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지각능력과 전두엽 [ 空間知覺能力과 前頭葉 ]
1. 空間知覺,[ space perception ] -공간지각 능력은 공간關係나 공간位置를 감각을 통해 파악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오감五感( five senses -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의 5가지 감각)味覺 嗅覺을 제외한 視角, 聽覺, 觸覺을 사용하며 그 중에서도 視覺을 통해서 지각되는 공간이 가장 명확하다.
이는 전두엽의 기능 과 맞물려 기억력, 사고력, 추리, 계획, 운동, 감정, 문제해결 등 고등정신작용을 관장하며 다른 연합영역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조정하고 행동을 조절한다.
2차원인 망막 상을 3차원으로 지각하기 위해서는 단안단서(운동 관련 단서, 회화적 단서, 상대적 크기, 공중조망, 대기원근, 직선조망, 결의 기울기, 중첩, 그림자 등)를 이용하거나 양안단서(binocular disparity)를 활용한다. 단안단서는 생후 3개월 동안에 이용하게 되며, 4개월이 지나야 양안단서를 활용한 입체시(stereopsis)가 가능해진다. 공간 위치 지각(공간에 있어서의 대상과 보는 사람에 대한 관계 지각)에 문제를 지니게 되면 읽기, 쓰기, 산수 학습에 곤란을 겪게 된다.
ㅇ단안단서(單眼端緖): 지각심리학에서 공간을 지각할 때, 한쪽 눈만을 이용하여 깊이와 거리를 지각할 수 있는 단서를 가리킨다. 이러한 단안단서로는 그림자 같은 빛의 양과 방향성 그리고 물체의 중첩,원근의 크기 비교등을 사용한다. ㅇ양안단서(兩眼端緖): 깊이 지각 또는 공간지각에서 이러한 단안단서이외에도 동물들은 대부분 대칭성에서 양안을 갖고있기에 수평적 수준에서 정보를 동등하게 다룰수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양안단서로는 망막 불일치 등이 작용하여 뇌신경에 의해 깊이를 보다 잘 지각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위키백과-
2.전두엽[前頭葉 Frontal lobe] & 퍼즐(Puzzle) -전두엽은 대뇌반구(大腦半球)의 일부로 중심溝(도랑)보다 앞 부분으로 측두엽 후두엽과 함께 한다 . 포유류중 고등 동물일수록 잘 발달 되어 있으며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많은 것들을 조절하는 뇌의 대뇌의 앞쪽에 있는 부분으로 기억력,사고력 ,판단력 等 고도의 정신적 작용을 主관장한다 . 고등동물인 인간에게는 전두엽(The frontal lobe)을 통해 사고력 판단력 기억력들의 발달을 꽤하고 있어 그 발달의 원동력인 여행 독서 운동뿐 아니라 놀이문화 그 중에서 특히 Puzzle의 기대치는 더 커진다고 볼 수 있다 . -Puzzle은 생각을 많이하게 하고 많은 고민을 하게하여 결론을 유추하게 하는 고도의 지적놀이를 의미한다 . 학교에서 가장 쉽게 접하는 七巧로 예를 들어 보아도 전세계의 어린이 어른뿐 아니라 나폴레온 ,헤밍웨이 루이스 캐럴등 역사적인 위인들이나 유명인사들까지도 그 매력에 깊이 빠져 있었슴은 퍼즐의 眞價를 반증이 하기도 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