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을사년 "부산토요가자산학회" 시산제(始山祭) ■
*인사말: 코알라 회장
* 개회 : 지금부터 금정산 산신(山神)께 제(祭)를 올리겠습니다. (사회 및 제관; 은원 대장)
휴대폰은 전원을 꺼주시고 몸과 마음을 단정히 해주시기 바랍니다.
* 국민의례
* 먼저가신 조상, 선열 및 산(山 )꾼에 대한 묵념
* 산악인의 선서 ( 선창; 김과장 수석 대장 )
1. 초와 향을 피웁니다.
2. 강신(降神) :
산신(山神)을 부릅니다.
제주는 두 손을 벌려 하늘로 올리며 신을 맞는 포즈를 취합니다. ( 제주; 김과장 대장)
지난해 에도 부산토요가자산악회 모든 회원들에게 무사하게 산행을 할수 있게 도와주신 산신령님께 감사드리고
또 2023년에도 무사히 산행을 마칠수 있게 도와 주십사하고 부족한 정성이지만,
성심을 다하여 조촐한 제물을 마련하여, 명산의 정기어린 이곳 금정산에서 신령님께
바치오니 인간 세상에 내려오셔서 임재하여 주시옵소서!
3. 참신(參神) :
모두 다 같이 두 번 절을 합니다. (山神을 맞이함)
4. 초헌(初獻) :
제주(祭主)가 첫 잔을 山神(산신)께 올립니다. 절합니다.
옆에서 집사가 곡주나 탁주를 따를 때 도와줍니다.
5. 독축(讀祝) :
축문 낭독 ( 낭독; 제관-은원 대장 )
6. 아헌(亞獻) :
아헌관으로 선정되신 분이 두 번째 잔을 올립니다.
7. 종헌(終獻) :
종헌관으로 선정되신 분이 세 번째 잔을 올리고 절합니다.
8. 헌작(獻酌) :
절 안올린 대장님, 총무님, 특별회원님, 우수회원님, 정회원 순으로 몇명씩 함께 차례로 잔을 올리고 절을 합니다.
9. 소지(燒紙) :
축문을 불사릅니다. ( 소지; 제주-김과장 대장 )
10. 음복(飮福) :
회원님들과 祭需(제수)를 나누어 먹습니다.
11. 폐회 : 이것으로 부산토요가자산악회 2025년 을사년 시산제를 마치겠습니다. (제관; 은원대장)