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교부 고시 제85-11 호(1986. 1. 7.)
문화부 고시 제1992-31 호(1992. 11. 27.)
문화 체육부 고시 제1995-8 호(1995. 3. 16.)
외래어 표기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117
제2장 표기 일람표 117
표 1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117
표 2 에스파냐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19
표 3 이탈리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20
표 4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121
표 5 중국어의 주음 부호(注音符號)와 한글 대조표 123
표 6 폴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25
표 7 체코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27
표 8 세르보크로아트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29
표 9 루마니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31
표 10 헝가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32
표 11 스웨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34
표 12 노르웨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37
표 13 덴마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40
제3장 표기 세칙 144
제1절 영어의 표기 144
제2절 독일어의 표기 149
제3절 프랑스 어의 표기 151
제4절 에스파냐 어의 표기 155
제5절 이탈리아 어의 표기 156
제6절 일본어의 표기 158
제7절 중국어의 표기 159
제8절 폴란드 어의 표기 159
제9절 체코 어의 표기 162
제10절 세르보크로아트 어의 표기 164
제11절 루마니아 어의 표기 165
제12절 헝가리 어의 표기 166
제13절 스웨덴 어의 표기 167
제14절 노르웨이 어의 표기 170
제15절 덴마크 어의 표기 174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178
제1절 표기 원칙 178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178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179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제2장 표기 일람표
외래어는 표 1~13에 따라 표기한다.
표 1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 [j], [w]의 ‘이’와 ‘오, 우’, 그리고 [ɲ]의 ‘니’는 모음과 결합할 때 제3장 표기 세칙에 따른다.
** 독일어의 경우에는 ‘에’, 프랑스 어의 경우에는 ‘으’로 적는다.
표 2
에스파냐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ll, y, , w의 ‘이, 니, 오, 우’는 다른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 3
이탈리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4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표 5
중국어의 주음 부호(注音符號)와 한글 대조표
표 6
폴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ż, sz, rz의 ‘시’와 j의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 7
체코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d’, ň, š, t̓, j의 ‘디, 니, 시, 티,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x는 개별 용례에 따라 한글 표기를 정한다.
표 8
세르보크로아트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lj, nj, š, j의 ‘리, 니, 시,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 9
루마니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ş의 ‘시’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x는 개별 용례에 따라 한글 표기를 정한다.
표 10
헝가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ny, s, j, ly의 ‘니, 시, 이,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11 스웨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2 노르웨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3 덴마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제3장 표기 세칙
제1절 영어의 표기
표 1에 따라 적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무성 파열음 ([p], [t], [k])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gap[ɡæp] 갭 cat[kæt] 캣
book[buk] 북
2.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 ([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apt[æpt] 앱트 setback[setbæk] 셋백
act[ækt] 액트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stamp[stæmp] 스탬프 cape[keip] 케이프
nest[nest] 네스트 part[pɑːt] 파트
desk[desk] 데스크 make[meik] 메이크
apple[æpl] 애플 mattress[mætris] 매트리스
chipmunk[tʃipmʌŋk] 치프멍크
sickness[siknis] 시크니스
제2항 유성 파열음([b], [d], [ɡ])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bulb[bʌlb] 벌브 land[lænd] 랜드
zigzag[ziɡzæɡ] 지그재그 lobster[lɔbstə] 로브스터
kidnap[kidnæp] 키드냅 signal[siɡnəl] 시그널
제3항 마찰음([s], [z], [f], [v], [θ], [ð], [ʃ], [ʒ])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s], [z], [f], [v], [θ], [ð]는 ‘으’를 붙여 적는다.
mask[mɑːsk] 마스크 jazz[dʒæz] 재즈
graph[græf] 그래프 olive[ɔliv] 올리브
thrill[θril] 스릴 bathe[beið] 베이드
2. 어말의 [ʃ]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ʃ]는 ‘슈’로,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flash[flæʃ] 플래시 shrub[ʃrʌb] 슈러브
shark[ʃɑːk] 샤크 shank[ʃæŋk] 섕크
fashion[fæʃən] 패션 sheriff[ʃerif] 셰리프
shopping[ʃɔpiŋ] 쇼핑 shoe[ʃuː] 슈
shim[ʃim] 심
3.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mirage[mirɑːʒ] 미라지 vision[viʒən] 비전
제4항 파찰음([ts], [dz], [tʃ], [dʒ])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ts], [dz]는 ‘츠’, ‘즈’로 적고, [tʃ], [dʒ]는 ‘치’, ‘지’로 적는다.
Keats[kiːts] 키츠 odds[ɔdz] 오즈
switch[switʃ] 스위치 bridge[bridʒ] 브리지
Pittsburgh[pitsbəːɡ] 피츠버그
hitchhike[hitʃhaik] 히치하이크
2. 모음 앞의 [tʃ], [dʒ]는 ‘ㅊ’, ‘ㅈ’으로 적는다.
chart[tʃɑːt] 차트 virgin[vəːdʒin] 버진
제5항 비음([m], [n], [ŋ])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steam[stiːm] 스팀 corn[kɔːn] 콘
ring[riŋ] 링 lamp[læmp] 램프
hint[hint] 힌트 ink[iŋk] 잉크
2.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ㆁ’으로 적는다.
hanging[hæŋiŋ] 행잉 longing[lɔŋiŋ] 롱잉
제6항 유음([l])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hotel[houtel] 호텔 pulp[pʌlp] 펄프
2.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slide[slaid] 슬라이드 film[film] 필름
helm[helm] 헬름 swoln[swouln] 스월른
Hamlet[hæmlit] 햄릿 Henley[henli] 헨리
제7항 장모음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team[tiːm] 팀 route[ruːt] 루트
제8항 중모음([ai], [au], [ei], [ɔi], [ou], [auə])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auə]는 ‘아워’로 적는다.
time[taim] 타임 house[haus] 하우스
skate[skeit] 스케이트 oil[ɔil] 오일
boat[bout] 보트 tower[tauə] 타워
제9항 반모음([w], [j])
1.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ə], [wɔ], [wou]는 ‘워’, [wɑ]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word[wəːd] 워드 want[wɔnt] 원트
woe[wou] 워 wander[wɑndə] 완더
wag[wæɡ] 왜그 west[west] 웨스트
witch[witʃ] 위치 wool[wul] 울
2.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ɡ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swing[swiŋ] 스윙 twist[twist] 트위스트
penguin[peŋgwin] 펭귄 whistle[hwisl] 휘슬
quarter[kwɔːtə] 쿼터
3.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jə]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yard[jɑːd] 야드 yank[jæŋk] 얭크
yearn[jəːn] 연 yellow[jelou] 옐로
yawn[jɔːn] 욘 you[juː] 유
year[jiə] 이어
Indian[indjən] 인디언 battalion[bətæljən] 버탤리언
union[juːnjən] 유니언
제10항 복합어
1.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cuplike[kʌplaik] 컵라이크
bookend[bukend] 북엔드
headlight[hedlait] 헤드라이트
touchwood[tʌtʃwud] 터치우드
sit-in[sitin] 싯인
bookmaker[bukmeikə] 북메이커
flashgun[flæʃɡʌn] 플래시건
topknot[tɔpnɔt] 톱놋
2.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Los Alamos[lɔs æləmous] 로스 앨러모스/로스앨러모스
top class[tɔpklæs] 톱 클래스/톱클래스
제2절 독일어의 표기
표 1을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독일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제1항 [r]
1. 자음 앞의 [r]는 ‘으’를 붙여 적는다.
Hormon[hɔrmoːn] 호르몬 Hermes[hɛrmɛs] 헤르메스
2. 어말의 [r]와 ‘-er[r]’는 ‘어’로 적는다.
∂
Herr[hɛr] 헤어 Razur[razuːr] 라주어
Tür[tyːr] 튀어 Ohr[oːr] 오어
Vater[faːtr] 파터 Schiller[ʃilr] 실러
∂ ∂
3.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verarbeiten[fɛrarbaitn] 페어아르바이텐
∂
zerknirschen[tsɛrknirʃn] 체어크니르셴
∂
Fürsorge[fyːrzorɡə] 퓌어조르게
Vorbild[foːrbilt] 포어빌트
auβerhalb[ausərhalp] 아우서할프
Urkunde[uːrkundə] 우어쿤데
Vaterland[faːtərlant] 파터란트
제2항 어말의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Rostock[rɔstɔk] 로스토크 Stadt[ʃtat] 슈타트
제3항 철자 ‘berg’, ‘burg’는 ‘베르크’, ‘부르크’로 통일해서 적는다.
Heidelberg[haidəlbɛrk, -bɛrç] 하이델베르크
Hamburg[hamburk, -burç] 함부르크
제4항 [ʃ]
1.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는 ‘슈’로 적는다.
Mensch[menʃ] 멘슈 Mischling[miʃliŋ] 미슐링
2. [y], [φ]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Schüler[ʃyːlər] 쉴러 schön[ʃφːn] 쇤
3.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쇼, 슈’ 등으로 적는다.
Schatz[ʃats] 샤츠 schon[ʃoːn] 숀
Schule[ʃuːlə] 슐레 Schelle[ʃɛlə] 셸레
제5항 [ɔy]로 발음되는 äu, eu는 ‘오이’로 적는다.
läuten[lɔytn] 로이텐
∂
Fräulein[frɔylain] 프로일라인
Europa[ɔyroːpa] 오이로파
Freundin[frɔyndin] 프로인딘
제3절 프랑스 어의 표기
표 1에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프랑스 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제1항 파열음([p], [t], [k]; [b], [d], [ɡ])
1. 어말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는다.
soupe[sup] 수프 tête[tɛt] 테트
avec[avɛk] 아베크 baobab[baɔbab] 바오바브
˝
ronde[rɔːd] 롱드 bague[baɡ] 바그
2. 구강 모음과 무성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구강 모음+무성 파열음+무성 파열음 또는 무성 마찰음’의 경우)은 받침으로 적는다.
˝
septembre[sɛptɑːbr] 셉탕브르 apte[apt] 압트
˝
octobre[ɔktɔbr] 옥토브르 action[aksjɔ] 악시옹
제2항 마찰음([ʃ], [ʒ])
1. 어말과 자음 앞의 [ʃ], [ʒ]는 ‘슈’, ‘주’로 적는다.
˝
manche[mɑːʃ] 망슈 piège[pjɛːʒ] 피에주
acheter[aʃte] 아슈테 dégeler[deʒle] 데줄레
2. [ʃ]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슈’로 적는다.
chemise[ʃəmiːz] 슈미즈 chevalier[ʃəvalje] 슈발리에
choix[ʃwa] 슈아 chouette[ʃwɛt] 슈에트
3. [ʃ]가 [y], [œ], [φ] 및 [j], [ɥ] 앞에 올 때에는 ‘ㅅ’으로 적는다.
chute[ʃyt] 쉬트 chuchoter[ʃyʃɔte] 쉬쇼테
˝
pêcheur[pɛʃœːr] 페쇠르 shunt[ʃœːt] 쇵트
˝
fâcheux[fɑʃφ] 파쇠 chien[ʃjɛ] 시앵
˝
chuinter[ʃɥɛte] 쉬앵테
제3항 비자음([ɲ])
1. 어말과 자음 앞의 [ɲ]는 ‘뉴’로 적는다.
˝ ˝
campagne[kɑpaɲ] 캉파뉴 dignement[diɲmɑ] 디뉴망
2. [ɲ]가 ‘아, 에, 오, 우’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각각 ‘냐, 녜, 뇨, 뉴’로 적는다.
˝
saignant[sɛɲɑ] 세냥 peigner[peɲe] 페녜
˝
agneau[aɲo] 아뇨 mignon[miɲɔ] 미뇽
3. [ɲ]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소리와 합쳐 ‘뉴’로 적는다.
˝
lorgnement[lɔrɲəmɑ] 로르뉴망
baignoire[bɛɲwaːr] 베뉴아르
4. 그 밖의 [ɲ]는 ‘ㄴ’으로 적는다.
magnifique[maɲifik] 마니피크 guignier[ɡiɲje] 기니에
˝
gagneur[ɡaɲœːr] 가뇌르 montagneux[mɔtaɲφ] 몽타뇌
peignures[pɛɲyːr] 페뉘르
제4항 반모음([j])
1. 어말에 올 때에는 ‘유’로 적는다.
Marseille[marsɛj] 마르세유 taille[tɑːj] 타유
2. 모음 사이의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예, 얭, 야, 양, 요, 용, 유, 이’ 등으로 적는다. 다만, 뒷모음이 [φ], [œ]일 때에는 ‘이’로 적는다.
payer[peje] 페예 billet[bijɛ] 비예
˝
moyen[mwajɛ] 무아얭 pleiade[plejad] 플레야드
˝
ayant[ɛjɑ] 에양 noyau[nwajo] 누아요
˝
crayon[krɛjɔ] 크레용 voyou[vwaju] 부아유
cueillir[kœjiːr] 쾨이르 aïeul[ajœl] 아이욀
aïeux[ajφ] 아이외
3. 그 밖의 [j]는 ‘이’로 적는다.
˝
hier[jɛːr] 이에르 Montesquieu[mɔtɛskjφ] 몽테스키외
˝ ˝
champion[ʃɑpjɔ] 샹피옹 diable[djɑːbl] 디아블
제5항 반모음([w])
[w]는 ‘우’로 적는다.
alouette[alwɛt] 알루에트 douane[dwan] 두안
quoi[kwa] 쿠아 toi[twa] 투아
제4절 에스파냐 어의 표기
표 2에 따라 적되,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gu, qu
gu, qu는 i, e 앞에서는 각각 ‘ㄱ, ㅋ’으로 적고, o 앞에서는 ‘구, 쿠’로 적는다. 다만, a 앞에서는 그 a와 합쳐 ‘과, 콰’로 적는다.
guerra 게라 queso 케소
Guipuzcoa 기푸스코아 quisquilla 키스키야
antiguo 안티구오 Quorem 쿠오렘
Nicaragua 니카라과 Quarai 콰라이
제2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cc-는 ‘ㄱㅅ’으로 적는다.
carrera 카레라 carreterra 카레테라
accion 악시온
제3항 c, g
c와 g 다음에 모음 e와 i가 올 때에는 c는 ‘ㅅ’으로, g는 ‘ㅎ’으로 적고, 그 외는 ‘ㅋ’과 ‘ㄱ’으로 적는다.
Cecilia 세실리아 cifra 시프라
georgico 헤오르히코 giganta 히간타
coquito 코키토 gato 가토
제4항 x
x가 모음 앞에 오되 어두일 때에는 ‘ㅅ’으로 적고, 어중일 때에는 ‘ㄱㅅ’으로 적는다.
xilofono 실로포노 laxante 락산테
제5항 l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1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ocal 오칼 colcren 콜크렌
blandon 블란돈 Cecilia 세실리아
제6항 nc, ng
c와 g 앞에 오는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blanco 블랑코 yungla 융글라
제5절 이탈리아 어의 표기
표 3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gl
i 앞에서는 ‘ㄹㄹ’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글ㄹ’로 적는다.
paglia 팔리아 egli 엘리
gloria 글로리아 glossa 글로사
제2항 gn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냐’, ‘녜’, ‘뇨’, ‘뉴’, ‘니’로 적는다.
montagna 몬타냐 gneiss 녜이스
gnocco 뇨코 gnu 뉴
ogni 오니
제3항 sc
sce는 ‘셰’로, sci는 ‘시’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스ㅋ’으로 적는다.
crescendo 크레셴도 scivolo 시볼로
Tosca 토스카 scudo 스쿠도
제4항 같은 자음이 겹쳤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Puccini 푸치니 buffa 부파
allegretto 알레그레토 carro 카로
rosso 로소 mezzo 메초
gomma 곰마 bisnonno 비스논노
제5항 c, g
1. c와 g는 e, i 앞에서 각각 ‘ㅊ’, ‘ㅈ’으로 적는다.
cenere 체네레 genere 제네레
cima 치마 gita 지타
2. c와 g 다음에 ia, io, iu가 올 때에는 각각 ‘차, 초, 추’, ‘자, 조, 주’로 적는다.
caccia 카차 micio 미초
ciuffo 추포 giardino 자르디노
giorno 조르노 giubba 주바
제6항 qu
qu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콰, 퀘, 퀴’ 등으로 적는다. 다만, o 앞에서는 ‘쿠’로 적는다.
soqquadro 소콰드로 quello 퀠로
quieto 퀴에토 quota 쿠오타
제7항 l, ll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 ll은 받침으로 적고, 어중의 l, l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sol 솔 polca 폴카
Carlo 카를로 quello 퀠로
제6절 일본어의 표기
표 4에 따르고,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촉음(促音) [ッ]는 ‘ㅅ’으로 통일해서 적는다.
サッポロ 삿포로 トットリ 돗토리
ヨッカイチ 욧카이치
제2항 장모음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キュウシュウ(九州) 규슈 ニイガタ(新潟) 니가타
トウキョウ(東京) 도쿄 オオサカ(大阪) 오사카
제7절 중국어의 표기
표 5에 따르고,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성조는 구별하여 적지 아니한다.
제2항 ‘ㅈ, ㅉ, ㅊ’으로 표기되는 자음( , , く, , ) 뒤의 ‘ㅑ, ㅖ, ㅛ, ㅠ’ 음은 ‘ㅏ, ㅔ, ㅗ, ㅜ’로 적는다.
쟈→자 졔→제
제8절 폴란드 어의 표기
표 6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k,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zamek 자메크 mokry 모크리 Słupsk 스웁스크
제2항 b, d, g
1.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트’, ‘크’로 적는다.
od 오트
2. 유성 자음 앞에서는 ‘브’, ‘드’, ‘그’로 적는다.
zbrodnia 즈브로드니아
3. 무성 자음 앞에서 b, g는 받침으로 적고, d는 ‘트’로 적는다.
Grabski 그랍스키 odpis 오트피스
제3항 w, z, ź, dz, ż, rz, sz
1. w, z, ź, dz가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때에는 ‘프, 스, 시, 츠’로 적는다.
zabawka 자바프카 obraz 오브라스
2. ż와 rz는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ㅈ’으로 적되, 앞의 자음이 무성 자음일 때에는 ‘시’로 적는다. 유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주’,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슈’, 어말에 올 때에는 ‘시’로 적는다.
Rzeszów 제슈프 Przemyśl 프셰미실
grzmot 그주모트 łóżko 우슈코 pęcherz 펭헤시
3. sz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koszt 코슈트 kosz 코시
제4항 ł
1. ł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적는다.(ło는 ‘워’로 적는다.) 다만, 자음 뒤에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는다.
łono 워노 głowa 그워바
2. ół는 ‘우’로 적는다.
przjyaciół 프시야치우
제5항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olej 올레이
제6항 m
어두의 m이 l,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mleko 믈레코 mrówka 므루프카
제7항 ę
ę은 ‘엥’으로 적는다. 다만, 어말의 ę는 ‘에’로 적는다.
ręka 렝카 proszę 프로셰
제8항 ‘ㅈ’, ‘ㅊ’으로 표기되는 자음(c, z) 뒤의 이중 모음은 단모음으로 적는다.
stacja 스타차 fryzjer 프리제르
제9절 체코 어의 표기
표 7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k,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mozek 모제크 koroptev 코롭테프
제2항 b, d, d’, g
1.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트’, ‘티’, ‘크’로 적는다.
led 레트
2. 유성 자음 앞에서는 ‘브’, ‘드’, ‘디’, ‘그’로 적는다.
ledvina 레드비나
3. 무성 자음 앞에서 b, g는 받침으로 적고, d, d’는 ‘트’, ‘티’로 적는다.
obchod 옵호트 odpadky 오트파트키
제3항 v, w, z, ř, ž, š
1. v, w, z가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프, 스’로 적는다.
hmyz 흐미스
2. ř, ž가 유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르주’, ‘주’,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르슈’, ‘슈’, 어말에 올 때에는 ‘르시’, ‘시’로 적는다.
námořník 나모르주니크 hořký 호르슈키
kouř 코우르시
3. š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puška 푸슈카 myš 미시
제4항 l, lj
어중의 l, lj가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 ‘ㄹ리’로 적는다.
kolo 콜로
제5항 m
m이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humr 후므르
제6항 자음에 ‘예’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věk 베크 šest 셰스트
제10절 세르보크로아트 어의 표기
표 8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k, p
k, p는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jastuk 야스투크 opština 옵슈티나
제2항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kula 쿨라
제3항 m
어두의 m이 l, r, n 앞에 오거나 어중의 m이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mlad 믈라드 mnogo 므노고 smrt 스므르트
제4항 š
š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šljivovica 슐리보비차 Niš 니시
제5항 자음에 ‘예’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bjedro 베드로 sjedlo 셰들로
제11절 루마니아 어의 표기
표 9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c,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cap 카프 Cîntec 큰테크
facturǎ 팍투러 septembrie 셉템브리에
제2항 c, g
c, g는 e, i 앞에서는 각각 ‘ㅊ’, ‘ㅈ’으로,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ㅋ’, ‘ㄱ’으로 적는다.
cap 카프 centru 첸트루
Galaţi 갈라치 Gigel 지젤
제3항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clei 클레이
제4항 n
n이 어말에서 m 뒤에 올 때는 ‘으’를 붙여 적는다.
lemn 렘느 pumn 품느
제5항 e
e는 ‘에’로 적되, 인칭 대명사 및 동사 este, era 등의 어두 모음 e는 ‘예’로 적는다.
Emil 에밀 eu 예우 el 옐
este 예스테 era 예라
제12절 헝가리 어의 표기
표 10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k,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ablak 어블러크 csipke 칩케
제2항 bb, cc, dd, ff, gg, ggy, kk, ll, lly, nn, nny, pp, rr, ss, ssz, tt, tty는 b, c, d, f, g, gy, k, l, ly, n, ny, p, r, s, sz, t, ty와 같이 적는다. 다만, 어중의 nn, nny와 모음 앞의 ll은 ‘ㄴㄴ’, ‘ㄴ니’, ‘ㄹㄹ’로 적는다.
között 쾨죄트 dinnye 딘네 nulla 눌러
제3항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olaj 올러이
제4항 s
s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Pest 페슈트 lapos 러포시
제5항 자음에 ‘예’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nyer 네르 selyem 셰옘
제13절 스웨덴 어의 표기
표 11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1. b, g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받침 ‘ㅂ, ㄱ’으로 적는다.
snabbt 스납트 högst 획스트
2. k, c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ㄱ, ㅂ, ㅅ’으로 적는다.
oktober 옥토베르 Stockholm 스톡홀름
Uppsala 웁살라 Botkyrka 봇쉬르카
제2항 c는 ‘ㅋ’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campa 캄파 Celsius 셀시우스
제3항 g
1. 모음 앞의 g는 ‘ㄱ’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Gustav 구스타브 Göteborg 예테보리
2. lg, rg의 g는 ‘이’로 적는다.
älg 엘리 Borg 보리
3. n 앞의 g는 ‘ㅇ’으로 적는다.
Magnus 망누스
4. 무성 자음 앞의 g는 받침 ‘ㄱ’으로 적는다.
högst 획스트
5.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Ludvig 루드비그 Greta 그레타
제4항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fjäril 피에릴 mjuk 미우크
kedja 셰디아 Björn 비에른
제5항 k는 ‘ㅋ’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Kungsholm 쿵스홀름, Norrköping 노르셰핑
제6항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folk 폴크 tal 탈 tala 탈라
제7항 어두의 lj는 ‘이’로 적되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고, 어중의 lj는 ‘ㄹ리’로 적는다.
Ljusnan 유스난 Södertälje 쇠데르텔리에
제8항 n은 어말에서 m 다음에 올 때 적지 않는다.
Karlshamn 칼스함 namn 남
제9항 nk는 자음 t 앞에서는 ‘ㅇ’으로, 그 밖의 경우에는 ‘ㅇ크’로 적는다.
anka 앙카 Sankt 상트
punkt 풍트 bank 방크
제10항 sk는 ‘스ㅋ’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Skoglund 스코글룬드 skuldra 스쿨드라 skål 스콜
skörd 셰르드 skydda 쉬다
제11항 ö는 ‘외’로 적되 g, j, k, kj, lj, skj 다음에서는 ‘에’로 적고, 앞의 ‘이’ 또는 ‘시’와 합쳐서 적는다. 다만, jö 앞에 그 밖의 자음이 올 때에는 j는 앞의 자음과 합쳐 적고, ö는 ‘에’로 적는다.
Örebro 외레브로 Göta 예타 Jönköping 옌셰핑 Björn 비에른 Björling 비엘링 mjöl 미엘
제12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mm, nn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Kattegatt 카테가트 Norrköping 노르셰핑
Uppsala 웁살라 Bromma 브롬마
Dannemora 단네모라
제14절 노르웨이 어의 표기
표 12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1. b, g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받침 ‘ㅂ, ㄱ’으로 적는다.
Ibsen 입센 sagtang 삭탕
2. 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ㅂ, ㅅ’으로 적는다.
lukt 룩트 september 셉템베르 husets 후셋스
제2항 c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Jacob 야코브 Vincent 빈센트
제3항 d
1. 모음 앞의 d는 ‘ㄷ’으로 적되, 장모음 뒤에서는 적지 않는다.
Bodø 보되 Norden 노르덴
(장모음 뒤) spade 스파에
2. ld, nd의 d는 적지 않는다.
Harald 하랄 Aasmund 오스문
3. 장모음+rd의 d는 적지 않는다.
fjord 피오르 nord 노르 Halvard 할바르
4. 단모음+rd의 d는 어말에서는 ‘드’로 적는다.
ferd 페르드 mord 모르드
5. 장모음+d의 d는 적지 않는다.
glad 글라 Sjaastad 쇼스타
6. 그 밖의 경우에는 ‘드’로 적는다.
dreng 드렝 bad 바드
※ 모음의 장단에 대해서는 노르웨이 어의 발음을 보여 주는 사전을 참조하여야 한다.
제4항 g
1. 모음 앞의 g는 ‘ㄱ’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god 고드 gyllen 윌렌
2. g는 이중 모음 뒤와 ig, lig에서는 적지 않는다.
haug 헤우 deig 데이 Solveig 솔베이
fattig 파티 farlig 팔리
3. n 앞의 g는 ‘ㅇ’으로 적는다.
Agnes 앙네스 Magnus 망누스
4. 무성 자음 앞의 g는 받침 ‘ㄱ’으로 적는다.
sagtang 삭탕
5.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berg 베르그 helg 헬그 Grieg 그리그
제5항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Bjørn 비에른 fjord 피오르 Skodje 스코디에
Evje 에비에 Tjeldstø 티엘스퇴
제6항 k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φ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Rikard 리카르드 Kirsten 시르스텐
제7항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sol 솔 Quisling 크비슬링
제8항 nk는 자음 t 앞에서는 ‘ㅇ’으로, 그 밖의 경우에는 ‘ㅇ크’로 적는다.
punkt 풍트 bank 방크
제9항 sk는 ‘스ㅋ’로 적되, e, i, y, æ, φ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skatt 스카트 Skienselv 시엔스엘브
제10항 t
1. 어말 관사 et의 t는 적지 않는다.
huset 후세 møtet 뫼테 taket 타케
2. 다만, 어말 관사 et에 s가 첨가되면 받침 ‘ㅅ’으로 적는다.
husets 후셋스
제11항 eg
1. eg는 n, l 앞에서 ‘에이’로 적는다.
regn 레인 tegn 테인 negl 네일
2. 그 밖의 경우에는 ‘에그’로 적는다.
deg 데그 egg 에그
제12항 φ는 ‘외’로 적되, g, j, k, kj, lj, skj 다음에서는 ‘에’로 적고 앞의 ‘이’ 또는 ‘시’와 합쳐서 적는다. 다만, jø 앞에 그 밖의 자음이 올 때에는 j는 앞의 자음과 합쳐 적고 φ는 ‘에’로 적는다.
Bodø 보되 Gjøvik 예비크 Bjørn 비에른
제13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mm, nn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Moss 모스 Mikkjel 미셸 Matthias 마티아스
Hammerfest 함메르페스트
제15절 덴마크 어의 표기
표 13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1. b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ㅂ’으로 적는다.
Jacobsen 야콥센 Jakobsen 야콥센
2. 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ㅂ, ㅅ’으로 적는다.
insekt 인섹트 september 셉템베르 nattkappe 낫카페
제2항 c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campere 캄페레 centrum 센트룸
제3항 d
1. ds, dt, ld, nd, rd의 d는 적지 않는다.
plads 플라스 kridt 크리트 fødte 푀테
vold 볼 Kolding 콜링 Öresund 외레순
Jylland 윌란 hård 호르 bord 보르
nord 노르
2. 다만, ndr의 d는 ‘드’로 적는다.
andre 안드레 vandre 반드레
3. 그 밖의 경우에는 ‘드’로 적는다.
dreng 드렝
제4항 g
1. 어미 ig의 g는 적지 않는다.
vældig 벨디 mandig 만디 herlig 헤를리
lykkelig 뤼켈리 Grundtvig 그룬트비
2. u와 l 사이의 g는 적지 않는다.
fugl 풀 kugle 쿨레
3. borg, berg의 g는 적지 않는다.
Nyborg 뉘보르 Esberg 에스베르
Frederiksberg 프레데릭스베르
4.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magt 마그트 dug 두그
제5항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Esbjerg 에스비에르그 Skjern 스키에른
Kjellerup 키엘레루프 Fjellerup 피엘레루프
제6항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Holstebro 홀스테브로 Lolland 롤란
제7항 v
1. 모음 앞의 v는 ‘ㅂ’으로 적되, 단모음 뒤에서는 ‘우’로 적는다.
Vejle 바일레 dvale 드발레 pulver 풀베르
rive 리베 lyve 뤼베 løve 뢰베
doven 도우엔 hoven 호우엔 oven 오우엔
sove 소우에
2. lv의 v는 묵음일 때 적지 않는다.
halv 할 gulv 굴
3. av, æv, øv, ov, ev에서는 ‘우’로 적는다.
gravsten 그라우스텐 havn 하운 København 쾨벤하운
Thorshavn 토르스하운 jævn 예운 Støvle 스퇴울레
lov 로우 rov 로우 Hjelmslev 옐름슬레우
4. 그 밖의 경우에는 ‘브’로 적는다.
arv 아르브
※ 묵음과 모음의 장단에 대해서는 덴마크 어의 발음을 보여 주는 사전을 참조하여야 한다.
제8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lykkelig 뤼켈리 hoppe 호페 Hjørring 예링
blomme 블로메 Rønne 뢰네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제1절 표기 원칙
제1항 외국의 인명, 지명의 표기는 제1장, 제2장, 제3장의 규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제3장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언어권의 인명, 지명은 원지음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Ankara 앙카라 Gandhi 간디
제3항 원지음이 아닌 제3국의 발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은 관용을 따른다.
Hague 헤이그 Caesar 시저
제4항 고유 명사의 번역명이 통용되는 경우 관용을 따른다.
Pacific Ocean 태평양 Black Sea 흑해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제1항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2항 중국의 역사 지명으로서 현재 쓰이지 않는 것은 우리 한자음대로 하고, 현재 지명과 동일한 것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3항 일본의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4항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東京 도쿄, 동경 京都 교토, 경도
上海 상하이, 상해 臺灣 타이완, 대만
黃河 황허, 황하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제1항 ‘해’, ‘섬’, ‘강’, ‘산’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쓰고, 우리말에 붙을 때에는 붙여 쓴다.
카리브 해 북해 발리 섬 목요섬
제2항 바다는 ‘해(海)’로 통일한다.
홍해 발트 해 아라비아 해
제3항 우리 나라를 제외하고 섬은 모두 ‘섬’으로 통일한다.
타이완 섬 코르시카 섬 (우리 나라 : 제주도, 울릉도)
제4항 한자 사용 지역(일본, 중국)의 지명이 하나의 한자로 되어 있을 경우, ‘강’, ‘산’, ‘호’, ‘섬’ 등은 겹쳐 적는다.
온타케 산(御岳) 주장 강(珠江)
도시마 섬(利島) 하야카와 강(早川)
위산 산(玉山)
제5항 지명이 산맥, 산, 강 등의 뜻이 들어 있는 것은 ‘산맥’, ‘산’, ‘강’ 등을 겹쳐 적는다.
Rio Grande 리오그란데 강 Monte Rosa 몬테로사 산
Mont Blanc 몽블랑 산 Sierra Madre
카페 게시글
기본 자료실
외래어 표기법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