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포트포워딩에 대해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본 설명에 사용된 그림의 공유기는 IPTime Q204 유선공유기 입니다.
저는 무선연결은 사용하지 않기에, 유선전용으로만 사용합니다.^^
1.포트포워드
요즘 많은 사람들이 공유기를 사용하여, 여러대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있습니다.
내부컴끼리는 별 문제가 없으나, 외부에서 접속시 문제가 발생합니다.
공유기를 사용한다는 것은, 1개의 공인아이피를 여러 사설아이피(192.168.~~)로 나누어 사용한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때는 1개의 공인아이피만을 인식하고, 그 아이피로 연결을 시도하게 되는것이지요.
헌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1개인줄 알고, 들어오던 패킷이 , 들어와보니 내부에 여러대의 컴이 있다는것을 알고는
어디로 가야할줄 모르고, 방황하다(?)가, 다시 돌아가게 되는것입니다.
포트포워딩이란, 이와같이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는, 패킷을 지정 컴퓨터로 안내하는 통로를 만들어 준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울것입니다.
2. 용어
시중에 나와있는 공유기마다, 사용하는 용어가 상이할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드 설정 또는 가상서버설정 등 으로 명명되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각자의 공유기 매뉴얼을 참조하시어 착오없으시길 바랍니다.
3. 공유기설정창 접속.

1.위 그림은, 브라우저 주소표시줄에 192.168.0.1 입력, 엔터를 쳤을때 나온 설정초기화면입니다.
2.관리도구를 클릭합니다.
참고 ] 여기서 192.168.0.1은 공유기설정에 접속하기 위한, 공유기에 할당되어있는 아이피입니다.
공유기마다 이 또한 상이할수 있으니, 각자의 공유기 매뉴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개는 192.168.0.1 , 혹은 192.168.10.1, 192.168.10.100 등으로 되어있을겁니다.
공유기 관리도구 메뉴그림

관리도구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관리화면창이 열리게 됩니다.
1.고급설정 - 포트포워드 설정을 선택합니다.
2.우측화면에서 빈칸에 입력하면 됩니다.
ㄱ. 규칙이름 : 임의로 알기쉽게 입력합니다. 예) NQVM
ㄴ. 연결할 내부아이피 주소를 직접입력하거나, 옆의 라디오버튼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입력되게 합니다.
=> 여기서 내부아이피 주소란, 설정할 포트로 들어오는 패킷을 받을 컴퓨터의 아이피를 말합니다.
ㄷ. 외부포트 : 8887-8891 를 입력합니다.
=> 외부포트와 내부포트가 동일할때는 외부포트만 입력해도 됩니다.
3.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설정합니다.
4. 반드시 " 설정저장" 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참고]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메뉴는 기본설정 그대로 놔두고, 입력하면 됩니다.
결론
NQVM은 8887-8891 의 포트를 사용합니다.
이제 위와같이 8887-8891포트를 192.168.0.3 컴에 연결되도록 설정했다면,
NQVM은 기본으로 뷰어 나 서버 모두 8888 포트로 설정되어있으므로, 공유기는 들어오는 패킷을
지정 192.168.0.3 컴으로 안내하여, 연결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같은 방법으로 기타 다른 사용포트를 개방해주시면 됩니다.
기타사항
타 공유기를 사용하는 분들은 위 그림과 다를수있습니다.
허나, 방법은 모두 비슷하며, 그 설정의미는 동일합니다..
그리고 공유기를 사용시, 윈도우방화벽은 사용안함으로 해두어도 무방합니다.
이미 공유기에서 개방해놓은 포트외에는 모두 막아, 이또한 방화벽역활을 한다고 보면됩니다.
이상으로 공유기 포트포워딩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모든것이 그렇치만, 모르면 어렵고, 알면 또 이것보다 쉬운게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