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xplaining the expedient distancing from the Pure Precepts.
청정한 계율로부터 거리 두는 방편에 대한 설명
Sutra text:
경전
Those who uphold the pure precepts should not buy, sell or trade. You should not covet fields or buildings, or keep servants or raise animals.
청정한 계율을 지닌 비구는 팔거나 사거나 무역을 해서는 안 된다. 논밭이나 건물을 모으면 안 되고, 사람이나 노비를 부리거나 짐승을 키우면 안 된다.
持淨戒者,不得販賣貿易,安置田宅,畜養人民奴卑畜生,
지정계자 부득판매무역 안치전택 축양인민노비축생
You should stay far away from all kinds of agriculture and wealth as you would avoid a pit of fire. You should not cut down grass or trees, plow fields or dig the Earth. Nor may you compound medicines, prophesize good and evil, observe the constellations, cast horoscopes by the waxing and waning of the moon, or compute astrological fortunes. All of these activities are improper.
모든 종류의 농사나 재보(부)를 모으는 것을 불구덩이 피하듯이 멀리해야 한다. 초목을 베거나 토지를 개간해서는 안된다. 탕약을 짓거나, 길흉을 점치거나, 관상을 보고 하늘의 별을 보고 점을 치거나 달을 보고 흥망을 점치거나 역수산계(한해의 운세를 보는 것) 등을 하지 말아야 한다. 이런 모든 활동은 바르지 못하다.
一切種植及諸財寶,皆當遠離,如避火坑. 不得 斬伐草木,墾土掘地,
일체종식급제재보 개당원리 여피화갱. 부득 참벌초목 간토굴지
合和湯藥,占相吉凶,仰觀星宿,推步盈虛,歷數算計,皆所不應,
합화탕약 점상길흉 앙관성숙 추보영허 역수산계 개소불응
Regulate your body, eat at the appropriate time and by live in purity.
몸가짐을 절제하고 때를 맞춰서 먹으며, 청정하게 스스로 살아가야 한다.
節身時食,淸淨自活,
절신시식 청정자활
You should not participate in worldly affairs or act as an envoy, nor should you become involved with magical spells and elixirs of immortality, or with cultivating connections with high ranking people, being affectionate towards them and condescending towards the lowly.
세상일에 참여하거나 사신 노릇 등을 하면 안 된다. 주술을 부린다거나 선약을 구하거나 높은 가문의 사람과 사귀어 너무 친하게 지내거나, 예의 없이 굴지 말아야 한다.
不得參預世事,通治使命,呪術仙藥,結好貴人,親厚蝶慢,皆不應作
부득참여세사 통치사명 주술선약 결호귀인 친후접만 개불응작
With an upright mind and proper mindfulness you should seek to cross over. Do not conceal your faults or put on a special appearance to delude the multitudes. Know the limits and be content with the four kinds of offerings. When you receive offerings, do not store them up.
마땅히 자신의 마음을 단정하게 하고 바른 생각으로 남을 제도해야 한다. 자신의 결점을 감추거나 이상한 행동으로 대중을 현혹시키면 안된다. 네 가지 공양(음식, 의복, 침구, 의약)을 받되 분량을 알고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공양물을 얻되 축적해서는 안 된다.
(當自)端心,正念求度,不得包藏瑕疵,顯異惑衆,
(당자)단심 정념구도 부득포장하자 현리혹중
於四供養,知量知足,趣得供事,不應畜積
어사공양 지량지족 취득공사 불응축적
Sutra commentary:
주석
One cannot make excuses for breaking precepts, claiming that it's simply an expedient. One should never distance oneself from the pure precepts: should not break precepts.
그냥 방편일 뿐이라고 말하면서 그걸 계율 어기는 핑계로 쓰면 안됩니다. 절대로 청정한 계율에서 멀어져서는 안됩니다: 계율을 어겨서는 안됩니다.
Those who uphold the pure precepts: a requisite for cultivators: uphold precepts, the more purely the better.
청정한 계율을 지키는 자들: 수행자의 필수조건입니다: 계율을 지키는 것, 더 청정할수록 더 좋습니다.
A few years ago, I was having lunch at a large Taiwanese temple in the Los Angeles area. I was eating by myself when a Caucasian gentleman sat down on the seat facing me and started talking to me. He was in his late twenties. He was in his way to his Japanese master's temple located two hours away from where we ate. He proudly claimed that he's been practicing Zen for over ten years. I said: you've been at it for so long and yet you've developed no samadhi power at all, how come? He wondered: what is samadhi power? I replied that meditation is the Buddhist methodology to develop concentration power, a very good methodology indeed. If you don't even know what level you're at, how can you know how to make progress? I was intrigued about a smart young man who would engage in spiritual pursuits in the blind for so long, especially when he's also a PhD candidate at the University of Irvine.
수년 전 나는 엘에이에 있는 큰 대만절에서 점심을 먹고 있었습니다. 혼자 식사를 하고 있는데, 백인 신사 한 분이 나와 마주 보고 앉아서 말을 걸었습니다. 그는 20대 후반이었어요. 그는 우리가 식사하고 있는 곳에서 두 시간 떨어진 곳에 있는 자신의 일본인 마스터의 사찰에 가는 길이었습니다. 그는 자랑스럽게 자신이 10년 이상 젠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내가 말했습니다: 그렇게 오랫동안 했는데, 아직 선정의 힘은 하나도 키우지 못했네요. 어째서 그런가요? 그는 의아해했습니다. 선정의 힘이 뭔가요? 나는 그에게 명상/참선은 선정 또는 집중의 힘을 키우기 위한 불교적 방법, 아주 좋은 방법이라고 대답해줬습니다. 여러분이 스스로 어느 단계에 있는지도 모른다면, 진전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어떻게 알겠습니까? 이 똑똑한 젊은이가 오랜 세월 동안 맹목적으로 영적 수행을 해왔다는 것에 매우 놀라웠습니다. 게다가 그는 UC Irvine의 박사학위 희망자였습니다.
He inquired about samadhi and asked for permission to come to my temple to investigate the nine samadhis in Buddhism. Two months later, he finally made it to our weekend classes, held on Saturdays and Sundays. We recite the Buddha's name (probably considered to be an “inferior” Dharma to the meditation people) in the morning, we then explain sutras for two hours in the afternoon. After two months of practice with us, he certified to second Dhyana. He patiently drove for half an hour each way from Irvine to our temple in Rosemead, California where I explained the Earth Store sutra. He tried locating the samadhi information on the Chinese canon but could not find. That's why he showed up to learn about samadhis. As soon as I finished the eight samadhi: the samadhi of neither thought nor non-thought, he vanished.
그는 삼매에 관해서 물어보며, 내 절에서 9단계 선정을 공부할 수 있는지 허락을 구했습니다. 두 달 후, 마침내 그는 토요일과 일요일마다 있는 주말 수업에 찾아왔습니다. 우리는 아침에 염불하고(아마도 참선하는 사람들에게 “열등한” 법으로 여길 것입니다), 오후에 두 시간 동안 불경 강설을 합니다. 그는 우리와 두 달간 수행하고, 이선에 도달했습니다. 그는 참을성 있게 얼바인에서 우리 절이 위치한 로즈미드까지 편도 30분씩 운전해서 왔습니다. 난 그 당시 지장경 강설을 하는 중이었습니다. 그는 중국어 장경에서 선정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려 노력했지만 찾지 못했습니다. 그는 그런 까닭으로 선정에 대하여 배우러 온 것입니다. 그는 내가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인 팔정에 대해서 마치자마자 사라졌습니다.
I knew that he was possessed by a ghost of manic depression that caused him a lot of grief.
나는 그가 조울증 귀신에 씌어서 그로 인해 많은 슬픔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Four months later, he frantically tried to reach me because he was seriously affected. He made an appointment with me at the temple. He said that he's been hiding at his Japanese teacher's temple because that's where he felt most secure. Also, he recently hooked up with a Korean girlfriend who kept him grounded. I did not dare tell him that his attacks were probably motivated by the female ghost's jealousy toward his Korean girlfriend.
4개월 후 심하게 영향을 받게 되자 그는 나에게 광적으로 연락을 취하려 했습니다. 그리고 나와 절에서 만나기로 했습니다. 그는 가장 안전하게 느껴지는 일본 스승님의 절에 숨어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는 최근 자길 침착하게 해주는 한국인 여자친구랑 만난다고 했습니다. 아마도 그 한국인 여자친구에 대한 여자 귀신의 질투심 때문에 그런 공격이 일어난다고 말해줄 수가 없었습니다.
Ultimately there was not much I could do for him because of his attitude. He was more interested in picking my brain than learning the Proper Dharma. If you fail to show proper deference and etiquette, don't be surprised that you're not taught much. This happens to be a serious problem with Westerners: they lack the proper respect and appreciation for the Orthodox Dharma. They're used to thinking that things of value must be paid for. That's certainly not incorrect. However, how do you pay for transcendental Dharmas? You can't pay for them with worldly things like money. That's why truly transcendental dharmas are free of charge and must be paid for with sincerity and hard work. You can learn them because of your faith and earnest desire to obtain liberation. They cannot be obtained commercially. Left-home people, who uphold precepts, simply do not buy, sell or trade or engage in commerce because it's against the Way.
본질적으로 그의 태도 때문에 나는 그를 위해서 해줄 수 있는 게 별로 없었습니다. 그는 정법을 배우는 것보다 내가 아는 지식에 관심이 더 많았습니다. 바른 공경과 에티켓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많은 가르침을 받지 못한다고 놀라지 마세요. 이것이 바로 서양인들에게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그들은 정통법에 대한 바른 공경과 인식이 부족합니다. 이들은 가치가 있는 것은 반드시 비용을 치뤄야 한다는 생각에 익숙합니다. 그것이 반드시 틀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어떻게 출세간 법을 돈을 주고 살 수 있겠습니까? 돈과 같은 세속적인 것으로는 지불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출세간 법은 무료이며, 진심과 열심히 해야만 그 대가를 치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배울 수 있는 것은 신심과 해탈을 얻고자 하는 진지한 욕구가 있어서입니다. 영리적으로 얻을 수 없습니다. 출가자는 계율을 지켜야 하며, 단지 사거나, 팔거나 또는 무역을 해서는 안 됩니다. 그 까닭은 이것이 도(道)와는 반대이기 때문입니다.
For a great many left-home people, a successful “career” should be accompanied with building a big temple. There was a very senior monk (Hé Shàng) who was sick all his life. He went from doctor to doctor to fight for his life. He managed to survive into his seventies. He thus wanted to build a big temple in the United States. I asked him: what are your wishes? He said that he'd like to cap his “career” by building a five-million dollar temple. He'd need five years to complete it. Upon which, he'd turn it over to his young disciples and then “retire” to a small thatch hut to recite the Buddha's name while waiting to be reborn to the Western Bliss Pure Land. I couldn't help but wonder: what made him think that he could survive for another five stressful years? If his ultimate goal was to obtain rebirth to the Western Bliss Pure Land, what assurance did he have that in building the temple, he'd have a better chance for rebirth (where does it say in the Pure Land annals that building a temple ensures one's rebirth to the Pure Land)? Besides, what made him think that his young disciples would be able to take good care of the big temple (they certainly never were exposed to the big templ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수많은 출가자에게 성공적인 “경력”은 곧 큰 사찰을 짓는 일이 수반됩니다. 평생 몸이 아픈 매우 연로한 스님(화상)이 한 분 계셨습니다. 그는 살기 위해 여러 의사를 찾아갔습니다. 그렇게 70대가 되도록 어떻게든 살아남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미국에 큰 절 하나를 짓고 싶어 했습니다. 나는 그에게 물었습니다: 당신의 소망이 무엇인가요? 그는 오백만불(약55억원)짜리 절을 세워 그의 경력을 매듭짓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마치는데 5년은 필요할 것이라 했습니다. 그렇게 하고 젊은 제자들에게 그걸 물려주고, 서방극락정토에 왕생을 기다리면서, 작은 초가지붕 토굴로 “은퇴”해서 염불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나는 의아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는 그 큰 스트레스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할까요? 그의 궁극적인 목표가 서방극락정토 왕생이라면, 절을 지을 때 왕생에 더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이 있는 걸까요? (정토에 대한 기록 어디에 사찰을 지으면 정토 왕생을 보장해준다고 있는 걸까요?) 더군다나 왜 그는 젊은 제자들이 큰 사찰을 잘 관리하리라 생각할까요? (제자들이 큰 사찰 공사나 경영에 경험이 없는 게 확실합니다)
Left-home people have to be careful not to violate the Buddha's instructions: they should not covet fields or buildings, these are all externals. Once one comes into the possession of assets, one tends to be pulled into management and financial matters: that might bring about the end of cultivation!
출가자들은 부처님의 지침을 어기지 않도록 조심해야만 합니다: 논밭이나 건물을 모으면 안되고, 이들은 모두 외부적입니다. 어떤 이든 자산을 소유하는 순간, 경영이나 재정적인 문제에 끌려들어 가기 쉽습니다: 그것이 수행의 종말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When Great Master XuanHua was alive, he would not allow people to do his laundry. He could wait until the wee hours of the morning, when everyone else was asleep, to wash his clothes. We should also follow his example and avoid relying on servants. Lay people also tend to create mouth karmas from scolding servants. Cultivators should not raise animals. That could be the cause for killing karmas: e.g. raising dogs involves killing karmas because they have to be fed with meat-derived products.
선화 상인이 살아계실 때 다른 사람이 빨래해주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는 매우 이른 아침 시간까지 기다렸다가, 모든 이들이 잠들었을 때, 옷을 빨았습니다. 그의 본보기를 따라, 노비(하인)에게 의존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재가자들도 하인(부리는 사람)에게 야단치면서 구업을 짓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행자는 짐승을 키우지 않습니다. 이것이 살생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를 키우면 개는 고기류를 먹여야 하므로 살생의 업과 관련됩니다.
You should stay far away from all kinds of agriculture and wealth as you would avoid a pit of fire. You should not cut down grass or trees, plow fields or dig the Earth.
모든 종류의 농사나 재보(부)를 모으는 것을 불구덩이 피하듯이 멀리해야 합니다. 초목을 베거나 토지를 개간해서는 안 됩니다.
Left-home people should distance themselves from all kinds of agriculture. First of all, planting activities can cause harm to living beings. For instance, plowing can result in violently harming living beings that dwell underneath. Furthermore, planting and farming activities are quite time-consuming and tiring, leaving very little left for cultivation. And also, one most likely will have to contend with the various bugs and parasites that are drawn to the crop, usually causing their demise or hunger. Left-home disciples of the Buddha cannot cut trees because that might harm small living beings who reside there. Moreover, trees are inhabited by spirits. Spirits who are blessed can dwell in larger trees. Those who are not blessed, end up residing in grasses. To cut down trees or mow the grass results in the destruction of their habitats and thus harms our compassionate nature.
출가자는 모든 류의 농사일에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첫째로 심는 활동은 중생에 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간은 땅속에 사는 중생을 험하게 다치게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심고 농사짓는 행위는 시간이 많이 들고 피곤한 일이라서, 수행을 위한 시간을 조금밖에 남겨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또한 농작물에 이끌려 온 수많은 벌레와 기생충은 보통 죽거나 배고픔을 겪습니다. 우리는 이들과 수확물을 사이에 두고 경쟁하며 싸워야 할 것입니다. 부처님의 출가인 제자들은 나무에 사는 작은 중생들을 해칠 수 있어서 초목 (나무)을 벨 수 없습니다. 또한 나무에는 정령(목신木神)이 살고 있습니다. 이런 복 많은 신은 큰 나무에서 살 수 있습니다. 그렇게 복이 있지 않은 자들은 풀 속에 살아야 합니다. 나무를 베거나 풀을 깎으면 이들의 보금자리를 파괴하게 되며, 그러므로 우리의 자비로운 성품을 해치게 됩니다.
The Buddha told his disciples to avoid creating offenses and avoid killing karmas.
부처님은 제자들에게 죄를 짓거나 살생하는 업을 짓는 것을 피하라고 말해주셨습니다.
During the time of Shakyamuni Buddha, a monk wanted to trim the branches of a tree in the temple. He did not realize that that big tree was the residence of a spirit's family. Spirits too have families like us humans. The spirit's son happened to be playing by hanging on the branch when the bhikshu decided to cut it off. The boy spirit fell down and broke his arm. He screamed in great pain. The ghost father came running, saw his son and lost his temper. He wanted to beat up on the monk for injuring his son. The father spirit suddenly remembered that the monk was the Buddha's disciple. Fearing that he'd offend the Buddha, the father spirit instead went in front of the Buddha to file a complaint. The Buddha listened sympathetically and agreed with the spirit. This led the World Honored One to decree that from then on, left-home people may not cut trees or grass.
석가모니 부처님 시대에 한 승려가 절에 있는 나무의 가지치기를 하고 싶어했습니다. 그는 이 큰 나무에 한 목신(木神, 나무신)의 가족이 살고 있다는 걸 알지 못했습니다. 나무신도 사람처럼 가족이 있습니다. 그 비구 스님이 가지를 자를 때 하필 나무신 아들이 그 나무 가지 위에 앉아서 놀고 있었습니다. 나무신 아이가 떨어져서 팔이 부러졌습니다. 나무신 아들은 너무 아파서 소리를 질렀습니다. 그 귀신 아버지가 뛰어와서, 아들을 보고는 성질을 참지 못했습니다. 그는 아들을 다치게 한 비구 스님을 때려눕히고 싶었습니다. 그 나무신 아버지는 문득 그 스님이 부처님의 제자라는 게 기억났습니다. 부처님을 범할까 염려되어, 부처님 앞으로 가서 불평을 털어놨습니다. 부처님은 동정심을 갖고 그 이야기를 들어주었고, 그 나무신과 동의하였습니다. 이로써 세존께서는 그 후로 출가자는 나무나 풀을 베면 안 된다고 포고하게 되었습니다.
Why are left-home disciples of the Buddha prohibited from digging the Earth? It's not uncommon for Earthworms to be present underneath. Digging the Earth can cause them harm. That would be against the way of compassion. We cultivate in order to end sufferings. How can we possible obtain our objective while causing other living beings to suffer?
왜 부처님의 출가인 제자는 토지를 개간하는게 금지되어 있을까요? 땅속에 벌레가 있는 것이 드문 일이 아닙니다. 땅을 파면 이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이는 자비의 방법에 어긋날 것입니다. 우리는 괴로움에 끝을 내기 위하여 수행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다른 중생에게 괴로움을 일으키면서 우리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까요?
Cultivators should also distance themselves from wealth, to avoid nurturing the greedy mind. I saw an article that reported that a certain monk in Hong-Kong made a fortune from investing in the stock market with the proceeds from the offerings from the faithful. I can't help but frown at that because that would be indulging in making profits just like lay people. It’s hardly appropriate for left-home people who should be devoting time and effort toward spiritual matters.
수행자는 재보(부)로부터 스스로 멀리해야 합니다. 내가 어떤 기사를 읽었는데, 그 내용에 홍콩에서 어떤 스님이 신도들의 공양금에서 얻은 돈을 주식에 투자해서 큰돈을 벌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건 재가자들처럼 이윤을 내는데 탐닉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걸 보고 난 눈살을 찌푸리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건 영적인 것에 시간과 노력을 쏟아야 할 출가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We should avoid such worldly pursuits as if avoiding a pit of fire. Let's face it: a cultivator who makes money in the stock market is usually doing so at the expense of someone else. Such behavior rather lacks in compassion.
마치 불구덩이 피하듯이 이런 세속적인 추구는 멀리해야 합니다. 솔직히 말해봅시다: 수행자가 주식시장에서 돈을 번다면 그것은 주로 어떤 다른 이에게 폐를 끼쳐서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자비가 부족합니다.
Nor may you compound medicines, prophesize good and evil, observe the constellations, cast horoscopes by the waxing and waning of the moon, or compute astrological fortunes. All of these activities are improper.
탕약을 짓거나 관상을 보고 길흉을 점치거나 하늘의 별을 보고 점을 치거나 달을 보고 흥망을 점치거나 역수산계(한해의 운세를 보는 것) 등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런 모든 활동은 바르지 못합니다.
Cultivators should not compound medicines. Those who have this skill usually have gongfu. They utilize their gongfu toward earning a livelihood. Some are very good at it and thus can make a lot of money and forget to cultivate. True cultivators should refrain from the temptations of using their spiritual skills to benefit themselves. Another more subtle reason is we consider that to be meddling into worldy affairs: it creates more problems than it can solve.
수행자가 탕약을 지어서는 안됩니다. 이런 기술이 있는 자들은 주로 쿵푸(수행의 힘)가 있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힘을 이용하여 생계를 위한 벌이에 씁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런 걸 매우 잘하기 때문에 돈을 많이 벌 수 있어서 수행하는 것을 잊습니다. 진정한 수행자는 자신의 영적 기술을 사용하여 스스로의 이득을 취하는 유혹을 삼갑니다. 또 다른 미묘한 이유가 있는데 우리는 이런 일을 세상일에 간섭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이것으로 풀 수 있는 것보다는 더 많은 문제를 일으킵니다.
Similarly, cultivators should not prophesize good and evil (these are not fixed and can be transformed; at a subtle level, harboring this kind of discrimination tends make one condemn and reject the evil beings instead of trying to help them), observe the constellations, cast horoscopes by the waxing and waning of the moon, or compute astrological fortunes. All of these activities are improper. Cultivators eventually develop some spiritual penetrations. Typically, these are not to be used for the afore-mentioned activities because they can lead to abuse. Mahayana cultivators are not allowed to exhibit spiritual powers except for specific circumstances. We stress opening our wisdom instead of developing spiritual powers. Why? To have them makes it very tempting to use them. One can thus make a big name for oneslf and get a lot of offerings. That invariably seems to lead to nurturing the greedy mind, making it very difficult to let go and attain liberation.
비슷하게 수행자들은 길흉을 점치거나 (길흉은 정해지지 않았고, 변할 수 있으므로; 섬세한 수준에서 이런 분별을 품으면 악한 이를 돕기보다 그들을 비난하거나 거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상을 보고 하늘의 별을 보고 점을 치거나 달을 보고 흥망을 점치거나 역수산계(한해의 운세를 보는 것) 등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런 모든 활동은 바르지 못합니다. 수행자는 언젠가는 결국 신통력을 키웁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신통력은 남용할 수 있게 되므로, 앞에서 언급한 일들에 사용하면 안 됩니다. 대승 수행자는 특정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영적인 힘을 드러내는 것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영적인 힘을 키우는 대신 지혜를 열어야 하는 점을 강조합니다. 왜일까요? 영적인 힘을 가지면 사용하고 싶은 유혹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유명해질 수 있고, 많은 제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반드시 탐심을 키우게 되며, 이를 내려놓고 해탈을 얻기가 매우 어렵게 됩니다.
Regulate your body, eat at the appropriate time and by live in purity. The Buddha has taught us the eating Dharma. “Eat at the appropriate time” refers to the fact that monks and nuns are not to eat after noon. “Regulate your body” means that left-home people should not be overly concerned with taking care of one's body like lay people. In particular, they should be frugal with respect to all material things: that's how to regulate the body. Cultivators should endeavor to rid themselves of the three poisons (greed, anger and stupidity) to purify their mind, and “live in purity.” The Buddha will further elaborate on the eating Dharma in a later section.
몸가짐을 절제하고 때를 맞춰서 먹으며, 청정하게 스스로 살아가야 합니다. 부처님께서는 우리에게 먹는 법을 가르치셨습니다. “때에 맞춰서 먹는다”는 비구와 비구니가 오후에 먹지 않는다는 것을 가리킵니다. “몸가짐을 절제한다”는 출가자가 재가자와 같이 너무 과하게 몸을 돌보는 데 관심을 두면 안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특히 모든 물질적인 것에 대하여 검소해야 합니다: 그것이 몸가짐을 절제하는 방법입니다. 수행자는 스스로 마음속으로부터 삼독(탐, 진, 치)를 제거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청정하게 살아야 합니다”. 부처님께서 뒤에서 먹는 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실 겁니다.
Cultivators should not participate in worldly affairs or act as an envoy. These activities have detrimental effects on cultivation. To engage in worldly concerns is to create a lot of afflictions. Once afflicted, it's very difficult to enter samadhi. Worldly affairs refer to wordly pursuits that cause fighting and destruction. As to acting as an envoy between countries, that can cause a lot of human suffering because of war and battles. Many gains and losses are involved, contrary to the mind of equanimity and compassion.
수행자는 세상일에 참여하거나 사신 노릇 등을 하면 안됩니다. 이런 행위는 수행에 해로운 효과가 있습니다. 세상일에 관한 관심에 연루되면 많은 번뇌가 생깁니다. 한번 번뇌가 일면, 삼매에 들기 매우 어렵습니다. 세상일이란 싸움과 파괴를 야기하는 세속적인 추구를 뜻합니다. 나라 사이의 사신 노릇을 하면, 전쟁이나 전투로 인해 많은 사람의 괴로움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많은 득과 실이 연관되면, 평등과 자비의 마음과는 반대가 됩니다.
Nor should you become involved with magical spells and elixirs of immortality, or with cultivating connections with high ranking people, being affectionate towards them and condescending towards the lowly. Some cultivators like to exhibit their spiritual skills. Once samadhi power is developed, cultivators will eventually have spiritual penetrations. For example, many will open their Heavenly Eye, enabling them to see the yang and yin realms. They can see the heavens or can hear what the gods talk about with their heavenly ears. The externalists also have many powerful mantras (also known as tantras). They can help control ghosts and spirits. I had a disciple who was a long-time follower of some well-known Chinese externalist sects. She was quite skilled in QiGong and had excellent people skills. They chose her to be their instructor. After cultivating with me, she decided to defect and take refuge with the Triple Jewel. She felt that our Chan Dharma is far superior to their Dharmas. Their grand-master had attained the 7th samadhi and had tremendous spiritual powers. He was pretty upset with her defection and decided to use his spiritual powers to teach me a lesson for stealing his disciple. So he attacked me from China and managed to injure me while I was asleep at night. Luckily, I recovered and understood how to neutralize his attacks. Please remember, when you have spiritual powers, do not use them to vent your anger no matter how well-justified it may appear to be. The Mahayana cultivator only uses spiritual penetrations to help others, not to benefit himself or herself!
주술을 부린다거나 선약을 구하거나 높은 가문의 사람과 사귀어 너무 친하게 지내거나, 예의 없이 굴지 말아야 합니다. 어떤 수행자는 영적인 능력을 보여주는 걸 좋아합니다. 선정의 힘이 개발되면, 수행자는 결국 신통력을 갖게 됩니다. 예를 들면, 많은 이들이 천안(天眼)을 열게 되고, 양과 음의 세계를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사람들은 천당(천국)을 볼 수 있거나, 천이(天耳, 천상의 귀)가 있어서 신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들을 수 있습니다. 외도 수행자는 강력한 주문(만트라 또는 탄트라)가 있습니다. 이걸로 귀신을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나에게 중국에서 아주 잘 알려진 외도 종파를 오랫동안 따랐던 제자가 하나 있었습니다. 그녀는 기공에 꽤 뛰어났으며, 사람을 다루는 기술도 훌륭했습니다. 그쪽(외도그룹)에서 그녀를 지도자로 선택했었습니다. 나와 수행을 한 후 그녀는 그곳을 떠나 삼보와 귀의하기로 했습니다. 그녀는 우리 챤 다르마(선의 법)이 외도법에 비해 훨씬 더 우수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들(외도)의 큰 스승은 칠정(七定)을 얻었고, 엄청난 영적인 힘을 가졌습니다. 그는 그녀가 변절한 것에 대하여 상당히 화가 났습니다. 그래서 제자를 뺏은 나에게 혼줄을 내주려고 영적인 힘을 쓰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중국에서부터 나에게 공격을 가했으며, 내가 자는 동안 나를 다치게 했습니다. 다행히 나는 회복할 수 있었고, 그의 공격을 무력화하는 방법을 이해했습니다. 기억하세요. 여러분이 영적인 힘이 생긴다면 얼마나 정당하게 느껴지는지는 상관없습니다. 분노를 풀기 위해서 영적인 힘을 쓰면 안 됩니다. 대승 수행자는 다른 이를 돕는 데 신통력을 사용하지, 자신을 위해서 쓰지 않습니다.
“Magical spell”: a famous example is alchemy. These people can turn lead into gold. It's actually gold but after 500 years, it reverts back to lead. Those who drink “elixirs of immortality” to live up to 10,000 years. The Buddha forbids his disciples from using these dharmas because they bring people to a dead-end: making the users even more attached to their falsely united bodies.
“주술”: 연금술에서 잘 알려진 예입니다. 이들은 납을 금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실제로 금이 되지만 500년 후에 다시 납이 돼버립니다. “선약”을 마시면 일만 년까지 살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제자들이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 걸 금지하였습니다. 이런 것이 사람들이 막다른 길에 가게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것을 쓰는 사람들은 헛되게 결합된 육신에 더 집착하기 때문입니다.
In the past, Maitreya Bodhisattva was a co-cultivator with Shakyamuni Buddha. Maitreya was fond of rubbing elbows with high ranking people, the rich and powerful. Whereas Shakyamuni preferred to cultivate ascetic practices. As a result, Maitreya Bodhisattva lags behind the Buddha: he still has not accomplished Buddhahood while Shakyamuni Buddha became a Buddha a long long time ago. Even the Sixth Patriarch declined to draw near emperors in spite of their personal requests to hear his Dharma.
과거에 미륵보살은 석가모니 부처님과 도반이었습니다. 미륵은 부유하고 권력 있는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반대로 석가모니 부처님은 고행 수행하는 것을 선호했습니다. 그 결과 미륵보살은 부처님 뒤로 뒤처져버렸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아주 아주 오래전 부처가 되었는데도 미륵보살은 아직도 성불하지 못했습니다. 육조 스님조차 황제가 법을 듣고 싶다고 개인적으로 청했는데도 불구하고, 황제와 가까이하는 것을 거절하셨습니다.
With an upright mind and proper mindfulness you should seek to cross over. Do not conceal your faults or put on a special appearance to delude the multitudes. Know the limits and be content with the four kinds of offerings. When you receive offerings, do not store them up.
마땅히 자신의 마음을 단정하게 하고 바른 생각으로 남을 제도해야 합니다. 자신의 결점을 감추거나 이상한 행동으로 대중을 현혹하면 안됩니다. 네 가지 공양(음식, 의복, 침구, 의약)을 받되 분량을 알고 만족할 줄 알아야 합니다. 공양물을 얻되 축적해서는 안 됩니다.
With an upright mind, keep your mind proper, pay attention to your comportment. Maintain proper mindfulness: reduce your false-thinking, remember why you cultivate: to seek to cross over: to trasncend the Triple Realm, to escape the revolving Wheel and obtain bliss.
똑바른 마음으로, 마음을 단정하게 유지하며, 스스로 몸가짐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정념을 유지합니다: 헛된 생각(망상)을 줄이고, 수행을 왜 하는지 기억하세요: 건너기 위해서입니다: 즉 삼계를 벗어나고, 윤회의 바퀴를 탈출하여 안락을 얻습니다.
Do not conceal your faults because if you do, you won’t correct them. When you live with your faults, you will think about them until they are resolved. People conceal their defects because they are afraid to lose or get hurt. They conceal them because they are incapable of confronting their weaknesses. Problems rarely go away by themselves. Worse yet, if we don't fix our mistakes, we'll continue to make them and create offenses.
자신의 결점을 감추지 말아야 합니다. 여러분이 결점을 감추면, 고칠 수 없습니다. 허물을 가지고 살면, 여러분은 그게 풀릴 때까지 그 허물에 대해서 생각할 것입니다. 사람들이 결함을 감추는 것은 손해를 보거나 다치는 것이 무서워서 그렇습니다. 자신의 약점을 직면할 수 없으므로 사람들이 허물을 감추는 것입니다. 문제가 스스로 가버리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실수를 고치지 않으면 우리는 계속 그런 실수를 할 것이고, 죄를 짓게 됩니다.
Put on a special appearance to delude the multitudes. Do not adopt unusual behavior or comportment in order to impress people. For example, some left-home people go to great lengths to appear special or superior, hoping to get more offerings. That is considered a deviant livelihood in Buddhism.
이상한 행동으로 대중을 현혹하면 안됩니다. 사람들에게 인상을 남기기 위하여 유별난 행동이나 차림새를 쓰면 안 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출가자는 재물을 더 많이 받기 위해 특출하거나 우월하게 보이려고 큰 노력을 기울입니다. 이런 것을 불교에서는 삿된 생계라고 여깁니다.
If you really are wealthy, then you'd prefer not show off and draw attention to yourself. If you have gongfu, you'd naturally try to blend in. Otherwise you'll be noticed and cause jealousy. If you still reveal your gongfu, that would indicate that your level is still pretty low. Though a top-notch martial artist can knock you down with a feather, he/she rarely reveals his/her strength or skill. Furthermore, enlightened sanghans do not need your offerings: they rarely reveal their real identity. I used to teach my lay disciples to bow to left-home people. One of my early Caucasian disciples would rarely bow to left-home people. However, whenever I showed up at a temple, she would come over to bow to me in front of everyone. She thought that it would please me. It would have pleased me a lot more if she had bowed to all the sanghans, even if they had lower gongfu than her.
여러분이 진정으로 부유하다면 자랑하거나 사람들로부터 관심받는 것을 선호하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쿵푸(수행의 힘)이 있다면, 여러분은 자연스럽게 섞이길 원할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사람들이 여러분을 알아채서 질투가 일어날 것입니다. 만약 그런데도 여러분이 쿵푸를 드러낸다면, 그건 바로 여러분의 단계가 여전히 꽤 낮다는 것을 가리킵니다. 최도고 무술가는 깃털 하나로 여러분을 때려눕힐 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은 힘이나 기술을 거의 드러내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깨달은 승가는 여러분의 재물(공양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진짜 정체를 드러내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나는 재가자 학생들에게 출가자에게 절하도록 가르쳤습니다. 내가 초기에 가르쳤던 백인 제자 하나가 출가자에게 절을 잘 안했습니다. 그러나 내가 절(도량)에만 나타나면 그녀는 나한테 와서 모든 사람이 보는 앞에서 절을 했습니다. 그녀는 그러면 날 즐겁게 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녀가 모든 스님들께 그녀 자신보다 쿵푸(수행의 힘)가 더 낮은 사람에게도 절을 했다면 내가 훨씬 더 좋아했을 겁니다.
Westerners don't understand the Dharma of giving yet. Therefore, left-home people do not necessarily have to accept offerings unless they are in accord with the Dharma. The Hinayana people are very clear about this: they understand that to accept offerings will deplete blessings and may even make one indebted to the donors. If you in debt to another, you'll have to pay back with interest. Thus, know the limits and be content with the four kinds of offerings. Limit the amount of offerings you receive. The four kinds of offerings are: 1. food and drink 2. clothes 3. shelter and 4. medicine. These are the four kinds of offerings that can be made to left-home people to assist them in their cultivation. Cultivators should take care to accept only enough. In fact learn to be content with the minimum. Actually, it's even better to accept a little bit less. By the way, contentment is the secret of happiness. To be content brings happiness: happiness comes from the mind, not from externals.
서양인은 아직 보시의 법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이들이 법에 따르는 게 아니라면 출가자가 공양물을 반드시 다 받아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소승 사람들은 이게 매우 확실합니다: 공양물을 받으면 복이 고갈되리라는 것과 심지어 시주하는 사람에게 빚이 생긴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빚이 있다면 이자도 같이 반드시 갚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분량을 알고 네 가지 공양을 받되 만족할 줄 알아야 합니다. 여러분이 받는 공양물의 양에 한도를 둬야 합니다. 네 가지 공양물이란: 1. 음식 2. 의복 3. 침구 그리고 4. 의약품입니다. 이것들이 바로 출가자의 수행을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공양물입니다. 출가자는 필요한 분량만 취해야 합니다. 사실 최소한으로 만족할 줄 알아야 합니다. 실제로 좀 덜 받는 것이 더 좋습니다. 사실 만족이 행복의 비밀이죠. 만족하는 것이 행복을 가져다줍니다: 행복은 마음에서 오며,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닙니다.
When you receive offerings, do not store them up. Storing feeds the greedy mind. It causes a lot of afflictions. For example, storing things naturally causes one to worry that they will get spoiled or stolen. Cultivation is like going on a journey: the less we carry, the lighter the load, and thus the farther we can travel. Learn to get by with the minimal.
공양물을 얻되 축적해서는 안 됩니다. 축적은 탐심을 키웁니다. 그것이 많은 번뇌를 일으킵니다. 예를 들면 물건들을 축적하면 자연스럽게 그게 상하거나 누가 훔쳐 갈까 봐 걱정하게 됩니다. 수행은 여행을 떠나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가 덜 가져갈수록, 길이 더 가볍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더 멀리 여행할 수 있습니다. 최소한으로 살아나가는 것을 배워보세요.
Above are just some aspects of the Precepts that the Buddha taught us.
위의 것들이 바로 부처님께서 우리에게 가르쳐 주신 계율의 여러 측면입니다.
Again, in terms of mind karmas, the Buddha suggested that we do the following six:
다시 마음의 업(카르마)에 대해서는 부처님께서 다음 여섯 가지를 우리에게 권하셨습니다.
1. Upright mind: Keep a wholesome mind, think positive. Do not look at other's faults. Look only at your own faults.
1. 곧은 마음: 온전한 마음을 유지하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다른 이의 허물을 보지 말고, 오직 자신의 잘못만 본다.
2. Proper mindfulness: Remember only proper things, not deviant ones. There are four proper mindfulness Dharmas that can bring liberation: a) Resolve to cultivate in order to save living beings, b) Resolve to recite the Buddha's name, c) Be mindful of the Four stations of mindfulness, and d) Have no self.
2. 정념: 삿된 것은 기억하지 않고, 오직 바른 것들만 기억하라. 해탈로 데려갈 수 있는 네 가지 정념의 법이 있다. a) 중생을 구하기 위하여 수행하길 바란다. b) 염불하길 바란다 c) 사념처(四念處) 그리고 d) 무아.
a) Cultivate to save living beings. Let's not forget: the Mahayana cultivator chooses to cultivate in order to help others, not to make a fortune or obtain personal gains.
중생을 구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잊지 맙시다. 대승 수행자는 다른 이를 돕기 위해서 수행하기로 택합니다. 큰 돈을 벌거나 개인적인 이득을 얻기 위한게 아닙니다.
b) Reciting the Buddha's name. Bind our mind to the Buddha's name and drop everything else.
염불한다. 우리의 마음을 부처님의 명호에 묶어놓고, 다른 모든 건 버린다.
c) Four stations of mindfulness. The mind is impermanent. It originated from impermanence therefore its substance is also impermanent. What is generally perceived to be happiness is actually suffering: that joy you feel creates attachment and yearning. Unfulfilled yearning produces (future) suffering.
사념처. 마음이 무상(일시적)이다. 마음이 무상에서 유래했으니, 그 본체도 또한 무상하다. 일반적으로 행복이라고 인식하는 것은 사실은 괴로움이다. 여러분이 느끼는 그 즐거움은 집착과 동경을 만들어낸다. 이루지 못한 동경은 (미래의) 괴로움을 만든다.
d) Dharmas have no self. No self means that it does not exist by itself. It depends on conditions (other factors) for its existence. They came into being (produced) from conditions. All that are produced must be extinguished. Everything in this world will eventually return to emptiness, everything is false.
법은 무아(자아가 없다)이다. 무아(無我)란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그 존재를 위해서 연(다른 요인)에 의존한다. 이것들은 연으로부터 존재(생성)가 되어서 왔다. 생성된 모든 것은 다 멸한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결국 공으로 돌아갈 것이다. 모든 것이 헛되다.
3. Do not conceal one's faults: To do so will allow defilements to accrue in our mind.
3. 결점을 감추지 않는다. 결점을 감추면 우리 마음에 더러움(진)이 축적되도록 할 것입니다.
If you wish to have control over your mind, then you should consider practicing Chan. Practicing Chan can help develop samadhi power. When we reach the ninth samadhi level called the Patience of Non-production of Dharmas, you will then have control over your mind. That is the level of a 4th Stage Arhat. At this point, you don't see a single dharma produced. For example, when scolded, the 4th Stage Arhats feel as if they're drinking sweet dew. The inhabitants of the six Desire Realm heavens like to drink sweet dew because it quenches their thirst and hunger.
만약 여러분이 자신의 마음을 통제하고 싶다면, 선(禪) 수행을 고려해봐야 합니다. 선을 수행하면 선정의 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무생법인(無生法忍)이라 불리는 구정의 단계에 도달하면, 자기 마음에 대한 콘트롤을 갖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아라한의 단계입니다. 그때 여러분은 일법(한 생각)도 일어나는 걸 보지 않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라한은 야단을 맞으면 감로수 마시는 것처럼 느껴질 것입니다. 여섯 개의 욕계 천상에 사는 존재들은 감로수가 목마름과 배고픔을 가시게 해줘서 그걸 마시는 것을 좋아합니다.
It's important to be able to exert control over our mind. Ordinary people have no way of stopping their continuous thinking process. That creates waste of mental energy. Instead of focusing on the task at hand, their mind can't help but wander. Fourth Stage Arhats are able to stop their mind at will.
우리 마음에 대한 콘트롤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은 중요합니다. 평범한 사람은 계속되는 생각 과정을 멈출 방법이 없습니다. 이는 정신적 에너지 낭비를 만듭니다. 당장 하는 일에 몰두하는 대신 마음이 대책 없이 떠돕니다. 아라한은 의지에 따라 마음을 멈출 수 있습니다.
4. Do not put up facades to delude the multitudes: It is wrong to intentionally put on airs so as to impress others, making them think that we're special. For example, some left-home people might walk differently than normal people, adopt stern looks or frequently shout at others. The Buddha calls such tactics “deviant livelihood”: using deviant dharmas to make ends meet.
4. 여러 사람들을 현혹하기 위한 가면을 쓰지 말라: 다른 사람에게 인상을 남기려고 일부러 외견을 쓰고, 그들이 우리가 특별하다고 생각하게 하는 일은 잘못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출가자는 평범한 사람과 다르게 걷거나, 근엄한 외모를 사용하거나 다른 이에게 자주 소리를 지를 수 있습니다. 부처님은 먹고살기 위해 삿된 법을 쓰는 이런 전술을 “삿된 생계”라 부르셨습니다.
5. Know the limits: Practice moderation, be thrifty. Do not overuse our blessings. Our training program emphasizes to be unrelenting in creating blessings and thriftiness. Once our blessings are exhausted, we'll have to return to lay life.
5. 한계를 알아라. 절제(적당함)를 수행하고, 검소해야 합니다. 우리의 복을 과하게 사용하지 마십시오. 우리의 훈련 프로그램은 꾸준하게 복을 짓고 검소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복이 고갈되면, 환속해야 할 것입니다.
̉6. Do not hoard offerings: If you resolve your mind to cultivate, then you should stop the worldly habit of hoarding, of keeping score. Don't be greedy for offferings. The more offerings you receive, the more afflcitions you'll have. Cultivation is simplification, deduction, to let go. The Way is the way of poverty: the poorer you are, the easier it is to cultivate.
공양물을 축적하지 않는다: 당신이 수행하고자 마음을 세웠다면, 축적하는 세속적 습관을 멈춰야 합니다. 공양물을 탐하지 마십시오. 더 많은 공양물을 받을수록, 더 많은 번뇌가 생길 것입니다. 수행은 단순화, 줄이기, 버리기입니다. 도(道)는 빈곤의 길입니다. 더 가난할수록 더 쉽게 수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