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대경 십일회 원문보기 글쓴이: 筆峰 김성묵
※ 지방 쓰는 법 |
*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는 사람도 있다. 지방을써서 제사후 소각을 해야한다 |
* 지방은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크기는 22cm*6cm로 한다. |
* 남자 지방의 경우 중간에 학생(學生)이라고 쓰며, 벼슬이 영의정 이라면 그대로 |
(정일품 영의정) 이라고 학생 대신에 쓰면된다. |
부인의 경우는 보통 유인(孺人) 이라고 쓰나 이 경우는 孺人 대신 정경부인(貞敬夫人) 이라고 쓰면 된다. |
* 남자지방의 고(考)는 부(父)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父라고하고 사후에는 考라고 한다. |
여자의 경우 비 는 모(母)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母 라고하며 사후에는 비 라고 한다. |
* 여자의 경우 孺人 다음에 본관성씨를 쓴다. |
* 양위 지방일 경우에는 좌측에 남자, 우측에 여자 지방을 쓴다. |
삼위의 경우에는 좌측에 남자지방 중앙에 본비의 지방 우측에 후처의 지방을 쓴다. |
사진으로 제사을 지내면 영혼이 사진에 집착하는수가 있다고 하니 지방써서 소각 해주는 것이 원칙이다 |
지방쓰는 법 제사를 모실 때 고인의 신위를 표시하기 위하여 생전에 만들어 두었던 사진을 쓰기도 하고 지방을 쓰기도 한다. 지방 접는 법 규격이야 정해진 크기가 없지만 가장 보기 좋은 크기로 만들어지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만들면 된다.
1. 한지를 가로24cm, 세로34cm의 직사각형이 되도록 자른다.
지방쓰는 법 한문으로 지방을 쓸때에는 여러가지 규칙이 있다.
위패을 접는것이 용이하지 안으니 절에와서 배우세요..... |
고조 |
증조 |
조부모 |
부모 |
백부모 | |||||
현顯 고高 조祖 고考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
현顯 고高 조祖
비妣 유孺 인人 안安 동東 권權 씨氏
신神 위位 |
현顯 증曾 조祖 고考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
현顯 증曾 조祖 비妣 유孺 인人 안安 동東 권權 씨氏
신神 위位 |
현顯 조祖 고考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
현顯
조祖 비妣 유孺 인人 안安 동東 권權 씨氏 신神 위位 |
현顯
고考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
현顯 비妣
유孺 인人 안安 동東 권權 씨氏
신神 위位 |
현顯 백伯 부父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
현顯 백伯 모母
유孺 인人 안安 동東 권權 씨氏
신神 위位 |
남편 |
처 |
동생 |
형님 |
자식 |
현顯 벽壁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위 |
고故 실室 유孺 인人 경慶 주州 김金 씨氏 신神 위位 |
망亡 제弟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
현顯 형兄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
망亡 자子 수秀 재才 이李 길吉 동童
신神 위位 |
조 부 |
부 모 |
부 모 |
| ||
|
현顯 현顯 고考 비? 병辯 국國 호護 회會 사士 의議 원員 전全 부府 주州 군君 이李 씨氏
신神 신神 위位 위位
|
현顯 현顯 고考 비? 부釜 교敎 산山 사師 대大 학學 김金 교校 해海 교敎 수授 김金 씨氏
신神 신神 위位 위位
|
1 한글지방쓰는법
조부모 부 모 부 모 부 모 높 높 으 으 신 신 조 할 부 머 님 님 한 양 경 대 기 학 도 교 수 도 수 지 원 사 백 씨 신 신 위 위 높 높 으 으 신 신 아 어 버 머 님 님 부 산 경 동 주 구 김 청 씨 장 신 신 위 위 높 높 으 으 신 신 아 어 버 머 님 님 부 산 경 시 주 의 김 원 씨 신 신 위 위 높 높 으 으 신 신 아 어 버 머 님 님 부 선 산 생 동 경 구 주 청 김 장 씨 신 신 위 위
2 한글 지방쓰는법
남편 |
부인 |
부 |
모 |
훌 륭 하 신 옛 남 편 홍 길 님
신 위
|
훌 륭 하 신 옛 부 인 김 해 김 씨 영 순 신 위
|
훌 륭 하 신 옛 어 버 님 안 동 김 공
신 위
|
훌 륭 하 신 어 머 님
해 주 오 씨 영 순 신 위 |
한문지방 쓰느법
고조부 |
고조모 |
증조부 |
증조모 |
조부 |
조모 |
아버님 |
어머님 |
| |||
백부 |
백모 |
남편 |
처 |
형 |
형수 |
동생 |
자식 |
제사 절차
|
*** 명절 축문.. |
대개는 제사때는 축을 읽고 설이나 한가위 에는 축을 생략한다.
그러나 이왕 제사나 차례를 지내려면 반드시 축을 읽어야 할 이유가 있다.
즉 축은 누가 언제 무엇때문에 누구에게 제사를 지내는가를 말하는 것이므로 축문이 없는 제사는 지내나 마나 이다.
요즘 세상에 축을 읽는다고 혼령이 알아 듣는냐고 한다면 불교나 기독교등 종교행사도 할 필요가 없다.
축이란 조상 영과의 정신 감응이다.
그러니까 축을 읽으며 제사를 지내면 읽는 사람은 물론 여러 제관들의 마음속에서 조상의 영과 감응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들의 축은 어떻게 쓰고 읽을줄 모르니까 중국의 주자가 ??어놓은 주자가례(朱子家禮)대로 써 왔다.
물론 세종전 한글이 없었을때는 할수없이 그랬다 하더라도 세종이 한글을 만든 후에도 한자나 숭상하여 한자로 쓴 축만을 읽어 왔는데 ...
요즘 젊은이들은 이 한자를 모르니 아예 축을 읽지 않고 제사를 내낸다.
이에 우리말 한글 축문을 주자 가례에 가장 가깝게 번역하여 여기에 올리니 올 설날 부터는 많이 활용하여 이런것 부터 우리 근본을 찾자. |
때는 어느덧 2006년 병술년 정월초하루(8월명절) 설날이 되었습니다. 이에 효손 길동이는 감히 조상의 영전에 아뢰나이다. 높으신 증조할아버님 높으신 증조할머님 높으신 할아버님 높으신 할머님 훌륭하신 아버님 훌륭하신 어머님 해가 바뀌고 새해가 (8월명절)되니 높으신 조상님들을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
祖 父母 祝文 維歲次 丙戌年 六月 乙未 丙子朔 23日 甲子 孝孫 洪吉童 敢昭告于 顯祖考 學生府君 顯비孺人 江陵金氏 歲序遷易 顯祖考 學生府君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
조부모 기제사 축문 한글식 2006.병술년 모월 모일 효손 홍길동은 감히 고하나이다. 높으신 할머님 서울대학교 교수 김해 김씨 ... 해가 바뀌어서 할머니의(할아버님)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
父母기제사 祝文 維歲次 丙戌年 六月 乙未 丙子朔 23日 甲子 孝子 洪吉童 敢昭告于 顯考 學生府君 顯비孺人 江陵金氏 歲序遷易 顯考 學生府君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
부모 기제사 축문 한글식
2007.정해년 3월 5일 행효 정동근는 감히 고하나이다. 훌륭하신옛 수양어머님 수원 백씨 해가 바뀌어서 아버님(어머님)의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과 하늘 같이 크고 넓은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
3
男便 祝文 維歲次 丙戌年 六月 乙未 丙子朔 23日 甲子 主婦 洪吉順 敢昭告于 顯壁 金海 金公 吉童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感槍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
남편축문
2006.병술년 모월 모일 미망인 홍길숙은 감히 고하나이다. 해가 바뀌어서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
妻 祝文 維歲次 丙戌年 六月 乙未 丙子朔 23日 甲子 男便 洪吉童 敢昭告于 亡室 金海 金氏 歲序遷易 亡日復至 追遠感時 不自勝感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
처 축문 한글식 2006.병술년 모월 모일 효손 홍길동은 감히 고하나이다. 훌륭하신옛 부인 청송 유인 심영순 씨 해가 바뀌어서 부인청송 심씨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
兄 祝文 維歲次 丙戌年 六月 乙未 丙子朔 23日 甲子 孝弟 洪吉童 敢昭告于 顯兄 學生府君 歲序遷易 諱日復臨 情何悲痛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
형 축문 2006.병술년 모월 모일 효손 홍길동은 감히 고하나이다. 훌륭하신옛 형님 전주이공(公) 길 동 씨 해가 바뀌어서 형님의 제사날을 다시 맞으니 형제의 정으로 비통한 마음을 금치 못합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동생축도 상동) |
♣추석에 조상 제사축문 |
"때는 바야흐로 ○년○월○일 효자○○는 감히 돌아가신 조상님께 밝게 사뢰나이다. 이제 한가을이 되어 만물이 익어가기 시작합니다. 오곡백과가 풍요로우니 추모하는 마음 저하늘도 다함이 없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갖은 음식으로 정성을 다하여 드리오니 두루 흠향하옵소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