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친환경농업연구회
카페 가입하기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축산기술 스크랩 옥수수 품종해설(사일리지ㆍ종실 겸용): 광평옥(수원136호)
남삼타워 추천 0 조회 44 12.11.06 17:34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광평옥(수원136호)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성명 : 손범영

전화 : 031-290-6758

 

1. 육성경위

 광평옥은 1996년 작물과학원에서 KS124를 종자친(모본)으로 하고 1992년에 육성한 계통인 KS85를 화분친(부본)으로 하여 육성된 단교잡종이다. 1995년에 교잡하여 얻어진 교잡계를 1996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1998~2000년 3년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0년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국가품종목록 등재품종으로 결정하고 품종명을 광평옥이라 명명하였다

 

2. 주요특성

 가. 양친 자식계통

광평옥의 교잡종자 생산에 이용되는 모본인 KS124와 부본 KS85의 파종에서 출사까지의 출사일수는 KS85가 KS124보다 2일 늦지만 KS124의 출사기와 KS85의 화분비산기가 거의 일치하여 안정적으로 F 1 교잡종 생산을 하는데 유리하다. 간장은 KS124가 KS85보다 57㎝ 높고 착수고가 높으나 도복에는 강하다. 이삭 길이 및 100립중은 KS124가 KS85와 비슷하며, 후기녹체성도 KS124와 KS85 모두 우수한 편이다.

 

 나. 교잡종

광평옥의 수염색은 담자색이며 종피색은 황색이고 입질은 마치종이다. 광평옥의 출사일수는 광안옥보다 2일 빠르며, 간장 및 착수고는 광안옥보다 낮아 도복에도 강하다. 이삭은 광안옥보다 약간 짧으며 100립중은 약간 무거운 편이다. 후기 녹체성은 광안옥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광평옥은 호마엽고병과 매문병에 중강이지만 흑조위축병에는 광안옥에 비하여 다소 약한 편이다. 조명나방에는 중정도의 저항성이나 도복은 광안옥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광평옥과 양친계통들의 주요특성 (작시 : 2000)

품 종 명

출사일수(일)

간장(㎝)

착수고(㎝)

이삭(㎝)

100립중(g)

후기녹체성(1~9)

길이

직경

광평옥

78

268

134

18.4

5.1

30.8

2.5

KS124(♀)

81

218

113

11.8

3.0

23.8

3.0

KS85(♂)

79

161

 99

12.2

4.0

24.5

2.5

광안옥

80

274

156

20.6

5.0

29.9

2.8

 

그림 1. 광평옥(수원136호)의 식물체 형태 및 종실 모양

 

3. 수량성

 1997년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건물중이 광안옥에 비해 7% 증수되었다. 1998~2000년 3개년간 실시된 지역적응시험 결과 건물중은 4개 지역 평균 1,649㎏/10a 로 광안옥에 비하여 15% 증수되었다. 가소화영양소총량(TDN)은 10a당 1,186㎏인 광안옥에 비하여 16% 증수되었으며, 종실수량은 광평옥이 수원19호와 비슷하여 사일리지 및 종실 겸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표 2. 지역적응검정시험 수량성

시험지

광평옥(㎏/10a)

광안옥(㎏/10a)

1998

1999

2000

평균

지수

1998

1999

2000

평균

지수

수원

2,113

1,799

2,162

2,025

112

1,984

1,699

1,761

1,815

100

화성

2,161

2,410

2,150

2,240

128

1,630

1,589

2,031

1,750

100

홍천

1,840

1,477

1,297

1,538

95

1,814

1,768

1,299

1,627

100

대구

-

1,706

2,272

1989

125

-

1,316

1,864

1590

100

평균

2,038

1,848

1,970

1,948

115

1,809

1,593

1,739

1,696

100

 

4. 채종시험

 2000년도 영월지역에서 광평옥의 채종시험을 실시하였다. 5월 1일에 동시 파종하 여 채종한 결과 2:1, 4:1 모본과 부본의 재식비율에서 모두 모본의 출사기와 부본의 출웅기가 잘 일치하여 임실률도 각각 93%, 92%로 높았으며 채종량도 323㎏/10a, 279㎏/10a로 많았다.

 

5. 적응지역

 광평옥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6. 재배상의 유의점

 1대 잡종의 잡종강세를 이용하는 교잡종이므로 해마다 새로운 종자를 파종하여야 한다. 수량은 높지만 흑조위축병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므로 남부평야지의 흑조위축병의 상습발생에서는 재배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종시기는 가능한 4월 중순경 토양수분이 충분할 때 파종하며, 흑조위축병 매개체인 애멸구 발생시기를 피하여야 한다.

 

참 고 문 헌

김동암. 1986. 사료작물 : 그 특성과 재배방법.

농민신문사. 1996. 옥수수 재배와 이용의 종합기술.

농촌진흥청. 2000. 2000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 결과.

__________. 2000. 2000년도 하계작물 신품종 개발 공동 연구 보고서.

__________. 2000. 옥수수재배. 표준영농교본-67(개정판).

 

집필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손범영 (전화 : 031-290-6758)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