, |
12 |
문제해결기법 |
21.7 |
분석력, 계산력 |
3 |
영어 |
41.3 |
|
13 |
자기관리법 |
21.7 |
정신력, 인내력 |
4 |
프리젠테이션 |
38.4 |
표현력, 기획력 |
14 |
리더십 |
21.0 |
지도력 |
5 |
비즈니스예절 |
38.4 |
친화력, 인성 |
15 |
프로젝트 수행 |
17.4 |
실천력 |
6 |
가치관 |
36.2 |
가치관, 인성 |
16 |
현장실습 |
15.9 |
경험 |
7 |
기업실무 |
32.6 |
실천력 |
17 |
경제학 |
14.5 |
통찰력, 계산력, |
8 |
경영학 |
32.6 |
조직력, 사고력, 분석력 |
18 |
제2외국어 |
13.0 |
|
9 |
창의적사고력 |
31.9 |
창의력, 사고력 |
19 |
경영철학 |
9.4 |
|
10 |
커뮤니케이션 능력 |
29.0 |
친화력, 경쟁력 |
20 |
한자 등 |
9.4 |
|
✱ 자료원 교육인적자원부, 2003.
<문제해결을 위한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
의사결정 과정 |
필요한 능력 |
1. 문제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의 |
통찰력, 직관력, 사고력 |
2. 대체안의 탐색 |
창의력, 추리력, 관찰력 |
3. 관련정보의 수집 |
정보수집능력, |
4. 정보의 분석과 평가 |
분석력, 계산력, 비판력 |
5. 최적 대체안(계량위주)의 선택 |
판단력 |
6. 질적인 사항 고려 |
|
7. 최종 결정 |
|
8. 실행 |
실행력(실천력) |
통찰력(洞察力) : 물이나 현상, 문제의 본질을 꿰뚫어보는 힘.
‘통찰(insight)’ 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앞으로 벌어질 결과를 폭넓고 깊이 있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힘. 통찰은 본질을 꿰뚫어보게 하는 능력. 공공연한 시행착오나 시험행동 없이 일어나는 즉각적이고 분명한 지각이나 이해. 감추어진 핵심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일. 통찰이란, 표면 아래 숨어 있는 진실을 발견하는 것.
<통찰의 3단계> 1단계 - 구체적으로 문제를 정의하라.
2단계 - 정확한 의도를 가지고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라.
3단계 - 가용 지식을 재조직하라.
창의력(創意力) : 새롭고 유용한 가치를 만들어내는 능력.
‘창의’란 이질적인 정보와 물질을 지금까지 없던 방법으로 결합하여, 새롭고 가치있는 것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남들과 다르게 할 수 있는 역량, 그것은 바로 차별화된 역량이다. 이 차별화를 더욱 값지게 하는 데 결정적으로 도움을 주는 역량이 바로 ‘창의력’이다.
<창의력의 구조>
유창성(Fluency) - 하나의 단서를 잡아 유사한 것으로 확산해가는 성향.
유연성(Flexibility) - 남들과 전혀 다른 수준의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는 능력
독창성(Originality) - 타인이 아직 구현하지 않은 형태의 아이디어를 남보다 먼저 내놓는 능력
민감성(Sensitivity) - 세상의 흐름에 대한 기획자의 감각
집중력(集中力) : 마음이나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힘.
집중이란 : 의식상태에 있는 마음을 한 곳에 붙들어 매어 놓는 행위.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집중의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한다.
방법 : 숨에 마음을 집중해서 하나...둘...
|
|
능력 (能力) |
일을 감당해 낼 수 있는 힘. 개인적 측면 ----- ➀ 知的 능력 / ➁ 創意的 능력 / ➂ 情緖的 능력 사회적 측면 ----- ➃ 社會的 적응 능력 |
|
|
인성 (人性) |
1 사람의 성품. 2 각 개인이 가지는 사고와 태도 및 행동 특성. |
|
|
적성 (適性) |
어떤 일에 알맞은 성질이나 적응 능력. 또는 그와 같은 소질이나 성격. |
|
|
지성 (知性) |
1 지각된 것을 정리하고 통일하여, 이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인식을 낳게 하는 정신 작용. 넓은 뜻으로는 지각이나 직관(直觀), 오성(悟性) 따위의 지적 능력을 통틀어 이른다. 2 새로운 상황에 부딪혔을 때에, 맹목적이거나 본능적 방법에 의하지 아니하고 지적인 사고에 근거하여 그 상황에 적응하고 과제를 해결하는 성질. |
|
|
이성 (理性) |
1 개념적으로 사유하는 능력을 감각적 능력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별시켜 주는 인간의 본질적 특성이다. 2 진위(眞僞), 선악(善惡)을 식별하여 바르게 판단하는 능력. 3 절대자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능력. |
|
|
감성 (感性) |
1 극이나 자극의 변화를 느끼는 성질. 2 이성(理性)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외계의 대상을 오관(五官)으로 감각하고 지각하여 표상을 형성하는 인간의 인식 능력. |
|
|
개성 (個性) |
다른 사람이나 개체와 구별되는 고유의 특성. |
|
|
인생관 (人生觀) |
1 인생의 의의, 가치, 목적 따위에 대한 관점이나 견해. 2 인생의 의의, 가치, 목적 따위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전반적인 사고 체계. 인생에 대한 관념 또는 사상적 태도로서 어느 정도 각 개인의 경험이나 성격에 의하여 결정되며, 반성과 논리적 세련이 가해질 때 통일적으로 체계화된다. |
|
|
가치관 (價値觀) |
1 가치에 대한 관점. 2 인간이 자기를 포함한 세계나 그 속의 사상(事象)에 대하여 가지는 평가의 근본적 태도이다. |
|
|
직업관 (職業觀) |
직업에 대하여 가지는 생각이나 태도. |
|
|
성격 (性格) |
1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질이나 품성. 2 어떤 사물이나 현상의 본질이나 본성. 3 환경에 대하여 특정한 행동 형태를 나타내고, 그것을 유지하고 발전시킨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체계. 각 개인이 가진 남과 다른 자기만의 행동 양식으로, 선천적인 기질과 후천적인 영향에 의하여 형성된다 |
|
|
흥미 (興味) |
1 흥을 느끼는 재미. 2 어떤 대상에 마음이 끌린다는 감정을 수반하는관심. |
|
|
소질 (素質) |
1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성질. 또는 타고난 능력이나 기질. 2 육체적·정신적 기능이나 상태 따위의 본능적·선천적 경향. 또는 그런 태도. |
|
|
자질 (資質) |
1 타고난 성품이나 소질. 2 어떤 분야의 일에 대한 능력이나 실력의 정도. 3 타고난 체질. |
|
|
직업 (職業) |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하여 종사하는 일. |
|
|
일 |
1 무엇을 이루려고 어떤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몸을 움직이거나 머리를 쓰는 활동. 또는 그 활동의 대상. |
<경북고등학교 교훈>
1. 아는 사람 2. 생각하는 사람 3. 행하는 사람
<인간의 능력을 이렇게 구분해 볼 수 있을까 ...>
- 인식하고(인식단계) ➙ 생각하여 판단하고(사고단계) ➙ 행동한다(행동단계).
|
認識 단계 |
思考 단계 |
行動 단계 . . . (표현) | |||
신체 관련 |
개인적 行動 능력 |
관계적 行動 능력 | ||||
狀態 |
活動 | |||||
능력(能力) |
상상력 구상력 창의력 독창력 통찰력 직관력 선견력 관찰력 탐구력 기억력 지각력 (공간지각능력) (사무지각능력) (형태지각능력) 집중력 |
논리력 기획력 추상력 추리력 이해력 분석력 분별력 통합력 판단력 사고력 비판력 계산력 독해력 암기력 |
체력 시력 청력 기력 근력 정력
|
활동력 순발력 기동력 적응력 파괴력 지구력 근지구력 가창력 |
표현력 결단력 결정력 실천력(실행력) 인내력 정신력 진취력 극기력 연기력 기술력 |
지도력(리더십) 통솔력 추진력 조직력 친화력 응집력 변형력(응력) 영향력 지배력 정치력 권력 포용력 문제해결능력 |
성격(性格) |
지성 창의성 독창성 |
이성 감성 논리성 합리성 유연성(정신) 진실성 일관성 경직성 적극성 |
|
|
적성 계획성 진취성 결단성 유연성(신체) 민첩성 성실성 |
적응성 |
미 분류 |
어휘력, 경제력, 상승력, 수비력, 실력, 학력, 경력, 잠재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 |||||
인성, 개성, 유사성, 안전성, 안정성, 조심성, 정체성, 생산성, 명료성, 구체성, 가능성, 실용성, 주관성, 객관성, 보편타당성, 현실성, 적응성, 관련성, 적합성, | ||||||
잘못된 표현 |
파악력, 인지력, 학습력, 청취력, 수리력, 응용력, 논리력, 문제해결능력, 교섭력, 인화력, |
<기획을 잘 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역량>
기획(企劃) : 일을 꾀하여 계획함.
‘바라는 바, 즉 목적달성을 위해 생각하고 연구하며, 마무리하고 선택하는 행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what), 어떻게(how) 할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찾는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