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향기로운 불교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반야심경/반야경 해설 3. 破邪分 3. 파사분 / (1)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백우 추천 1 조회 556 10.03.09 09:49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0.03.09 10:10

    첫댓글 이 부분은 지난 번 올린 바 있으나 대폭 수정하여 올렸습니다. 왜냐하면 색을 물질로 파악하여 왔으나 최근 색을 단순히 물질로만 해석하는데는 문제가 있음을 느꼈기 때문에 수정한 것입니다. 널리 양해 하시고 다시금 새롭게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_()_

  • 10.03.09 10:44

    일찌감치 부처님은 과학적인 눈으로 바라보셨네요. 감사합니다. ^-^ _()_

  • 작성자 10.03.11 10:05

    잘 이해가 되셨는지요? 색즉시공 공즉시색에 대하여 색을 분석적으로 보아 공인 것이 아니라 색 저대로가 공이요 공이 곧 색인 것입니다. 이 이치를 바로 알아야 합니다. ^-^ _()_

  • 10.03.09 11:01

    반야심경에 부처님께서 설하신 모든 사상이 아우러져 있다고 하니, 그 내용이 심오하고 방대하여, 몇마디로 설명하기는 쉽진 않을 겁니다. _()_

  • 작성자 10.03.11 10:07

    심오합지요. 시간을 내서 이에 대하여 진지하게 들을 준비가 되어 있으면 법우님들과 함께 논의해 보고 싶은 것이 사실입니다. ^-^ _()_

  • 10.03.10 00:06

    공이란 어떤 단순한 내용을 말하는것이 아니고, 있는 현상과 없는 형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면 서도 이러한 유와 무의 세계를 초월한 내용이 공 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자꾸만 어려워 지는 공부 그래도 열심히 해야지요....나무묘법연화경()()()

  • 작성자 10.03.11 10:11

    예, 공이란 없다는 말이거나 허무하다는 말이 아닙니다. 자성(自性)이 없다는 말입니다. 자성이 없다는 것은 연기(緣起)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 _()_

  • 10.03.12 07:20

    저는 긴 글을 읽기도 어려운데 해석하시느라 수고 하셨습니다,,,저는 그냥 무슨 말인지도 모르고 좋은 말이려니 하고 계속 쓰기만 했더니 조금씩 뜻을 알아가니 더욱 마음이 차분해 지네요.

  • 작성자 10.03.12 11:39

    예, 반야심경 속에 불교의 대의가 모두 깃들어 있습니다. 앞으로도 자주 살펴 주세요. 감사합니다. ^-^ _()_

  • 10.05.07 11:35

    백우님의 공부는 상당히 객관인적인 것으로 느껴집니다. 얼마나 많이 하셨기에... 덕분에 초심자인 저는 쉽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공부는 色卽無我이군요? 색은 곧 自性이 없는 것, 대상성이고, 마음작용이고, 고정적, 불변적인 실체로서의 我가 없는 것... 저는 마음속의 필름으로 이해하고 싶습니다. 나무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_()_

  • 작성자 10.05.07 11:45

    예, 감사합니다. 이 부분은 반야심경을 이해하시는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부분을 지나시면 좀 수월하실 겁니다. 반야심경은 워낙 기본교리를 많이 깔고 있어서 좀 어렵습니다. ^-^ _()_

  • 11.11.26 18:50

    감사합니다.^.^ _()_

  • 12.07.16 17:53

    다시금 공부 하고 갑니다....나무묘법연화경()()()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