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마검(降魔劍)<구리가라(倶利加羅)>--부동명왕(不動明王)이 가진
악마를 항복시키는 검(劍)--
항마검은 세가지에 의미가 있다.
1. 활인(活人)
검을 사용함으로 사람을 살리는 경지.
성검(性劍)의 경지라고도 한다. 인간이 본래 소유한 본성을 회복시키는 검의 경지.
2. 제세(濟世)
검을 사용함으로 세상이 자연스럽게
다스려지는 경지.
웅패(雄覇)가 아닌 왕도(王道)의 검.
경륜(經綸)에 의미도 있으니,
헝클어진 실의 실마리를 이끌어 내
가지런히 한다는 뜻에서, 일이나 나라를 다스리다.
또는 그런 계획이나 포부를 의미하는 말로 발전함을 말하며, 세상이 자연그대로 돌아가게 만드는 경지. 신선경(神仙境)이라고도 한다. 신선들이 사용하는 선검(仙劍)의 경지이다.
3. 충의(忠義)
활검의 최종 단계이자,
모든 인간과 신들이 다가가고자 하는 경지. 충의로운 마음으로 가득차 있으며,
우주의 정신을 온전히 내 정신으로 삼아,
우주와 하나가 되어, 내안의 소우주를 일깨우고 이러한 마음가짐을 촌각이라도 잃지 않고 일편단심으로 가져가는 부동의 경지이다.
< 握法 運用法>
** 活 把 握 法--人指 護手接
** 악 법(握 法)
1. 정 악(正 握)---검병을 일반적으로 잡는 법.
2. 반 악(反 握)---검병을 반대로 잡는 법.
** 입 악(立 握)---검신 수직.
1. 순 수 검(順 手 劍)---수안이 左側向.
2. 역 수 검(逆 手 劍)---수안이 右側向.
** 평 악(平 握)---검신 수평.
1. 앙 악(仰 握)(平)---수배가 下로 검병을 잡은법.
2. 부 악(俯 握)(平)---수배를 上으로 검병을 잡은법.
** 반 악(反 握)
1. 이 반 악(裏 反 握)(立)---포 검(抱 劍) 내 수 검
(內 手 劍)--수안이 自向.
2. 외 반 악(外 反 握)(立)---제 검(提 劍) 외 수 검
(外 手 劍)---수배가 自向.
** 란 법(攔 法)--절 완 법(截 腕 法)
1. 외전(外轉)--완(腕)을 시계반방향
180도 外向轉.
2. 이전(裏轉)--완(腕)을 시계정방향
180도 內向轉.
** 선 법(旋 法)
1. 正 回 旋 式--右) 정)방향으로 선회.
2. 反 回 旋 式--左) 반)방향으로 선회.
3. 仰 回 旋 式--하--상 태극을 그리며 선회.
4. 俯 回 旋 式--상--하 태극을 그리며 선회.
(活把靈劍의 劍訣指)
** 검 결 지(劍 訣 指)--극 지(戟 指)
검결지는 극지(戟指: 창처럼 곧게 편 손가락)와 산극(散戟)이 있다.
상대방의 병장기을 밀어내거나 유인하고
점혈을 하는 작용 외에도,
평형을 유지하고 동작을 가세시키고
검세(劍勢)를 안정시키고,
검경(劍勁)의 세기를 향상시키는 등의
중요한 작용을 한다.
검(식)지(2)와 중지(3)는 곧게 펴고
무명지(4)와 소지(5)는 접고,
모지(1)의 지문 부위를 무명지(4)의
손톱 부위에 가볍게 접한 것이다<극지(戟指)>
1. 산 극(散 戟)
초식을 펼칠 때 경우에 따라 모지(1)가 무명지(약지)(4)에서 때때로 떨어지는 것이다.
2. 괘 파(卦 把)
降魔劍 특유의 劍柄을 叉接補로 劍의
힘을 더하며 중지(3)로
검병(劍柄)을 걸어 검의 회전력을
극도로 변환한다.
3. 활 파(活 把)
활파 악법은 强死弱飛의 근본원리로 하되
검병을 중지(3)로부터,
약지(4), 소지(5)순으로 말아 쥐되, 검지(2)로는
호수(護手)에 걸어 조절하여, 검봉(劍鋒)까지
힘을 전하는 것을 말한다.
4. 입 파(立 把) 검은 양 검인이므로
내-외 검인, 외-내 검인의 방향을 바꾸거나
접는 것을 행 할 때는
완(손목)의 유연성을 근본으로 하되 모지(1)를 호수 면에 세워서 접하고 완급을 조절한다.
** 검수(劍穗)는 상대방의 시야를 가리거나
혼돈을 가져오는데 사용될 뿐 아니라,
수련 시에는 발경법이나 육합에 의한
힘의 전달의 척도를 가늠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며, 검수가 손목을 때리게끔 된다는 것은 원심력에 의한 삼합의 힘의 전달과 용법을
정확히 행한다는 증표이다.
** 검신은 개인병기의 길이의 차이점이 있겠지만
대략 검첨에서 20-25cm되는 부분이 좌우로
어느 정도 탄성이 있어야,
살상력도 높이지만, 수련시 관절을 상하지 않을뿐더러, 검봉의 요동으로
斬, 挌, 刺 등의 기법의 정확성을
가늠해 볼 수 있으며,
수련과정에서의 검의 자취가 남기는
소리(劍聲)가 달라진다.
(예: 곤의 탄성을 위해 물푸레 목(木)을
사용하는 이유)
** 자세는 제보에서 일반적인 신법이나
보법으로는 급 회신이 용이 하지 않거나
예상치 않은 반대방향의 회신하기 위해,
허령보(虛靈步)라는 보법으로 상대방에게 근접하는 용이하게 하려고,
삽보나 발보의 일반적인 보법을 대신 사용한다. 검신은 최대한 몸에 붙여서 운용하여야, 공, 방의 전환이 용이 하며 힘을 비축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상 도 검 신(上 挑 劍 身)
정 회 검 봉(正 回 劍 鋒)
중 평 검 신(中 平 劍 身)
반 회 검 봉(反 回 劍 鋒)
하 심 검 신(下 沈 劍 身)
좌 고 회 신(左 顧 回 身)
전 진 행 보(前 進 行 步)
우 반 회 신(右 盼 回 身)
후 퇴 행 보(後 退 行 步)
진 좌, 우 족(進 左, 右 足)
퇴 좌, 우 족(退 左, 右 足)
☆☆☆ 항마선(降魔扇)=항마검(降魔劍)
☆☆☆ 항마섭선 1절<降魔攝扇 一節)
섭선법(攝扇法)<접부채=접선(摺扇)-섭선(葉扇)(쥘부채)>은
검(劍)의 기법과 동일하다.
접첩선(摺疊扇)---일본어로는 하리센(ハリセン, 張り扇)으로 표기한다.
1. 선인지로(仙人指路)
1. 병보--마보--반마보--우)발보 포구식 --좌)정보--칠성보
1) 좌)궁보 전출지--우)정보 포구식(抱毬式)
2) 우)유보 雲頭出(보)--좌)정보 포구식
3) 좌)궁보 전출지--우)회신
1. 우)유보 채선(採扇)식--좌)족진
2. 좌)궁보 직자(直刺)(측)--우)족진
3. 우)정보 평자(平刺)(手背上)(후)--우)족진
4. 우)칠성보 내괘(內掛)(보)--마보(주(肘)보)--좌)족진
5. 좌)정보 하절(下截)--반회선
6. 좌)제보 외)제가선식(보)--좌)족착지--좌)정보--좌)향 족진
--좌)칠성--마보 정회선
7. 우)발보(拔步) 후벽(後劈)(가)--좌)회--마보--좌)향
8. 좌)궁보 평말선(平抹扇)식--우)족거
9. 우)제보 내)괘(內掛)(보)--우)족착지
10. 우)궁보 반요(反撩)(拳輪上)(보)--우)족거
11. 우)제보 벽참(劈斬)(가)--환보
12. 좌)제보 개선(開扇)式(手背下)--만(彎)--좌)족착지
13. 우)과호 포협선(抱脅扇)식(전출지) 전비합선(展臂合扇)--앙신(仰身)
14. 우)제보 평참(斬)--말선(抹扇)(가--반배) --외)괘(보)--우)족착지
15. 우)발보 평하자(후)--좌)향 족진--마보--반회선--좌)궁보 平劈--後撩
16. 좌)궁보 횡통자(橫通刺)(肘보)
17. 마보 벽(劈)(가)--좌)향
18. 우)제보 이절완(裏截腕)(보)(앙신)--우)족착지
19. 우)유보 포(抱)(보)--외전(外轉)--雲
20. 우)유보 이가선(裏架扇)식(보)
좌)족퇴--우)향--마보 정회선--우)족퇴--우)정보
21. 우)제보 외)괘--우)회신--격보(擊步)
22. 우)궁보 전직자(箭直刺)(후)(천돌혈)
23. 번신(翻身) 륜괘(輪掛)--상도(上挑)--하)압(壓)(보)
--우)정보--우)제보 외)괘(보)--우)유보 --종도--우)향 앙신
24. 마보 벽선(劈扇)식(가)--우)향--외)괘
25. 마보 반직자(反直刺)(후)--하)절(截)
26. 우)마유보 개선(開扇)식(보)--좌)족 상보
27. 우)과호 영선(靈扇)식(架)(頭上에 올림)(전출지)
28. 수 식) 좌)향 평)난환선식(手背上)--우)족진
1) 병보 포흉선(抱胸扇)식 --우)하향 투선(投扇)式(手背上)
--정향) 입)난환선식--종도
2) 우)과호 포협선(抱脅扇)식(前出指) , 架, 後, 側, 前出>
<髙重綠 師範 所傳>
--------------------------------
☆☆☆ 활파령검(活把靈劍)의 자료사진
검지(2)로는 호수(護手)에 걸어 조절한다
☆☆☆ 검의 운용도표
철선(鉄扇)=IRON FAN
親骨を鉄で作った扇子の一種。
親骨(大外の骨組)を鉄製にしたものと、鉄の板を加工して紐を通した総鉄製の2種がある。
明確な起源については不明だが、戦国時代から存在しており、陣中で避暑のための扇と非常時の護身具の両面で用いられていたという。
漫画やアニメ、ゲ?ムのキャラクタ?の武器としても注目され、特に女性キャラの武器として取りざたされることが多い。
[일반 수련용 섭선(攝扇)<접선(摺扇)의 무술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