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any rate, Miss Baker’s lips fluttered, she nodded at me almost imperceptibly, and then quickly tipped her head back again—the object she was balancing had obviously tottered a little and given her something of a fright. Again a sort of apology arose to my lips. Almost any exhibition of complete self-sufficiency draws a stunned tribute from me.
object she was balancing : 베이커 양이 균형을 잡고 있던 것은 베이커 양이 앉아 있는 대형 소파 divan이다. 닉에게 인사를 하느라고 거의 눈치챌 수 없을 정도로(almost imperceptibly) 고개를 까딱했지만 그것이 그녀에게 모종의 두려움(fright)을 주었다고 서술한다. 조금이라도 균형이 깨지는 것을 극도로 싫어한다는 인상을 준다. 이것은 이 균형감각이 건강한 것이 아니고 병적인 성향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닉은 베이커 양의 이러한 태도를 완벽한 자기만족의 현시(exhibition of complete self-sufficiency)라고 치켜세우고 그런 태도에는 stunned tribute를 불러일으킨다고 한다. 완벽한 자기만족(complete self-sufficiency)이 아니라 완벽한 자기만족의 현시(exhibition)에 극단적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는 측면에 치중하는 태도를 뜻한다. 닉이 베이커의 그러한 면을 치켜 세우는 것은 닉도 역시 그렇게 보여지는 것을 완벽하게 해내는 것에 경외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이러한 베이커 양의 태도는 톰의 불안정한 태도와 대조가 되고 있다. 안정감을 보이는 베이커 양에게 찬사를 보내고 있다면 불안정한 톰에게는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경멸을 보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베이커 양의 안정을 향한 지향성이 병적인 것이라면 톰의 불안정함이 오히려 인간적이고 건강하고 솔직한 성향이라는 이야기가 가능해진다.
안정감에 대한 선호는 닉을 통해서 말하고 있는 저자 피츠제럴드의 사고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피츠제럴드의 안정감에 대한 선호는 그냥 안정감이 아니고 겉으로 드러나서 다른 사람의 눈에 보이는 안정감에 대한 선호라고 할 수 있다.
베이커 양의 입술과 닉의 입술이 공히 언급된다. 베이커의 입술은 살짝 달삭거리지만(fluttered) 닉의 입술은 그마저도 움직이지 않는다. 이런 모습은 베이커와 닉의 관계가 어떻게 펼쳐질지 암시하는 복선이 되고 있다. 베이커는 매우 소극적으로 표현을 하고 닉은 표현을 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줄 것이 예상되는 것이다.
I looked back at my cousin who began to ask me questions in her low, thrilling voice. It was the kind of voice that the ear follows up and down, as if each speech is an arrangement of notes that will never be played again. Her face was sad and lovely with bright things in it, bright eyes and a bright passionate mouth, but there was an excitement in her voice that men who had cared for her found difficult to forget: a singing compulsion, a whispered “Listen,” a promise that she had done gay, exciting things just a while since and that there were gay, exciting things hovering in the next hour.
low and thrilling voice : thrilling은 very exciting and enjoyable(Cobuild 사전)이라는 뜻인데 low하고는 어울리지 않는다. 데이지의 웃음을 묘사할 때에도 absurd라는 말을 사용해서 데이지의 웃음이 불합리 혹은 부조리(absurd)하다는 암시를 주었다: ‘she laughed, an absurd, charming little laugh(13:10). 여기에서 데이지의 말이 absurd하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It was the kind of voice that the ear follows up and down, as if each speech is an arrangement of notes that will never be played again. : 닉이 데이지의 말을 귀기울여 듣고 있는데 자연스럽게 그렇게 된다는 뜻. 음악처럼 들린다. 다시 연주되지 않는다는 것은 단 일회만 연주될 수 있다는 뜻으로 다시 들을 수 없는 희귀한 음악이라는 뜻. 이것은 또한 일회성으로 끝나는 소리라는 뜻도 되는데 데이지의 성격이 반복을 싫어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단 일회만 사용하고 버리는 것으로 현대 자본주의의 소비의 극단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또한 개츠비가 한 번도 입지 않은 셔츠를 보여주는 대목과 대비된다.
Her face was sad and lovely with bright things in it : 데이지의 웃음, 목소리에 이어 얼굴에서도 absurd한 면모를 드러낸다. sand와 bright가 대조되면서 이중적인 성격을 암시한다.
men who had cared for her : 데이지의 목소리가 그녀를 좋아했던 사람들은 잊기 어려운 것이 있다고 하는데, 닉이 데이지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이렇게 생각하고 있으므로 닉 역시 데이지를 좋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 singing compulsion : 데이지의 말을 an arrangement of notes라고 했는데 데이지가 말하면서 악보를 펼쳐 보여주는 것에 비유하는 것이라면 악보를 보고 노래하고 싶은 마음이 일어나게 되어 있으므로 노래하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는 것은 데이지의 말에 대한 당연한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a promise : 13:15-16에서도 데이지의 표정에 대해서 말하면서 promise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promising that there was no one in the world she so much wanted to see
I told her how I had stopped off in Chicago for a day on my way East, and how a dozen people had sent their love through me.
“Do they miss me?” she cried ecstatically.
- ecstatically : 앞에서 데이지의 목소리가 보증한 것이 성취되었다: a promise that she had done gay, exciting things just a while since and that there were gay, exciting things hovering in the next hour.
“The whole town is desolate. All the cars have the left rear wheel painted black as a mourning wreath, and there’s a persistent wail all night along the north shore.”
“How gorgeous! Let’s go back, Tom. Tomorrow!” Then she added irrelevantly: “You ought to see the baby.”
- irrelevantly : 데이지는 톰에게 시카고로 돌아가자고 말하고 맥락 없이 닉에게 자기 아기를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데이지가 금방 흥분했던 그 주제에서 갑자기 다른 주제로 넘어가는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I’d like to.”
“She’s asleep. She’s two years old. Haven’t you ever seen her?”
“Never.”
“Well, you ought to see her. She’s−−”
- She’s two years old : 피츠제럴드는 three years old라고 쓰고 그렇게 출판되었다. Brucolli에 의하면 two years old가 맞다. 이 소설의 내용은 1922년에 일어난 일로 되어 있다. 소설에서 톰과 데이지는 1919년에 6월에 결혼하고, 소설 속 베이커 양의 증언에 따르면 1920년 4월에 딸을 낳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렇게 보면 지금 데이지의 딸은 두 살이 되어야 하는데 피츠제럴드가 착각한 것으로 보고 Brucolli의 authorized text는 two years로 고쳐서 출판했다.
If Daisy's daughter is three years old in June 1922, then she was born around the spring of 1919. But at 99.23 Daisy states that she and Tom were married in June 1919, and at 61.27 Jordan says: "The next April Daisy had her little girl"— referring to April 1920. It would be absurd to conclude that Daisy was on the brink of parturition at the time of her wed-ding. Fitzgerald simply erred, as he often did in matters of arithmetic. Pammy should be two years old. (Brucolli(1991), p 144).
- She’s−− : 데이지가 자기 딸에 대해서 말하려고 하다가 톰이 갑자기 끼어들었기 때문에 말을 잇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om Buchanan, who had been hovering restlessly about the room, stopped and rested his hand on my shoulder.
hovering : 앞에 데이지의 말에 대한 묘사에서 hovering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there were gay, exciting things hovering in the next hour.
hovering restlessly : 톰은 계속해서 불안한 모습을 보여준다.
“What you doing, Nick?”
“I’m a bond man.”
“Who with?”
I told him.
“Never heard of them,” he remarked decisively.
This annoyed me.
“You will,” I answered shortly. “You will if you stay in the East.”
“Oh, I’ll stay in the East, don’t you worry,” he said, glancing at Daisy and then back at me, as if he were alert for something more. “I’d be a God damned fool to live anywhere else.”
톰과 데이지 가족은 프랑스에서 일년을 보내고 이곳저곳 떠돌아 다니다가 동부에 와서 살고 있다. 데이지는 이전에 닉과의 전화통화에서 이제 다른 곳으로 이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닉은 그걸 믿지 않았고 톰은 여전히 다른 곳으로 이사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생각하고 있다(10:26-30 참조). 여기에서 톰이 데이지의 눈치를 보는 것은 닉의 생각이 맞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데이지는 이곳에서 다시 이사하고 싶어 하지 않고 톰은 그런 데이지의 생각에 할 수 없이 동의하고 있는 형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