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a fish," he said. "He has it sideways in his mouth now and he is moving off with it."
Then he will turn and swallow it, he thought. He did not say that because he knew that if you said a good thing it might not happen. He knew what a huge fish this was and he thought of him moving away in the darkness with the tuna held crosswise in his mouth. At that moment he felt him stop moving but the weight was still there. Then the weight increased and he gave more line. He tightened the pressure of his thumb and finger for a moment and the weight increased and was going straight down.
(44:1) "He's taken it," he said. "Now I'll let him eat it well."
He let the line slip through his fingers while he reached down with his left hand and made fast the free end of the two reserve coils to the loop of the two reserve coils of the next line. Now he was ready. He had three forty-fathom coils of line in reserve now, as well as the coil he was using.
free : 매여[묶여] 있지 않은
"Eat it a little more," he said. "Eat it well."
Eat it so that the point of the hook goes into your heart and kills you, he thought. Come up easy and let me put the harpoon into you. All right. Are you ready? Have you been long enough at table?
- 낚시 바늘이 물고기 뱃속으로 들어가서 물고기를 죽이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죽음으로써 죽음의 뱃속을 뜻하는 무덤으로 내려가서 죽음을 죽이는 것과 같은 패턴을 가지고 있다.
- 여기 table은 노인이 차려준 식탁이다. 물고기에게는 이 식탁이 최후의 만찬을 먹는 식탁이 된다.
"Now!" he said aloud and struck hard with both hands, gained a yard of line and then struck again and again, swinging with each arm alternately on the cord with all the strength of his arms and the pivoted weight of his body.
Nothing happened.
청새치는 낚시에 걸려서 잡아 채이면 곧바로 수면으로 떠올라서 낚싯줄을 끊어버리려고 하는 호전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청새치는 보통 청새치가 아니라는 것을 암시한다. 보통 청새치보다 더 여유 있게 대처하고 있고, 그 점을 노인은 이상하게 여기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표현이다.
The fish just moved away slowly and the old man could not raise him an inch. His line was strong and made for heavy fish and he held it against his back until it was so taut that beads of water were jumping from it. Then it began to make a slow hissing sound in the water and he still held it, bracing himself against the thwart and leaning back against the pull. The boat began to move slowly off toward the North-West.
brace oneself against : ~에 대해서 버티다
(45:4) The fish moved steadily and they travelled slowly on the calm water. The other baits were still in the water but there was nothing to be done.
- they travelled slowly : 배와 노인과 고기가 하나가 되었음을 암시.
"I wish I had the boy," the old man said aloud.
소년을 떠올리고 크게 말하는 데에는 세 가지 의미가 있어 보인다. 첫째는 고기를 잡는 데 실제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둘째는 산티아고가 홀로 있지만 공동체와 함께 하고 있다는 의식을 보여준다. 셋째는 소년의 이름이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산티아고 자신의 기도가 포함되어 있다.
- 소년의 이름 Manolin으로 히브리어 ‘임마누엘’에서 온 것. 임마누엘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뜻. 노인은 임마누엘, 즉 하나님이 자기와 함께 있기를 바라는 것으로 읽힌다(Reading, 63쪽). 또한 I wish I had the boy라고 have 동사를 사용해서 소년을 소유하기를 바랐지만 노인은 소유하지를 않았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노인이 소년을 소유하지 않고 소년을 자유롭게 존재하게 해줌으로써 노인도 소년에게 구속되지 않고 자유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소년은 자유롭게 놓아주고 있지만 물고기는 반드시 잡아 소유하려고 한다. 결국 노인은 이 물고기를 잡지만 소유는 하지 못하게 된다.
"I'm being towed by a fish and I'm the towing bitt. I could make the line fast. But then he could break it. I must hold him all I can and give him line when he must have it. Thank God he is travelling and not going down."
What I will do if he decides to go down, I don't know. What I'll do if he sounds and dies I don't know.
sound : ‘(바다호수의 수심을) 측정하다’는 뜻에서 ‘깊이 내려가다’로 번역할 수 있을 듯.
But I'll do something. There are plenty of things I can do.
노인은 스스로 ‘many tricks’(14:24)를 가지고 있다고 했는데 여기에서도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노하우와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He held the line against his back and watched its slant in the water and the skiff moving steadily to the North-West.
This will kill him, the old man thought. He can't do this forever. But four hours later the fish was still swimming steadily out to sea, towing the skiff, and the old man was still braced solidly with the line across his back.
- But four hours later : 노인은 물고기가 영원히(forever) 버티지는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노인이 이때 생각한 영원이라는 시간은 한두 시간 정도라고 볼 수 있다. 네 시간이 지나도록 물고기가 버팀으로써 노인의 예상을 벗어나고 있다. forever 다음에 But이라는 접속사를 통해서 그런 느낌을 표현하고 있다.
- 시간이 네 시간이나 흐른 것을 단락도 바꾸지 않고 이야기해 준다. 그 네 시간 동안에 물고기는 steadily하게 그리고 노인은 solidly하게 각자의 행위를 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46:1) "It was noon when I hooked him," he said. "And I have never seen him."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서 온 땅에 어둠이 임한 때가 정오로 나온다(마가복음 15:33, 마태복음 27:45). 산티아고도 이때부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고기가 미끼를 물은 시간은 수요일 정오 12시이다. 이 고기를 완전히 잡은 시간은 금요일 정오 12시이다. 고기를 잡기 위해 사투했던 시간은 48시간이나 걸렸다. 잡은 고기를 배에 동여매고 집으로 돌아오면서 상어와 사투했던 시간은 돌아오기 시작한지 한 시간 후부터 금요일 자정이 넘은 시간까지로 약 12시간이다. 모두 60시간 동안 노인은 처절한 사투를 전개했다. 노인은 혼자 이런 곳에 와서는 아 된다고 독백한다. 그러나 왼손의 쥐, 배고픔, 외로움을 이겨내면서 노인은 끝까지 싸웠다. 상어와 싸우면서 노인은 “아이”(Ay)를 두 번씩이나 소리친다. 예수의 손이 십자가에 못 박힐 때 냈던 그 소리이다. 『노인과 바다』의 작품 전개는 5일, 즉 150시간이고 산티아고의 물고기와의 사투 시간은 60시간이다. 산티아고는 이 5일 동안에 그의 인생 60년 또는 120년과 맞먹는 삶을 살았다고 볼 수 있다. (소수만 저 『어니스트 헤밍웨이』)
He had pushed his straw hat hard down on his head before he hooked the fish and it was cutting his forehead.
- 예수가 가시로 만든 관을 쓰면서 이마에 가시가 박히고 상처가 나는 것처럼 노인의 이마에도 상처가 나고 있다.
He was thirsty too and he got down on his knees and, being careful not to jerk on the line, moved as far into the bow as he could get and reached the water bottle with one hand.
- 예수가 십자가에 달려서 ‘내가 목마르다’(요한복음 19:28)고 말하는데 십자가의 예수와 마찬가지로 머리에 상처를 입고 예수와 마찬가지로 노인 역시(too) 목이 마르다.
He opened it and drank a little. Then he rested against the bow. He rested sitting on the un-stepped mast and sail and tried not to think but only to endure.
- unstep : <돛대를> 대좌(臺座)(step)에서 떼어내다
- tried not to think but only to endure : 여기 견딤(endurance)은 육체적, 정신적 혹은 영적인 견딤을 가리킬 수 있다. 노인의 시험(trial)과 견딤은 신약성경에 묘사된 시험을 견디고 구원을 얻는 것과 유사하다: ‘아브라함이 이같이 오래 참아 약속을 받았느니라’(히브리서 6:15); ‘끝까지 견디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마태복음 10:22, 24:13, 마가복음 13: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