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란중인 답변들........
<li>salas012012-08-27 15:49:43
[다른의견]정말 이지 헷갈리게 하는 글이네요. 전기 전공자는 아니지만 공학도로써
어느정도 전기지식이 있는 사람인데 일단 제가 본 경우는 주 차단기(1차측)
를 내리면 전기가 흐르지 안쵸. 올려도 스위치 밑 콘센트에 아무 저항이 없
으면 전력량계가 돌지 안습니다. 즉 제 생각에는 벽면 콘센트도 2차측인데
회로가 완전하지 않은 스위치가 내려간 멀티탭을 연결했다고 전기가 새는건
이해가 가질 안네요. 상식적으로 전기가 흐르지 안는거 아닙니까??
전기가 흐르지 안으면 전력량계가 돌아가면 안되는거지요.
저도 납득이 가질 안네요. 간혹 아주머니나 어르신들이 님같은 말을 하긴
하는데......전 전기전공자가 아니라서 확신은 못합니다만 님의견은 아닌거
같습니다.
mijinelc2011-07-26 20:52:13
[다른의견]이것은 탁상행정과 같은 이야기로 생각됩니다.
전기공사와 전자제품 수리 20년이상된 저로서
도저히 납득할수 없는 이론이군요.
멀티콘센트의 전원만 끄면 전기는 차단되는것이며
스텐드를 만졌을때 전기가 온다면 그것은 끊어지지 않은
상의 전류가 자신의 몸을 타고 지선을 흘러 가는것입니다.
냉장고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순간적으로 전원이 들락거리면
보호회로가 작동하게 되어있습니다. 에어콘도 마찬가지입니다.
순간적으로 정전이 발생하면 약 5~10분후에 컴프레셔가
돌아가도록 지연회로가 있습니다.
tv또한 순간 정전시 고장난다는 논리는
20년 넘게 수리해 봤지만 수용할수 없습니다.
다만 낙뇌가 심할경우 모든 전자제품을 콘센트에서
분리하는것이 안전합니다.
과전압으로 인한 부품의 손상이 있을수 있습니다.
위의 답변은 적절치 않은 답변입니다.
bch92532011-06-24 23:46:10
멀티탭 스위치를 OFF시키면 전원의 한가닥만 차단됩니다.
차단기가 아닌경우 일반적으로 한상(전원의 한쪽)만 차단되게 됩니다.
전원의 한쪽만 OFF시켜도 회로가 구성되지 않으므로 전류는 흐를수 없습니다.
(전기 전공자라면 모두 아는내용 입니다.)
그러므로 멀티콘센트의 스위치를 꺼주기만하면 됩니다.
puddc2011-06-02 22:56:16
멀티탭 전원을 OFF시켜도 꽂아둔 스탠드에 전류가 흐르긴 하던데요. 스탠드가 금속,터치식 제품임.
bch92532010-11-25 20:48:18
''전원스위치(On/Off)를 끈다 할 지라도 잔류전기라는 것이 존재''????
그렇지 않습니다.
물론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뽑으면 전원이 차단되고 안전합니다.
하지만 전체 스위치가 달린 멀티탭이나 개별적으로 스위치가 되어 있는 멀티탭 제품을 구입하여 스위치를 ON/OFF하여도 전원이 차단되며 대기전력 소모를 차단할수 있습니다.
qkrwnfpdl2010-11-16 23:22:18
멀티탭에 전원 버튼을 끄면 동작하는데 있어서 전원 차단이 되는데 멀티텝도 220V 콘덴서에 꽂혀 있으면 전력 소모 된다는 말 아닐까요.
bch92532010-02-12 17:21:59
님 의견중에서
잔류전기는 물론, 벽체를 통해 일반적으로 누전이라고 불리는 접지불량등을 통해서도 전기요금이 더 부과될 수도 있으며,
"전원스위치(On/Off)를 끈다 할 지라도 잔류전기라는 것이 존재하여
육안으로 잘 확인할 수 없지만, 그래도 역시 적산전력계의 눈금은 모든 플러그를 뽑았을 때 보다는더 빨리 돌아간다는 것 입니다"
누전이라고 불리는 접지불량으로 전기요금이 더 부과될수 있다??
라고하는 님 의견에 대하여 다르게 생각 합니다.
누전과 접지불량은 엄연 다른것이고 접지불량으로는
전기요금이 더 부과될수 없읍니다.
멀티탭의 스위치 OFF시키는 것만으로도 전원 차단됩니다.
플러그를 뽑지 않으면 잔류전기가 존재하여 전력 소모가 생긴다 하였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잔류전기라는 용어가 있나요.
정의를 내려 주었으면 좋겠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