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로 벼를 이네 라고 한다.
비 베 벼 米미
비-->미 발음변화==>한국어 한자음
비-->이 발음변화
이네=이+네
네 베트남어 넵 --->네 발음변화
태국의 유명한 거리 카오산 로드에서 카오는 쌀이다.
곡식의 穀곡 곱 발음변화 카오 가오
베트남어
Gạo nếp
찹쌀.
gạo tẻ
멥쌀
발음 [가오 때]
벼’라는 말의 유래
벼를 중국 남부에서는 ‘네이’나 ‘니’, ‘넵’, ‘누안’이라 하고
베트남에서는 ‘넵’,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필리핀 등에서는 ‘바디’ 또는 ‘비니’,
자바섬 서부에서는 ‘파디’라고 하는데
우리말의 ‘벼’나 영어의 ‘패디’(paddy: 벼, 논)가
모두 이 ‘바디’나 ‘파디’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여요.
또한 벼를 나타내는 일본말 ‘이네(いね)’는 ‘네이’나 ‘니’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이며,
우리말의 ‘입쌀’, ‘이팝’은 원래 옛말로 ‘닙쌀’, ‘니밥’이고 쌀에 섞인 벼알을 ‘뉘’라고 하는데
이들이 모두 ‘니’에서 남겨진 말이라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에서는 벼를 ‘나락’이라고 하는데
이는 낱 + 알 → 낟알 → 나달 → 나락으로
여러 개의 비슷한 말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말꼴의 변화와 더불어
‘ㄷ’이 ‘ㄹ’로 유음화현상을 거쳐 ‘나락’이 된 것입니다.
여기서 ‘낱’은 벼를 나타내는 말인 ‘니’에 ‘알’이 붙어서
날 → 낟 → 낱으로 모양이 변해서 생겨난 말이에요.
출처: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630769&memberNo=6259977&vType=VERT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