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國文抄錄
목차
Ⅰ 서론 9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0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1
Ⅱ 화엄사상의 의미와 인식방법 14
2.1 화엄경의 구성과 사상 15
2-1-1 화엄경의 구성과 내용 15
2-1-2 화엄의 사상 28
2.2 화엄의 세계관 37
2.3 화엄사상의 인식방법 41
2-3-1 사상인식의 체계적 접근 41
2-3-2 전통사상의 인식 42
2-3-3 화엄사상의 인식 44
Ⅲ 화엄사상의 공간조영체계 49
3.1 화엄의 表象과 解釋 50
3-1-1 화엄사상의 상징성 50
3-1-2 화엄의 공간개념 54
3-1-3 화엄경에 나타난 공간적 상징 57
3.2 화엄공간언어의 상징적 의미와 형상화 61
3-2-1 화엄공간언어의 건축적 의미 61
3-2-2 화엄공간의 顯現과 공간조영 67
3.3 소결 74
Ⅳ 화엄의 조영론을 적용한 디자인 조계사 포교원 如是我聞계획안 76
Ⅴ 결 론 102
참고문헌 106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 수용과 변용 : 『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김천학 - 학술>
목차 1
국문 요약 3
1. 문제 제기 5
2. 발심 9
1) 지눌의 경우 9
2) 발심에 관한 용어 사용의 문제 - 이통현과의 대비를 통하여 - 13
3) 지눌과 이통현의 발심 이해에 관한 상위 16
3. 십신과 십주의 관계 17
1) 『원돈성불론』 17
2) 십신과 십주의 관계에 대한 문제 - 이통현과의 대비를 통하여 - 20
3) 『원돈성불론』과 『신화엄경론』의 상위 26
4. 왜 자심의 보광명지인가? 29
5. 결론과 한계 32
참고 문헌 36
元曉의 普法華嚴思想 硏究 <석길암 - 박사논문>
국문목차
표제지=0,1,2
목차=i,3,3
I. 서론=1,6,1
1. 문제의 제기=1,6,4
2. 연구의 방법과 범위=4,9,1
1) 연구의 방법=4,9,5
2) 연구의 범위=8,13,3
II. 원효 보법사상의 배경과 저술의 순서=11,16,1
1. 보법의 단원과 원효의 수용=11,16,10
2. 원효의 사상적 배경=20,25,1
1) 원효의 출가ㆍ수학과 당시의 신라불교=20,25,6
2) 길장의 삼론학과 원효=25,30,6
3. 저술의 순서=30,35,2
1) 입당유학 시도와 오도=31,36,6
2) 의상의 귀국과 화엄 관련 저술=36,41,4
3) 저술의 순서와 시기=39,44,4
III. 원효의『기신론』해석에 나타난 화엄적 관점=43,48,1
1. 원효의 기신론관에 대한 기존 연구의 검토=43,48,8
2. 원효 이전의『기신론』주석에 보이는 견해의 변화=50,55,8
3.『기신론』관련 원효 저술의 특징=58,63,1
1)『별기』의 특징=58,63,13
2)『기신논소』의 특징=70,75,4
3)『일도장』과『이장의』의 성격=73,78,8
4. 일심이문삼대에 대한 원효의 해석=80,85,2
1) '이문일심'의 의미=81,86,9
2) 이문과 삼대의 배대=89,94,13
IV. 원효 보법화엄의 의미와 논리구조=102,107,1
1. '보법화엄'의 의미=102,107,5
2. 보법 성립의 근거로서의 십종인=106,111,6
3. 보현원행으로서의 보법=112,117,5
V. 원효 보법화엄사상의 전개와 그 실천성=117,122,1
1. 원효 보법화엄사상의 전개=117,122,1
1) 사교판과 일승의=117,122,13
2) 지대지소의 상입설=129,134,7
3) 수십전유=135,140,11
4) 행경십불과 육상설=145,150,11
5) 법계론=155,160,3
2. 원효 보법화엄사상의 실천성=157,162,5
VI. 원효 화엄관의 특징과 보법=162,167,1
1. 원효와 의상의 화엄관 비교=162,167,1
1) 화엄관에서 원효와 의상의 차이=163,168,3
2) 의상계의 원효 인식=165,170,6
2. 원효와 법장의 화엄관 비교=170,175,1
1) 화엄관에서 원효와 법장의 차이=170,175,6
2) 법장의 원효 인식=175,180,3
3. 소결-원효 화엄관의 특징과 보법=177,182,3
VII. 결론=180,185,9
참고문헌=189,194,9
《영원한 화두》·《화엄》에 나타나는 신체와 폭력의 연구 <이호영 - 박사논문>
목차
I. 작품분석에서 신체와 폭력의 이론적 배경 18
1. 시대 흐름과 신체 해석 18
2. 지배 권력과 폭력 속의 신체 23
3. 인식하는 신체, 강제하는 권력 32
4. 폭력 당한 신체-희생 38
II.《영원한 화두》·《화엄》·《화-화원》 49
1.《영원한 화두: 성-어둠으로부터(1997)》로서의 신체 49
1.1. 탄생하는 질문-회화 51
1.2. 세계 속의 존재 62
1.3. 빛과 어둠 속의 대상-신체 70
2.《화엄: 성-빛의 의지》,《화-화원 : 성-어둠의 불꽃》 77
2.1.《화엄(華嚴): 성-빛의 의지》-신체와 타자들 79
2.2. 해체되는 신체-대립되는 공간 84
2.3. 타오르는 불꽃-촛불의 화원 90
III.《꽃들의 시간》《꽃들의 대지》 98
1.《꽃들의 시간》 98
1.1. 시간, 자연, 홍수 101
1.2. 공간-강제되는 폭력 109
1.3. 매체의 확장 117
2.《꽃들의 대지》 126
2.1. 소통으로서의 관객 128
2.2. 포장되는 공간, 피어나는 꽃 132
2.3. 연극성-공연-흐름 138
IV《양재천은 흐른다》,《꽃들의 비명》 143
1.《양재천은 흐른다-도시, 꽃 그리고 바다》 143
1.1. 시뮬라크르(simulacres)화 하는 세계 144
1.2. 시간, 흐름의 신체 152
1.3. 신체의 의지-향해하는 욕망 158
2.《꽃들의 비명》 174
2.1. 다른 장르와의 소통-확장되는 시선 176
2.2. 희생되는 나무 182
2.3. 바다로 향한 의지 187
참고문헌 206
첫댓글 저도 전자도서관에 가보았는데요. 좀더 자세히 열심히 보아야겠습니다. 좋은자료 고맙습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