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x1년 외상매출액\850,000 20x2년 외상매출액900,000 20x1년말 매출채권 190,000 20x2년말 매출채권 210,000 |
①60일 ② 65일 ③ 70일
④ 75일 ⑤ 80일
기본서 p502
해설 :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평균매출채권
= \900,000/{(\190,000+\210,000)÷ 2}
= 4.5회/연
따라서 매출채권 평균회수기간은 80일(360일÷ 4.5회)이다.
52.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상품매입과 관련된 당기현금 지급액을 계산하면?5
매출액 \500 매출총이익₩100 기초상품재고액 120 기말상품재고액110 기초매입채무 80 기말매입채무120 |
①\310 ② ₩320 ③ ₩330
④ ₩340 ⑤ ₩350
기본서 p160
해설 :
매입채무
현금 지급액 ? 기말매입채무 120 |
기초매입채무 80 매입액 (390) |
상품(혼합계정)
기초상품재고액 120 매입액 (390) 매출총이익 100 |
매출액 500
기말상품재고액 110 |
따라서 당기현금지급액은 \350이다.
53.
(주)대한의 회계담당자는 기중에 인식한 선수임대료중에서 기간이 경과되어 실현된 금액에 대한 기말수정분개를 하지 않았다. 이러한 오류가 (주)대한의 당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4
①당기순이익이 과대표시된다.
② 기타포괄이익이 과대표시된다.
③ 자산이 과대표시된다.
④ 부채가 과대표시된다.
⑤ 자본이 과대표시된다.
기본서 p82
해설 : ④ 선수임대료의 실현된 금액에 대한 선수임대료 ×××/임대료 ××× 의 수정분개를 하지 아니한 오류의 영향은 부채의 과대표시와 수익의 과소표시이다. 따라서 부채의 과대표시와 수익의 과소표시로 당기순이익과 자본이 과소표시되며, 기타포괄이이과 자산은 영향이 없다.
54.
기초매출채권은 ₩90,000이고 기말매출채권은 ₩50,000이며, 기초미지급비용은 ₩60,000이고 기말미지급비용은 ₩70,000이다. 현금주의에 의한 수익은 ₩400,000이고 비용은 ₩250,000일 때, 발생주의에 의한 순이익은?1
①₩100,000 ② ₩120,000 ③ ₩140,000
④ ₩150,000 ⑤ ₩200,000
기본서 p462
해설 :
영업활동 현금흐름
발생주의 순이익 ? 매출채권 감소 40,000 미지급비용 증가 10,000 |
현금주의 순이익 150,000
|
따라서 발생주의 순이익은 \ 100,000이다.
55.
(주)대한은 20x1년초에 토지(유형자산)를 ₩1,000,000에 취득한 후 매년 재평가모형을 적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20x1년말과 20x2년말 토지의 공정가치가 각각 ₩800,000과 ₩1,200,000이었다면, (주)대한이 20x2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할 당기손익은?4
①₩400,000 손실 ② ₩200,000 손실
③ ₩0 ④ ₩200,000 이익
⑤ ₩400,000 이익
기본서 p283
해설 :
20x1년 말 : (차) 재평가손실 200,000 (대) 토지 200,000
20x2년 말 : (차) 토지 400,000 (대) 재평가이익 200,000*1
재평가잉여금 200,000*2
*1 당기손익 *2 기타포괄손익
56.
(주)대한은 ₩4,000,000의 기계장치를 구입한 대가로 ₩1,000,000의 현금을 지급하고, 나머지 잔액은 90일 만기의 약속어음으로 지급하였다. 이러한 거래가 거래일 현재 자산, 부채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2
①자산은 ₩3,000,000 증가하고, 부채는 변동이 없으며, 자본은 ₩3,000,000 증가한다.
② 자산은 ₩3,000,000 증가하고, 부채는 ₩3,000.000 증가하며, 자본은 변동이 없다.
③ 자산은 변동이 없고, 부채는 ₩3,000,000 증가하며, 자본은 ₩3,000,000 감소한다.
④ 자산은 ₩4,000,000 증가하고, 부채는 ₩3,000,000 증가하며, 자본은 ₩1,000,000 증가한다.
⑤ 자산, 부채, 자본의 변동이 없다.
기본서 p269
해설 :
<분개> (차) 기계장치(자산) 4,000,000 (대) 현금(자산) 1,000,000
미지급금(부채) 3,000,000
따라서 자산은 \3,000,000(\4,000,000-\1,000,000) 증가하고, 부채는 \3,000,000 증가하며, 자본의 변동은 없다.
57.
기초소모품잔액은 ₩30,000이다. 기중에 구입한 소모품 ₩100,000은 전액 비용처리하였다. 기말실사결과 미사용소모품이 ₩20,000일 때 이를 반영하는 수정분개는? (단, 기말미사용소모품은 자산으로 인식한다.)1,4
①(차) 소모품비 10,000(대) 소모품 10,000
② (차) 소모품비 20,000(대) 소모품 20,000
③ (차) 소모품 10,000(대) 소모품비 10,000
④ (차) 소모품 20,000(대) 소모품비 20,000
⑤ 수정분개없음
기본서 p86
해설 :
기초재수정분개 (차) 소모품비 30,000 (대) 소모품 30,000
기말수정분개 (차) 소모품 20,000 (대) 소모품비 20,000
기말미사용소모품을 반영한 수정분개는 (차) 소모품비 10,000 (대) 소모품 10,000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번과 ④번이다.
58.
(주)대한은 거래처로부터 20x1년 1월 1일에 만기 6개월, 액면가액 ₩10,000(이자율 연 6%, 만기지급)의 약속어음을 받았다. 3개월 후인 4월 1일 은행에서 이 약속어음을 할인(이자율 연 12%)하였다. 4월 1일 거래로 인하여 인식할 당기손익은? (단, 동 어음의 할인은 제거요건을 충족하며, 이자는 월할계산한다.)2
①₩109 손실 ② ₩9 손실 ③ ₩0
④ ₩9 이익 ⑤ ₩109 이익
기본서 p163
해설 : 4월 1일 당기손익은 \9(처분손실 \159 - 이자수익 \150) 손실이다.
<분개>
(차) 현금 9,991 (대) 받을어음 10,000
처분손실 159*1 이자수익 150*2
*1 만기가액 = \10,000 +(\10,000×6%×6/12) = \10,300
할인액 = \10,300 × 12% × 3/12 = \309
현금수취액 = \10,300 - \309 = \9.991
장부금액 = \10,000 +(\10,000×6%×3/12) = \10,150
처분손실 = \10,150 - \9.991 = \159
*2 \10,000×6%×3/12
59.
다음은 (주)대한의 20x2년말 수정전시산표의 일부이다.
차 변 대 변
비품 ₩100,000
감가상각누계액(비품) ₩40,000
비품은 20x1년초에 구입한 것이며, 정률법을 이용하여 감가상각하고 있다. 기말수정분개 후 20x2년말 비품의 장부금액은?2
①₩24,000 ② ₩36,000 ③ ₩60,000
④ ₩64,000 ⑤ ₩100,000
기본서 p279
해설 : 20x2년 말 수정전시산표의 감가상각누계액이 \40,000이며, 20x1년 초에 구입한 것이므로 정률법에 의한 정률은 40%이다.
20x2년 말 장부금액
= \100,000 - \40,000 -{(\100,000-\40,000)×40%}
= \36,000
60.
A아파트 관리사무소장은 7월초 유지보수팀에 소액현금제도를 도입하였다. 소액현금한도는 ₩100,000이며, 매월 말에 지출증빙과 사용내역을 받아 소액현금을 보충한다. 7월 지출내역은 교통비 ₩25,000과 회식비 ₩59,000이었다. 7월말 소액현금 실사잔액은 ₩10,000이었으며, 부족분에 대해서는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7월말 소액현금의 보충시점에서 적절한 분개는?4
차 변 대 변
①현금 84,000당좌예금 84,000
② 교통비 25,000당좌예금 84,000
복리후생비 59,000
③ 교통비 25,000당좌예금 100,000
복리후생비 59,000
잡손실 16,000
④ 교통비 25,000당좌예금 90,000
복리후생비 59,000
잡손실 6,000
⑤ 현금 84,000당좌예금 90,000
잡손실 6,000
기본서 p156
해설 :
o 소액현금 지출액의 비용처리
(차) 교통비 25,000 (대) 소액현금 84,000
복리후생비 59,000
o 현금부족액 회계처리
(차) 현금과부족 6,000 (대) 소액현금 6,000
잡손실 6,000 현금과부족 6,000
o 소액현금의 보충
(차) 소액현금 90,000 (대) 당좌예금 90,000
61.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주)대한의 20x1년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될 현금및현금성자산은?1
(1) 20x1년말 현재 통화는 ₩50,000이고, 우표는 ₩3,000이고, 만기가 2개월 남은 정기예금(3년만기)은 ₩30,000이며, 거래처에서 받은 약속어음은 ₩25,000이다. (2) 20x1년말 현재 은행에서 발급한 당좌예금잔액 증명서의 잔액은 ₩130,000이다. (3) (주)대한이 20x1년 12월 31일에 입금한 ₩20,000이 은행에서는 20x2년 1월 4일자로 입금처리되었다. (4) (주)대한이 발행한 수표 중에서 20x1년말 현재 은행에서 인출되지 않은 수표는 1장(no.121, ₩30,000)이다. (5) (주)대한이 20x1년 중 발행한 수표(no.109)는 ₩10,000이었으나 회사는 이를 ₩15,000으로 기록하였다. |
①₩170,000 ② ₩173,000 ③ ₩195,000
④ ₩198,000 ⑤ ₩223,000
기본서 p157
해설 : 20x1년 말 현금및현금성자산은 \170,000(현금 \50,000+은행계정조정표를 이용한 정확한 당좌예금 잔액은 \120,000)이다.
은행계정조정표
기업측 잔액
오류 5,000 |
은행측 잔액 130,000 미기입예금 20,000 기발행미인출수표 (30,000) |
120,000 120,000
62.
(주)대한의 건설계약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계약기간 : 20x1년 1월 1일 ~ 20x3년 12월 31일 총계약금액 : ₩1,200,000 계약원가 관련자료 : | |||
20x1년 |
20x2년 |
20x3년 | |
연도별 발생원가 |
\400,000 |
\575,000 |
\325,000 |
완성시까지 추가소요 예정원가 |
600,000 |
325,000 |
- |
(주)대한의 20x2년도 계약손실은? (단, 진행기준을 적용하여 수익을 인식하며, 진행률은 발생한 누적계약원가를 추정총계약원가로 나누어 산정한다.)1
①₩180,000 ② ₩185,000 ③ ₩ 190,000
④ ₩195,000 ⑤ ₩200,000
기본서 p437
해설 :
o 20x1년 계약이익=[\1,200,000×{\400,000/(\400,000+\600,000)}]-\400,000
=\80,000
o 20x2년 총추정공사원가 \1,300,000(\400,000+\575,000+\325,000)이 총계약금액(수익) \1,200,000을 초과하므로 20x2년에 \100,000(\1,300,000-\1,200,000)을 비용으로 인식한다.(총계약원가가 총계약수익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예상되는 손실은 즉시 비용으로 인식한다.)
o 총계약손실이 \100,000이며, 20x1년 계약이익이 \80,000이 발생하였으므로 20x2년 계약손실은 \180,000이다.
63.
실지재고조사법을 사용하는 기업이 당기 중 상품외상매입에 대한 회계처리를 누락하였다. 기말현재 동 매입채무는 아직 상환되지 않았다. 기말실지재고조사에서는 이 상품이 포함되었다. 외상매입에 대한 회계처리 누락의 영향으로 옳은 것은?5
자 산 부 채 자 본 당기순이익
①과 소 과 소 영향없음 영향없음
② 과 소 과 소 과 대 과 대
③ 과 소 과 소 영향없음 과 소
④ 영향없음 영향없음 영향없음 영향없음
⑤ 영향없음 과 소 과 대 과 대
기본서 p485
해설 : 실지재고조사법에 따른 상품 외상매입에 대한 회계처리는 ‘매입 ×××/외상매입금 ×××’으로 누락의 영향은 비용(매입)의 과소계상과 부채(외상매입금)의 과소계상이다. 따라서 자산의 영향은 없고, 비용의 과소계상으로 인한 순이익은 과대, 자본은 과대계상된다.
64.
(주)대한은 20x1년부터 전자제품을 판매하면서 3년간 보증수리를 무상으로 해주는데 20x1년도에 ₩250,000, 20x2년도에 ₩500,000을 보증수리비로 인식하였다. 실제 지출한 보증수리비는 20x1년도에 ₩150,000, 20x2년도에 ₩320,000이었다. 20x2년도말 제품보증충당부채 잔액은?5
①₩180,000 ② ₩220,000 ③ ₩250,000
④ ₩260,000 ⑤ ₩280,000
기본서 p363
해설 :
20x2년도 말 제품보증충당부채 잔액
=(\250,000+\500,000)-(\150,000+\320,000)
=\280,000
65.
(주)대한은 20x1년 1월 1일에 ₩880,000에 취득한 기계장치(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 ₩0)를 정액법에 따라 감가상각해 오던 중 20x3년 1월 1일에 잔여내용연수를 5년으로 새롭게 추정하였다. 20x3년 12월 31일 기계장치 장부금액은?3
①\537,143②\552,456③\563,200
④\616,240⑤\740,500
기본서 p481
해설 :
o 20x3년 1월 1일 장부금액=\880,000-(\880,000/10×2)
=\704,000
o 20x3년 12월 31일 장부금액=\704,000-(\704,000/5)
=\563,200
66.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추정기말상품재고액은?3
기초상품재고액 ₩550,000 당기상품매입액 2,250,000 당기상품매출액 3,000,000 매출총이익률 30% |
①₩600,000 ② ₩650,000 ③ ₩700,000
④ ₩750,000 ⑤ ₩800,000
기본서 p230
해설 :
상품
기초상품재고액 550,000 당기상품매입액 2,250,000 |
매출원가 2,100,000* 기말상품재고액 ? |
* \3,000,000×(1-0.3)
따라서 기말상품재고액은 \700,000이다.
67.
(주)대한의 토지취득과 관련된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의 취득원가를 계산하면?4
(1) 공장을 신축하기 위해 건물 한 동이 세워져 있는 토지를 취득하였다. 건물의 공정가치 ₩200,000 및 토지의 공정가치 ₩800,000에 대한 대가 ₩1,000,000을 지급하였다. 건물은 취득 즉시 철거할 예정이다. (2) 기존 건물을 철거하기 위해 ₩50,000의 비용이 지출되었다. (3) 철거된 건물에서 발생한 폐자재를 ₩20,000에 처분하였다. |
①₩800,000 ② ₩830,000 ③ ₩850,000
④ ₩1,030,000 ⑤ ₩1,050,000
기본서 p266
해설 :
토지의 취득원가=\1,000,000+\50,000-\20,000
=\1,030,000
68.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매출액순이익률은? (단, 총자산과 총부채는 기초금액과 기말금액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5
총자산 : ₩1,000,000 자기자본이익률(=당기순이익/자본) : 20% 총자산회전율 : 0.5 부채비율(=부채/자본) : 300% |
①2% ② 4% ③ 6% ④ 8% ⑤ 10%
기본서 p501
해설 :
o 총자산회전율=매출액/평균총자산
0.5=매출액/\1,000,000
매출액=\500,000
o 자기자본이익률=당기순이익/자본
0.2=순이익/\250,000*
순이익=\50,000
* 부채비율(부채/자본)이 300%이므로 부채와 자본은 3:1이며, 자산이 \1,000,000이므로 자본은 \250,000이다.
o 매출액순이익률=순이익/매출액
=\50,000/\500,000
=0.1(10%)
69.
(주)대한은 20x1년 1월 1일에 액면가액 ₩8,000,000(이자는 매년도 말에 후불로 지급)의 사채를 ₩7,400,000에 발행하였다. (주)대한은 20x1년 12월 31일에 사채와 관련하여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개하였다.
(차)이자비용 962,000 (대)현금 8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162,000
이 사채의 연간 유효이자율과 표시이자율은 각각 몇 %인가?2
①12%, 10% ② 13%, 10% ③ 13%, 11%
④ 14%, 10% ⑤ 14%, 11%
기본서 p356
해설 :
o 이자비용=기초장부금액×유효이자율
\962,000=\7,400,000×유효이자율
∴ 유효이자율=13%
o 현금이자금액=액면금액×액면이자율
\800,000=\8,000,000×액면이자율
∴ 액면이자율=10%
70.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매출총이익은?3
(1) 기초상품재고액은 ₩120,000이고, 기말상품재고액은 ₩150,000이다. (2) 당기의 상품 총매입액은 ₩1,300,000이고 당기의 상품 총매출액은 ₩1,700,000이다. (3) 당기의 매출에누리와 환입은 ₩180,000이고, 매입에누리와 환출은 ₩100,000이다. (4) 당기의 판매운임은 ₩30,000이고 매입운임은 ₩40,000이다. |
①₩210,000 ② ₩280,000 ③ ₩310,000
④ ₩350,000 ⑤ ₩490,000
기본서 p207
해설 :
상품(혼합계정)
기초상품재고액 120,000 총매입액 1,300,000 매입운임 40,000 매출에누리와환입 180,000 매출총이익 ? |
총매출액 1,700,000
매입에누리와환출 100,000 기말상품재고액 150,000 |
따라서 매출총이익은 \310,000이다.
71.
다음은 현금흐름표의 일부이다.
Ⅰ. 영업활동현금흐름 ? Ⅱ. 투자활동현금흐름 (₩1,214,000) Ⅲ. 재무활동현금흐름 354,000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이 ₩80,000이고,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이 ₩105,000일 때, 영업활동현금흐름은?3
① ₩755,000 ② ₩780,000 ③ ₩885,000
④ ₩940,000 ⑤ ₩965,000
기본서 p454
해설 :
영업활동 현금흐름 \? +투자활동 현금흐름 (\1,214,000)+재무활동 현금흐름 \354,000
=\25,000(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105,000-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80,000)
따라서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885,000이다.
72.
다음의 상황에서 (주)대한이 인식할 수익은?5
(1) (주)대한은 수탁판매업자에게 원가 ₩200,000의 상품을 적송하였다. (2) 수탁판매업자는 위 상품을 모두 판매하고 판매대금 중 판매수수료 ₩40,000을 제외한 ₩360,000을 (주)대한에게 송금하고 이를 통보하였다. |
① ₩100,000 ② ₩160,000 ③ ₩200,000
④ ₩320,000 ⑤ ₩400,000
기본서 p435
해설 : 위탁판매의 수익인식은 수탁자가 제3자에게 재화를 판매하는 시점에 인식하므로 \400,000(\40,000+\360,000)이 수익으로 인식할 금액이다.
73.
원가행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3
①계단(준고정)원가는 일정한 범위의 조업도 수준에서만 원가총액이 일정하다.
② 직접재료원가는 변동원가에 속한다.
③ 단위당 변동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④ 기본료와 사용시간당 통화료로 부과되는 전화요금은 사용시간을 조업도로 본 혼합원가로 볼 수 있다.
⑤ 원가-조업도-이익(CVP) 분석에서 고정판매관리비도 고정원가에 포함된다.
기본서 p521
해설 : ③ 총변동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단위당 변동원가는 조업도의 증감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74.
직접원가와 간접원가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4
① 원가의 추적가능성
② 원가의 중요성
③ 원가정보시스템의 정교성
④ 원가의 변동성
⑤ 원가대상
기본서 p521
해설 : ④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는 원가의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로서 해당원가의 중요성, 이용가능한 정보수집기능, 업무의 디자인 등에 영향을 미치지만 원가의 변동성은 직접원가와 간접원가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이 아니다.
75.
A아파트는 건물의 수선․유지에 필요한 소모품을 자체생산하고 있다. 현재 필요한 수량은 월 20단위이고, 단위당 생산변동원가는 ₩100이며 고정원가는 월 ₩1,200이다. 이 소모품을 외부에서 구입하는 경우 A아파트의 생산설비를 월 ₩400에 임대할 수 있으며 A아파트의 월 고정원가는 80% 수준으로 감소한다. A아파트가 이 소모품을 외부에서 구입할 때 지급할 수 있는 단위당 최대금액은?2
①₩92 ② ₩132 ③ ₩148 ④ ₩168 ⑤ ₩192
기본서 p600
해설 :
자체생산 : 총원가 = (20 × \100) +\1,200
= \3,200
외부구입 : 총원가 = (20 × X ) +\960 - \400
= \3,200
따라서 외부구입시 단위당 최대금액(X)은 \132이다.
76.
A아파트는 1인당 ₩50,000의 변동원가와 ₩8,000,000의 총고정원가가 소요되는 주부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다. 1인당 참가비는 ₩100,000을 받는다. 이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구청으로부터 총 ₩2,000,000의 지원금을 받는다. 이 프로그램의 손익분기점(인원수)은?4
①100명 ② 110명 ③ 115명 ④ 120명 ⑤ 150명
기본서 p580
해설 : 변동비율이 50%(\50,000/\100,000)이므로 공헌이익률은 50%이다.
손익분기점(인원수)=(\8,000,000-\2,000,000)/(\100,000×0.5)
= 120명
77.
A아파트는 건물의 수선․유지를 위해 총구입원가가 ₩10,500인 벽돌 X를 100단위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아파트에 단위당 ₩110의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 이 때 총 ₩700의 배달료를 부담하여야 한다. A아파트는 벽돌 X 대신에 비슷한 벽돌 Y를 단위당 ₩106에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A아파트가 벽돌 X 또는 Y를 100단위 사용한다면, 어느 벽돌을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유리한가?1
①벽돌 X, ₩300② 벽돌 X, ₩400
③ 벽돌 Y, ₩300 ④ 벽돌 Y, ₩400
⑤ 벽돌 Y, ₩500
기본서 p600
해설 :
X : (100단위 × \110) - \700 = \10,300
Y : (100단위 × \106) = \10,600
따라서 벽돌 X를 사용하는 것이 \300만큼 유리하다.
78.
직접재료원가의 제품단위당 표준사용량은 5kg이고, 표준가격은 kg당 ₩3이다. 4월에 직접재료 20,000kg을 총 ₩65,000에 구입하여 18,000kg을 사용하였다. 4월에 제품 3,000단위를 생산했을 때, 직접재료원가의 가격차이와 능률차이는? (단, 직접재료원가의 가격차이는 구입시점에서 계산한다.)2
① 가격차이 ₩5,000(불리) 능률차이 ₩6,000(불리)
② 가격차이 ₩5,000(불리) 능률차이 ₩9,000(불리)
③ 가격차이 ₩6,000(유리) 능률차이 ₩6,000(유리)
④ 가격차이 ₩6,000(유리) 능률차이 ₩15,000(유리)
⑤ 가격차이 ₩11,000(불리) 능률차이 ₩15,000(유리)
기본서 p575
해설 :
가격차이 : 20,000㎏ × (\3.25 - \3.0)
= \5,000불리
능률차이 : {18,000㎏ - (3,000단위 × 5㎏)} × \3
= \9,000불리
79.
A아파트 전기작업반의 월별 직접노무시간과 경비에 대한 기록이 다음과 같다.
구 분 |
4월 |
5월 |
6월 |
직접노무시간 |
250시간 |
200시간 |
150시간 |
경 비 |
₩10,000 |
₩11,000 |
₩7,000 |
7월의 직접노무시간은 200시간으로 예상된다. 고저점법을 적용하여 7월의 경비를 추정하면?1
① ₩8,500 ② ₩8,600 ③ ₩8,700
④ ₩8,800 ⑤ ₩8,900
기본서 p524
해설 :
o 단위당 변동원가=(\10,000-\7,000)/(250시간-150시간)
=\30/시간
o 고정원가=\10,000-(\30×250시간)
=\2,500
o 총원가(Y)=(\30×X)+\2,500
따라서 7월 직접노무시간 200시간일 때 경비의 총원가는 \8,500이다.
80.
A아파트 관리사무소는 재활용품 판매대금으로 종량제봉투를 구입하여 주민들에게 3개월마다 나누어 주고 있다. 4월부터 6월까지의 재활용품 판매대금은 ₩500,000이며 이 금액으로 7월초에 묶음당 ₩500의 종량제봉투를 80세대에 나누어 주려고 한다. 6월말에 종량제봉투 10묶음이 남아 있었고 종량제봉투를 모든 세대에 같은 묶음수로 최대한 나누어 준다면 총 몇 묶음의 종량제봉투가 남는가?3
① 10묶음 ② 30묶음 ③ 50묶음
④ 60묶음 ⑤ 70묶음
기본서 p530
해설 :
총봉투묶음={(\500,000÷\500=1,000묶음)+10묶음}
=1,010묶음
따라서 80세대에 12묶음씩 나누어 주면 50묶음이 남는다.
첫댓글 욕실에서 두명의 노예와~
집이나 모델로 직접 보내드립니다.
3시간-3만원 긴밤-5만원 횟수는 무제한!
발가락부터 머리까지 깨끗히 입사
하루밤 사랑~100프로~전국 각지 모두 가능~!
시간제한없고 언제든지 만나실 오빠들
http://houseone2.com
에 오세요 상상 그 이상입니다
욕실에서 두명의 노예와~
집이나 모델로 직접 보내드립니다.
3시간-3만원 긴밤-5만원 횟수는 무제한!
발가락부터 머리까지 깨끗히 입사
하루밤 사랑~100프로~전국 각지 모두 가능~!
시간제한없고 언제든지 만나실 오빠들
http://houseone2.com
에 오세요 상상 그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